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 간행도서

맹문재 엮음, <박인환 시 전집>

by 푸른사상 2020. 9. 4.

분류--한국문학, 문학전집, 한국 시

 

박인환 시 전집

 

맹문재 엮음박인환문학관 학술연구총서 2160×232×22 mm(하드커버)304

27,000979-11-308-1701-9 93810 | 2020.8.31

 

■ 도서 소개

 

시대와 사회를 적극적으로 담아낸 모더니즘 시인, 박인환

 

해방기 이후 한국의 모더니즘 시 운동을 주도했던 박인환 시인의 시 작품을 모은 박인환 시 전집(맹문재 엮음)이 출간되었다. 해방기와 한국전쟁으로 인한 혼란한 시대에 함몰되지 않고 그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창작 활동을 했던 박인환 시인의 시작품들을 작품집 발간 순서로 분류한 뒤 발표 연대순으로 배열했다. 이번 전집에 수록된 시작품 수는 총 89편이다. 번역 시 1편도 수록했다.

 

 

■ 박인환(朴寅煥) 시인 연보

 

1926년(1세) 8월 15일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상동리 159번지에서 태어나다.

1933(8) 인제공립보통학교 입학하다.

1936(11) 서울 덕수공립보통학교 4학년에 편입하다.

1939(14) 경기공립중학교에 입학하다.

1941(16) 경기공립중학교 자퇴하고 한성중학교에 다니다.

1942(17) 명신중학교 4학년에 편입하다.

1944(19)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다.

1945(20) 광복으로 학교를 그만두고 상경해 마리서사(茉莉書舍)’를 개업하다.

1948(23) 420일 김경린, 김경희, 김병욱, 임호권과 신시론발간하다. 4월 이정숙(李丁淑)과 결혼하다. 12월 장남 세형(世馨) 태어나다.

1949(24) 45일 김경린, 김수영, 임호권, 양병식과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발간하다. 김경린, 김규동, 김차영, 이봉래, 조향 등과후반기동인 결성하다.

1950(25) 1경향신문입사하다. 한국전쟁 겪다. 9월 딸 세화(世華) 태어나다.

1951(26) 5월 육군종군작가단에 참여하다.

1952(27) 515일 존 스타인벡의 기행문 소련의 내막번역해서 간행하다. 616주간국제후반기 동인 문예특집에 평론 발표하다.

1953(28) 5월 차남 세곤(世崑) 태어나다. 7월 중순 서울로 돌아오다.

1954(29) 1월 오종식, 유두연, 이봉래, 허백년, 김규동과 한국영화평론가협회발족하다.

1955(30) 35일 미국 여행하다. 101일 시작품 목마와 숙녀(시작) 발표하다. 1015일 시집 선시집간행하다.

1956(31) 3월 시작품 세월이 가면이진섭 작곡으로 널리 불리다. 320일 오후 9시 자택에서 타계해 322일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다.

1959(3주기) 1010일 윌러 캐더의 장편소설 이별번역해서 간행되다.

2014(58주기) 725일 이정숙 여사 별세하다.

 

 

■ 엮은이 소개

 

맹문재

편저로 박인환 번역 전집』 『박인환 전집』 『박인환 깊이 읽기』 『김명순 전집-·희곡』 『김규동 깊이 읽기』 『한국 대표 노동시집(공편) 이기형 대표시 선집(공편) 김후란 시전집(공편), 김남주 산문전집, 시론 및 비평집으로 한국 민중시 문학사』 『패스카드 시대의 휴머니즘 시』 『지식인 시의 대상애』 『현대시의 성숙과 지향』 『시학의 변주』 『만인보의 시학』 『여성시의 대문자』 『여성성의 시론』 『시와 정치등이 있다. 고려대 국문과 및 같은 대학원 졸업. 현재 안양대 국문과 교수이다.

 

 

■ 목차

 

책머리에

 

1신시론

고리키의 달밤

 

2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장미의 온도

열차 / 지하실 / 인천항 / 남풍 / 인도네시아 인민에게 주는 시

 

3선시집(選詩集)

 

서적과 풍경

세 사람의 가족 / 최후의 회화(會話) / 낙하 / 영원한 일요일 / 자본가에게 / 회상의 긴 계곡 / 일곱 개의 층계 / 기적인 현대 / 불행한 신() / 검은 신()이여 / 미래의 창부(娼婦) / 밤의 노래 / /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 불신의 사람 / 서적과 풍경 / 1953년의 여자에게 / 종말 / 밤의 미매장(未埋葬) / 의혹의 기() / 문제 되는 것 / 눈을 뜨고도 / 행복 / 미스터 모()의 생과 사 / 목마와 숙녀 / 센티멘털 저니

 

아메리카 시초(詩抄)

태평양에서 / 15일간 / 충혈된 눈동자 / 어느 날 / 어느 날의 시가 되지 않는 시 / 여행 / 수부(水夫)/ 에버렛의 일요일 / 새벽 한 시의 시 / 다리 위의 사람 / 투명한 버라이어티

 

영원한 서장(序章)

어린 딸에게 / 한 줄기 눈물도 없이 /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 / 검은 강 / 고향에 가서 / 신호탄 / 무도회 / 서부전선에서 /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야기할 때 / 새로운 결의를 위하여

 

