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간504

[영남일보] 정영진, <대구 이야기> [신간] 국난기의 사건과 인물로 보는 대구 이야기…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까지 대구의 몸부림 기자 출신 저자 지역신문 토대 서술 100년 전 코로나·삼성 초기史 등 소개 '대구의 별칭' 탐색작업으로 책 펴내 일제강점기~해방공간~6·25전쟁 시기 사건과 인물을 이야기하며 사실에 근거해 대구의 비사를 다뤘다. 대구 근현대사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저자는 책을 쓰면서 과거에 보도된 영남일보를 비롯해 지역신문을 샅샅이 뒤졌다고 했다. 저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1945년 10월에 창간한 영남일보는 이듬해 남선경제신문으로 출발한 매일신문보다 역사가 오래되었고 영향력도 훨씬 컸다"면서 "나는 매일신문 공채 출신으로 6·25전쟁 이후 입사해 70년대까지 기자생활을 했지만 투철한 기자정신을 가진 영남일보 선.. 2021. 6. 4.
[조선일보] 유민영, <사의 찬미와 함께 난파하다> “윤심덕-김우진 동반 情死, 한국 예술 발전 10년 이상 후퇴시켰다” 유민영 단국대 명예교수, 연구서 ‘사의 찬미와 함께 난파하다' 내 한국 공연예술 연구가이자 연극평론가인 유민영 단국대 석좌교수가 최근 낸 연구서 ‘사의 찬미와 함께 난파하다: 윤심덕과 김우진’(푸른사상)에서 재구성한 윤심덕(1897~1926)과 김우진(1897~1926) 최후의 모습이다. ‘사의 찬미’로 일세를 풍미했던 성악가 윤심덕과 극작가 김우진의 현해탄 동반 정사(情死)는 큰 파란을 일으켰다. 최근에도 영화 ‘사의 찬미’(1991), 동명의 연극(1988)과 뮤지컬(2005), 이종석과 신혜선이 주연을 맡은 드라마(2018), 뮤지컬 ‘글루미 데이’(2012) 등으로 그들의 이야기는 끊임없이 변주됐다. 유 교수는 두 사람의 평전인.. 2021. 5. 31.
이화형,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 분류--여성학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 이화형 지음|지식에세이 7|128×188×12 mm|202쪽 14,900원|979-11-308-1790-3 03330 | 2021.5.25 ■ 도서 소개 매화같이 은은한 향기를 품은 순수 시인, 이매창 이화형 교수의 기생 이야기 세 번째 책인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가 푸른사상 로 출간되었다. 남성 중심적이었던 조선 사회에서 기생이라는 신분이 갖는 운명적 구속과 현실에 부딪치며, 자유롭고 풍류적인 삶을 갈망했던 시인 이매창의 삶을 조명한다. ■ 저자 소개 이화형 경희대학교와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이다. 국문학에서 학문의 폭을 넓혀 한국문화 전반에 관한 연구를.. 2021. 5. 27.
[광주일보] 김정원, <아득한 집> 고향·자연·부모님…일상을 노래하다 김정원 시인 시집 ‘아득한 집’ 펴내 담양 출신 김정원 시인이 시집 ‘아득한 집’(푸른 사상)을 펴냈다. 이번 작품집에는 고향과 자연 풍경, 부모님 등 일상의 소재들을 노래한 작품들이 담겨 있다. ‘비’, ‘겨울호수’, ‘딱따구리’, ‘명옥헌’, ‘잃어버린 숲’, ‘어머니’ 등 고향을 배경으로 써내려간 시들이 대부분이다. “살갑게 웃는 민들레, 토끼풀, 제비꽃, 할미꽃, 냉이꽃은 온 누리에 향기를 내뿜어 겨울잠에서 벌과 나비를 깨운다. 꿩들이 대놓고 사랑을 부르는 산기슭. 까치 부부는 떡갈나무 우듬지에 신방을 차리고 부지런히 새끼를 기른다.” 시인의 말은 영산강이 대숲을 에돌아 흐르고 맑고 푸른 자연이 펼쳐진 담양의 산수를 떠올리게 한다. 자연이 들려주는 이야기와 삶은 .. 2021. 5. 26.
[세계일보] 정영진, <대구 이야기> [새로 나온 책] 쿠르스크 외 대구 이야기(정영진/푸른사상/2만원)=‘일제강점 초기 대구 풍정과 인물들’, ‘항일과 굴종의 수난시대’, ‘해방공간의 혼란과 좌절’, ‘분단과 전란에 찌든 시대상’, ‘혼돈 속에 자아 찾기 몸부림’ 5부로 구성된 이 책은 일제강점기부터 좌우 대립이 심했던 해방기, 한국전쟁기, 그리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구 민초들의 삶을 주요 사건과 인물들로 탐색한다. 세계일보, "[새로 나온 책] 쿠르스크 외", 2021.5.23 링크 : http://m.segye.com/view/20210521511265 2021. 5. 24.
[연합신문] 정영진, <대구 이야기> [신간] 오래된 질문 ▲ 대구 이야기 = 정영진 지음. '일제강점 초기 대구 풍정과 인물들', '항일과 굴종의 수난시대', '해방공간의 혼란과 좌절', '분단과 전란에 찌든 시대상', '혼돈 속에 자아 찾기 몸부림' 등 5부로 구성된 이 책은 일제강점기부터 좌우 대립이 심했던 해방기, 한국전쟁기, 그리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구 민초들의 삶을 주요 사건과 인물들로 탐색한다. 오늘날 대구는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지역이라는 인식이 고착돼 있다. 하지만 과거의 대구는 어느 지역보다 저항적이고 진보적인 도시였다. 3·1 만세운동은 대구에서 단초가 돼 전국으로 퍼져나갔고, 1980년대 대구·경북 지역의 민주화운동 세력이 지배세력의 탄압에 맞서 치열하게 투쟁했다. 책은 이들 역사 이야기 외에 대구의 명물 거리인 종로.. 2021.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