본문 바로가기

푸른사상시선41

[약사공론] 강현숙, <물소의 춤> [인터뷰]"나에게 '시'는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이며 흔적" 첫 시집 '물소의 춤'을 출간한 울산 강현숙 약사 '수많은 말, 불안한 여운, 말을 쪼이고 새기는 일로 태어난 말의 파편들을 한 시절 흘려보냈구나...' 중 경남 함안 출생으로 부산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한 강현숙 약사는 현재 울산에서 약국을 운영중이다.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막연히 작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품었던 그는 김영랑 시인의 시 중 '찬란한 슬픔의 봄'이란 구절에서 시의 마력을 느껴 늦깎이로 삼십대 중반에 시 창작 수업을 듣기 시작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시인으로서 문학의 꿈을 키워온 강 약사는 2013년 계간지 '시안'으로 등단했다. 이후 내재돼 있는 재능을 마음껏 뽐내며 등단한 지 8년 만인 2020년 12월, 에서 첫 시집 을 출.. 2021. 3. 4.
[전북중앙] 최기종 시집, <목포, 에말이요> 투박한 사투리에 담긴 목포 사람들 최기종 시집 '목포, 에말이요'··· 남도 특유 방언에 담긴 민중들의 정서-풍습-전통 담아 최기종 시인의 시집 ‘목포, 에말이요’가 ‘푸른사상 시선 140’으로 출간됐다. 목포를 배경으로 삼고 있는 이 시집은 남도 특유의 토속적인 방언과 더불어 민중들의 정서, 풍습, 전통 등을 정감 있게 담아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의 거점이기도 했던 목포의 역사와 민중의식을 생동감 있는 방언으로 쓰인 시편들은 목포 문학의 지형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최기종 시인이 목포를 제재로 삼은 작품들은 박화성의 ‘하수도 공사’에서 나타난 역사의식과 민중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하수도 공사’는 1년 동안 일해온 300여 명의 노동자들이 청부업자 중정 대리의 농락으로 4달 동안 삯을 받.. 2021. 2. 19.
[광남일보] 최기종, <목포, 에말이요> "살아온 세월이 너무 커 '목포' 떠날 수 없었죠" ‘목포의 삶’ 남도말로 담아낸 시집 출간 최기종씨 역사 등 생동감있는 방언 구사…남악서 창작 매진 “1980년대 중반 목포에 들어와서 6월 항쟁을 겪었고 전교조 문제로 해직이 돼 거리의 교사로 살아야 했습니다. 1990년대 교육운동과 시민운동을 계속하다가 복직이 돼 그리운 아이들과 해우도 하고, 월드컵 때 아이들과 거리응원에 이어 압해도와 가거도를 거치면서 강산이 세 번이나 바뀌었네요. 고향 부안 당봉리가 그리운데도 여기 머무는 까닭은 목포에서 살아온 세월이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전교조 해직교사 출신이었던 한 시인이 제2고향으로 삼은 목포를 노래하는 시편을 발표해 관심을 모은다. 주인공은 일곱번째 시집 ‘목포, 에말이요’를 3년만에 푸른사상 시선 1.. 2021. 1. 21.
최기종 시집, <목포, 에말이요> 분류--문학(시) 목포, 에말이요 최기종 지음|푸른사상 시선 140|128×205×7 mm|144쪽|9,500원 ISBN 979-11-308-1755-2 03810 | 2020.12.31 ■ 도서 소개 애틋한 고향, 목포의 노래 최기종 시인의 시집 『목포, 에말이요』가 으로 출간되었다. 목포를 배경으로 삼고 있는 이 시집은 남도 특유의 토속적인 방언과 더불어 민중들의 정서, 풍습, 전통 등을 정감 있게 담아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의 거점이기도 했던 목포의 역사와 민중의식을 생동감 있는 방언으로 쓰인 시편들은 목포 문학의 지형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 시인 소개 최기종 1956년 전북 부안군 동진면 당봉리에서 태어났다.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1985년 .. 2021. 1. 12.
김옥숙 시집, <새의 식사> 새의 식사 김옥숙 지음|푸른사상 시선 134|128×205×8 mm|144쪽|10,000원 ISBN 979-11-308-1712-5 03810 | 2020.10.28 ■ 도서 소개 무거운 삶을 껴안고 날아오르는 일상의 희망들 김옥숙 시인 겸 소설가의 첫 시집 『새의 식사』가 로 출간되었다. 삶과 노동의 현장에서 고통과 슬픔을 견디는 존재, 그들이 살아가는 일상의 순간들을 세밀하게 포착해낸 시집이다. 상상력이 돋보이는 강렬한 비유는 시인이 바라보는 삶의 모습을 희망적이면서도 다채롭게 일구어나간다. ■ 시인 소개 김옥숙 2003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시 「낙타」가 당선되고, 같은 해 전태일문학상에 소설 「너의 이름은 희망이다」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희망라면 세 봉지』, 장편소설.. 2020. 10. 29.
[영남일보] 정대호, <가끔은 길이 없어도 가야 할 때가 있다> [지역 출판가] "대구경북 출신 시인들 인생 성찰하고 그리움을 노래하다"...정대호 시인 등 신간 잇따라 대구·경북 출신 시인들이 연이어 신간 시집을 발간했다. 김정옥·서하·정대호·앙경한·최영조 시인의 시집을 소개한다. 시인들은 각자 시집에서 인생을 성찰하거나 그리움을 노래한다. 또 아픈 역사를 생생하게 기록하기도 한다. '5인5색' 다양한 색깔이 있는 시인들의 신간 시집을 읽으며 늦더위를 잊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가끔은 길이 없어도 가야 할 때가 있다(정대호·푸른사상) 정대호 시인의 여섯번째 시집이다. 시인이 유신 말기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면서 겪었던 자신의 경험을 비롯, 한 시대의 이야기를 시로 기록하고 있다. '고문' '고문을 이기는 법' '곡주사' '짐승의 시간' 등의 시들은 어둡고 아팠던 한.. 2020.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