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소개
Q방법론은 인간의 가치나 태도, 신념과 같은 주관성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연구자의 가정이 아니라 행위자의 정의로부터 시작하며,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이 아니라 가설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심리학은 물론 사회과학 전반에서 사용되는 접근방법이며, 연구방법인 동시에 분석방법이다. Q방법론은 오늘날 인간의 주관성이 작용하는 모든 영역에서 그 적실성과 유용성을 입증하고 있다
‘주관성’이란 인간의 내적인 특성으로 가치나 태도, 신념과 같은 모든 주관적 영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Q방법론은 이러한 인간의 내면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자면 이런 것이다.
소비자들이 유명 브랜드의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에 대해, 기존의 통계적 방법론에서는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 등 객관적 사실에만 의존해 결과를 분석한다. 하지만 소비자의 구매에는 단순히 객관적 사실만 작용하는 게 아니다. 브랜드에 대한 느낌과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과시욕이라는 인간 내면의 속성, 즉 주관성에 의해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즉 객관적 사실만으로는 분석할 수 없는 현상, 주관적 속성에 의한 현상을 분석해 내는 것이 Q방법론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인간의 주관성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치, 저널리즘, 광고, 마케팅, 심리, 쿤화, 보건,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주관성 연구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 사례를 통해 전개하고 있습니다.
‘주관성’이란 인간의 내적인 특성으로 가치나 태도, 신념과 같은 모든 주관적 영역을 포괄하는 것으로, Q방법론은 이러한 인간의 내면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자면 이런 것이다.
소비자들이 유명 브랜드의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에 대해, 기존의 통계적 방법론에서는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 등 객관적 사실에만 의존해 결과를 분석한다. 하지만 소비자의 구매에는 단순히 객관적 사실만 작용하는 게 아니다. 브랜드에 대한 느낌과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과시욕이라는 인간 내면의 속성, 즉 주관성에 의해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즉 객관적 사실만으로는 분석할 수 없는 현상, 주관적 속성에 의한 현상을 분석해 내는 것이 Q방법론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인간의 주관성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치, 저널리즘, 광고, 마케팅, 심리, 쿤화, 보건,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주관성 연구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 사례를 통해 전개하고 있습니다.
2. 저자약력
한국주관성연구학회
본 학회는 현재 심리학, 언론학, 정치학, 행정학, 광고학, 사회학, 법학, 디자인, 마케팅, 보건학, 간호학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학자로 구성된 250 여 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년 2회 정기 국내학술대회, 그리고 매년 가을에 열리는 국제학술대회 등의 학술교류를 통해 Q 방법론의 적실성과 유용성을 검증해 오고 있다.
또한 본 학회가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주관성 연구>와 영문학술지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는 국내 회원뿐 아니라 해외로부터 여러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국제주관성연구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ISSSS)에서 발행하는 Operant Subjectivity와 함께 공식저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주관성연구학회는 앞으로 새로운 방법론과 패러다임을 통해 학문발전과 과학의 진보에 힘쓸 것이며,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본 학회는 현재 심리학, 언론학, 정치학, 행정학, 광고학, 사회학, 법학, 디자인, 마케팅, 보건학, 간호학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학자로 구성된 250 여 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년 2회 정기 국내학술대회, 그리고 매년 가을에 열리는 국제학술대회 등의 학술교류를 통해 Q 방법론의 적실성과 유용성을 검증해 오고 있다.
또한 본 학회가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주관성 연구>와 영문학술지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는 국내 회원뿐 아니라 해외로부터 여러 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국제주관성연구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ISSSS)에서 발행하는 Operant Subjectivity와 함께 공식저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주관성연구학회는 앞으로 새로운 방법론과 패러다임을 통해 학문발전과 과학의 진보에 힘쓸 것이며,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3. 도서목차
서문
추모의 글
제1부 이 론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김흥규
Q-블럭과 Q-도구의 일치도 연구 김흥규
제2부 정치ㆍ저널리즘
Q방법론의 정치학적 적실성과 적용 가능성 김흥규
정치부 기자들의 정치인 인식 유형 연구 임도경
새터민들의 주관성과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 길병옥·김창남
불확정성의 공포, 교조와 과학적 자유 김웅진
제3부 방송ㆍ뉴미디어
텔레비전 뉴스 수용자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흥규·김우룡
텔레비전 생활정보프로그램의 소재 선호요인 연구 김흥규·차찬영
모바일 N스크린 수용자 연구 윤용필·김흥규
이주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제4부 광고ㆍ마케팅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관한 주관성 탐색 최원주
제3의 공간으로서의 카페 김흥규·오세정
한류현상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허유정
브랜드 로고(logo) 디자인 전략 김흥규·오주연
Q방법론을 활용한 멤버십 서비스에 대한 각기 다른 소비자 유형 탐색 황상민·유상원
제5부 보건ㆍ의학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주관성 연구 권미형·김분한·김윤정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윤은자·김현정·전미순·윤정아
미용 성형수술을 통한 미적 관점에 관한 연구 김봉인·장서지
노화에 대한 주관성 연구 전미영·김명희·조정민
심상유도음악치료 경험자의 주관성 연구 이난복·김흥규
추모하며
찾아보기
추모의 글
제1부 이 론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김흥규
Q-블럭과 Q-도구의 일치도 연구 김흥규
제2부 정치ㆍ저널리즘
Q방법론의 정치학적 적실성과 적용 가능성 김흥규
정치부 기자들의 정치인 인식 유형 연구 임도경
새터민들의 주관성과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 길병옥·김창남
불확정성의 공포, 교조와 과학적 자유 김웅진
제3부 방송ㆍ뉴미디어
텔레비전 뉴스 수용자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흥규·김우룡
텔레비전 생활정보프로그램의 소재 선호요인 연구 김흥규·차찬영
모바일 N스크린 수용자 연구 윤용필·김흥규
이주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제4부 광고ㆍ마케팅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관한 주관성 탐색 최원주
제3의 공간으로서의 카페 김흥규·오세정
한류현상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허유정
브랜드 로고(logo) 디자인 전략 김흥규·오주연
Q방법론을 활용한 멤버십 서비스에 대한 각기 다른 소비자 유형 탐색 황상민·유상원
제5부 보건ㆍ의학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주관성 연구 권미형·김분한·김윤정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윤은자·김현정·전미순·윤정아
미용 성형수술을 통한 미적 관점에 관한 연구 김봉인·장서지
노화에 대한 주관성 연구 전미영·김명희·조정민
심상유도음악치료 경험자의 주관성 연구 이난복·김흥규
추모하며
찾아보기
'2014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발자전거를 탄 어머니 (0) | 2014.06.13 |
---|---|
서용좌, 표현형 (0) | 2014.06.03 |
신동욱, 한국 문학과 시대의식 (0) | 2014.05.28 |
김윤정, 불확정성의 시학 (0) | 2014.05.16 |
정정호, 피천득 문학 연구 (0) | 2014.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