서정 또는 잡초

식물 / 서정가(抒情歌) / 식민항(植民港)의 밤 / 장미의 온도 / 나의 생애에 흐르는 시간들 / 불행한 샹송 / 사랑의 파라볼라(Parabola) / 구름 / 전원(田園)

 

4부 기타 시편들

 

언덕 / 정신의 행방을 찾아 / 1950년의 만가 / 약속 / 바닷가의 무덤 / 구름과 장미 / 봄은 왔노라 / 가을의 유혹 / 봄 이야기 / 주말 / 무희(舞姬)가 온다 하지만 / 하늘 아래서 / 대하(大河) / 환영의 사람 / 봄의 바람 속에 / 인제

 

5부 유고 시

 

죽은 아폴론 / 뇌호내해(瀨戶內海) / 침울한 바다 / 옛날의 사람들에게 / 이국 항구 / 세월이 가면 / 5월의 바람 / 3·1절의 노래 / 거리 / 어떠한 날까지 / 이 거리는 환영한다

 

6부 번역 시

 

도시의 여자들을 위한 노래

 

작품 해설

작품 연보

박인환 연보

부록

      박인환의 전기 시작품에 나타난 동아시아 인식 고찰

      박인환의 시에 나타난 엘리엇과 스펜더의 시론 수용 양상

 

 

■ 출판사 리뷰

 

맹문재 교수가 엮은 박인환 시 전집박인환 번역 전집에 이어 해방기 이후 한국의 모더니즘 시 운동을 주도한 박인환 시인의 시작품을 작품집 발간 순서로 분류한 뒤 발표 연대순으로 모아 해설을 달았다.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등의 대표작을 남긴 시인이 타계하기까지 남긴 작품 수는 총 89편이다. 1편의 번역 시도 남겼다.

박인환 시인은 1948신시론동인을 결성하여 동인지 신시론을 발간한 데 이어 1949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간행하며 해방기의 모더니즘 시 운동을 이끌었다. 시민 정신을 토대로 제국주의에 맞서 진정한 민족해방과 민족국가 건설을 꿈꾸었던 시인은 한국전쟁의 발발로 말미암아 모더니즘 시 운동을 지속할 수 없었지만, 한국전쟁 이후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쳐 1955선시집을 간행했다. 박인환 시인은 이 시집에서 한국전쟁이 가져온 참상과 모순과 비인간적인 모습들을 감각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담았다.

박인환 시 전집신시론,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선시집(選詩集)에 실었던 시 작품과 번역 시, 유고 시, 기타 지면에 발표한 시 등을 각 부로 나누어 실었다. 해방기의 정치적으로 혼란한 한국전쟁의 참상을 역사의식을 가지고 노래한 박인환 시인의 목소리가 생생하다.

 

 

■ 책머리에 중에서

  

작년에 인제군 문화재단의 지원으로 박인환 번역 전집을 선보인 데 이어 두 번째 성과물로 박인환 시 전집을 간행한다. 내년에는 박인환 영화평론 전집을 간행할 예정이다. 이렇게 박인환 시인의 창작물을 최대한 발굴해 모으는 일이 연구자로서 우선적으로 해야 할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중략)

 

박인환의 시 대하(大河)의 다음 구절이 필자의 그 마음이다.

 

역사와 황혼을 품 안에 안고

인생처럼

그리고 지나간 싸움처럼

굽이치며 노도하며

내 가슴에 큰물이 흐른다.

 

 

■ 작품 해설

  

박인환 시인은 한국전쟁이 휴전된 뒤부터 타계할 때까지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쳤는데, 특히 1955선시집을 간행한 것은 의미가 크다. 시인이 생전에 남긴 유일한 시집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시인의 시 세계가 집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를 쓴다는 것은 내가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지지할 수 있는 마지막 것이었다. 나는 지도자도 아니며 정치가도 아닌 것을 잘 알면서 사회와 싸웠다.”라고 선시집의 후기에서 밝힌 데서 보듯이 박인환 시인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시대 상황을 적극적으로 담아내었다. 전쟁으로 인한 비인간적인 폭력과 모순에 맞섰던 것이다.(중략)

박인환 시인의 역사의식은 대하처럼 넓고도 깊다. “역사와 황혼을 품 안에 안고/인생처럼/그리고 지나간 싸움처럼/굽이치며 노도하며/내 가슴에 큰물이 흐르는 것이다. 그리하여 시인은 침울한 큰물이 흐르는 앞에 서서 과거는 잠자고/오직 대하가 있다라는 세계인식으로 한국전쟁의 상황을 직시하고 있다. 마치 목마와 숙녀에서 제2차 세계대전 때 생을 마감한 버지니아 울프나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 것처럼 전후의 상황을 회피하지 않고 담고 있는 것이다.(중략)

박인환 시인이 1926815일 강원도 인제에서 태어나 195632031세의 나이로 타계하기까지 남긴 시 작품 수는 총 89편이다. 1편의 번역 시도 남겼다. 혼란한 해방기의 정국과 3년 이상 지속된 한국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이룬 것으로 대단한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박인환 시인은 해방기의 정치적인 혼란과 한국전쟁의 참상으로 인한 고통에도 좌절하지 않고 역사의식을 견지하고 작품 활동을 했다. 모더니즘 시 운동을 추구하며 새로운 시의 흐름을 이끌면서 자신이 살아가던 시대와 사회를 적극적으로 담아낸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