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문재168 [한겨레] 강민 추모시집, <그리움에 진달래는 피어나라> 1월 24일 문학 새 책 그리움에 진달래는 피어나라 1960년대 시인 김수영·고은 등과 한 동인(‘현실’)으로, 시집 5권을 남겼으나 낯선, 그러나 문단에선 거대한 이름 강민(1933~2019). 추모 시집을 지닌 이 몇일까. “인사동 골목 사이로 바람이 서성”이면 떠오르는 얼굴, “스스로 역사의 한 자취가 된 유목민”의 5주기 기념시집을 맹문재 등이 펴냈다. 한겨레, " 1월 24일 문학 새 책", 2025.1.24링크 :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179553.html 2025. 1. 24. [연합뉴스] 신좌섭·맹문재, <신동엽 깊이 읽기> [신간] 볼로냐 라가치상 이지은의 첫 소설 '울지 않는 달' ▲ 신동엽 깊이 읽기 = 신좌섭·맹문재 지음. 신동엽(1930∼1969) 시인의 삶과 문학에 관해 시인의 아들인 신좌섭(1959∼2024) 전 짚풀생활사박물관 관장과 맹문재 시인(안양대 국문과 교수)이 이야기를 나눈 대담집이다. 계간 문예지 '푸른사상' 2019년 봄호부터 이듬해 가을호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실린 신동엽 시인 50주기 특별 대담을 정리해서 수록했다. 총 다섯 부로 구성해 신동엽 시인의 생애, 시 세계, 장편서사시 '금강', 산문 세계, 시인의 배우자인 인병선 시인의 생애를 다뤘다. 신동엽 시인은 4·19 혁명의 정신을 노래한 시 '껍데기는 가라'와 동학농민운동을 다룬 장편 서사시 '금강' 등을 발표했다. 국내 참여문학을 대표하는.. 2025. 1. 17. [교수신문] 신좌섭·맹문재, <신동엽 깊이 읽기> 신동엽 깊이 읽기 교수신문, " 신동엽 깊이 읽기", 현지용 기자, 2025.1.14링크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30158 2025. 1. 16. [베리타스알파] 신좌섭·맹문재, <신동엽 깊이 읽기> [신간산책] 푸른사상 현대문학연구총서60 '신동엽 깊이 읽기' 출간 베리타스알파, " [신간산책] 푸른사상 현대문학연구총서60 '신동엽 깊이 읽기' 출간", 김하연 기자, 2025.1.15링크 :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377 2025. 1. 16. [경북일보] <계간 푸른사상 2024 겨울호(통권 50호)> 어두운 시대 맞선 조태일 시인의 시어들…푸른사상 2024년 겨울호 발간 경북일보, "어두운 시대 맞선 조태일 시인의 시어들…푸른사상 2024년 겨울호 발간", 곽성일 기자, 2025.1.2링크 :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8556 2025. 1. 3. 신좌섭·맹문재 대담집, <신동엽 깊이 읽기> 분류-- 작가론 신동엽 깊이 읽기 신좌섭·맹문재 지음|현대문학연구총서 60|153×224×15mm|256쪽22,000원|ISBN 979-11-308-2201-3 93800 | 2024.12.24 ■ 도서 소개 한국 시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신동엽 시인의 삶과 문학 한국 시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신동엽 시인의 삶과 문학을 살핀 『신동엽 깊이 읽기』(신좌섭·맹문재 지음)가 푸른사상의 현대문학연구총서 60으로 출간되었다. 현대사를 오롯이 겪어낸 시인의 외침과 진실을 담은 이 대담집은 신동엽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소개 신좌섭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같은 대학원에서 의료역사학 석사를, 한양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교육공학 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 2024. 12. 26. 이전 1 2 3 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