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학(시)
유년의 그리움
박영욱 지음|푸른시인선 27|130×215×8mm|144쪽|15,000원
ISBN 979-11-92149-46-2 03810 | 2024.3.15
■ 시집 소개
자연이라는 영원의 세계와 일상에서 길어 올린 서정의 물결
박영욱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유년의 그리움』이 <푸른시인선 27>로 출간되었다. 이 시집에는 자연이라는 영원의 세계와 일상 속에서 길어 올린 서정의 물결이 넘실거린다. 시인이 유년에 대한 그리움과 지나간 아름다운 추억을 회상하며 만들어낸 시간의 감각은 소중하기만 하다.
■ 시인 소개
박영욱 朴永旭
1956년 3월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연세대 중문과를 졸업한 후 세화여고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글쓰기를 권유했던 아버지(시인 박두진) 말이 떠올라 늦은 나이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시산문집으로 『나무를 보면 올라가고 싶어진다』(2022)가 있다.
■ 목차
■ 自序
제1부 겨울에게
아기 바람 / 귀룽나무 / 파란 하늘 / 달개비 꽃 / 환상(幻想) / 매미 소리 / 무른 바위 위에 누워 / 입체 영화 / 폭우를 만나다 / 범속(凡俗) / 무례한 도래 / 아! 할보르센 / 겨울에게 / 가여운 별 / 발레리나 / 비와 흙 / 어둠의 강
제2부 작별 인사는 우리 하지 말아요
태양 / 행진 / 내 앞의 시간 / 연민 / 추억 / 애상(哀傷) / 낙타 / 표류(漂流) / 서양등골나물 / 작별 인사는 우리 하지 말아요 / 신(神) / 젖은 산 / 인생 / 확고한 행복 / 저녁 바람에는 그리움이 묻어 있다 / 석양 / 나무의 마음
제3부 유년의 그리움
시상(詩想) / 산봉우리 / 운동회 날 / 산에서는 / 허무 / 권태 / 상실 / 산비둘기와 나 / 딸 / 두부 장수 할아버지 / 약국집 아이 / 붉은 노을 / 햇빛의 광채가 숨어 있으리라 / 탄생 / 초롱꽃 / 유난한 산책 / 유년의 그리움
제4부 목포(木浦)
신나는 고독 / 마음을 내다 / 그들은 우리에게 / 봄은 위대하다 / 도망자 / 그녀 / 미망의 울타리 / 기대감 / 우물 / 근심 / 목포(木浦) / 아름다운 절규 / 폭염 / 빗방울 / 밤이 흐른다 / 숲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다 / 슈퍼 블루문
작품 해설 : 일상 속에서 걸러진 영원의 스펙트럼 _ 송기한
■ ‘자서(自序)’ 중에서
요즘 산길을 걸을 때면 종종
일상에서 잊고 살았을 본래의 내 모습이나
어딘가에 들러붙어 있을 내 기질의 재발견을 꿈꾸게 된다.
평온함과 아늑함으로 착각한
나태함이나 안일함을 유지하려고
호기심이나 마음의 불꽃을 외면하고 싶지 않다.
나에게 더없이 신성한
自然과의 접촉 작업을 이어가고 싶다.
사라져버린 기억의 심층을 파헤쳐
다시 떠올리는 작업일지도 모른다.
■ 작품 세계
박영욱의 『유년의 그리움』은 시간의 감각이 만들어낸 시집이다. 인간이 존재론적 불안에 사로잡히게 되는 가장 결정적인 준거틀 가운데 하나가 이른바 죽음이라는 한계 의식이다. 그러한 한계의 저변에 놓여 있는 것이 시간이다. 그것이 인간으로 하여금 파편화된 정서, 불구화된 감각으로 만들거니와 모든 인간에게 다가오는 존재론적 불안은 이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존재론적 불안이란 근원적인 것이어서 욕망에 억압된 사람이나 죽음이라는 한계 의식에 갇힌 사람들에게, 궁극에는 모든 인간에게 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의식이다. 그러한 까닭에 그 대항 담론으로 언제나 제시되고 있는 것이 영원의 정서이다. 이 정서를 가장 잘 대변하고 있는 것이 자연이거니와 자연은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간취할 수 있는 소재들이라는 특징적 단면을 갖고 있다. 한국 시사에서 자연이 서정시의 주된 소재 가운데 하나로 자리한 것도 이 때문이고, 박영욱 시인이 초기 시에서 주목한 것도 이 부분이었다.
박영욱 시인이 이번 시집에서 보여준 시선의 이동, 시점의 변화는 자연보다는 일상에서 비롯되고 있다. 그래서 막연히 기투하고자 했던 자연이 아니라 현재의 파편화된 정서를 통해서 탐구되는 자연이라는 특징적인 단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 저변에 놓인 것이 일상이라는 견고한 틀이었고, 이를 지배하고 있었던 것이 죽음이라는 한계 상황이었다. 죽음이라는 상황은 한계 시간 의식과 분리하기 어려운, 절대적인 지대이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이 주로 관심을 표명한 부분이 바로 이 시간과 관련된 담론들이었다. 한계 상황이 가져오는 파편화된 시간을 영원의 시간, 곧 회복의 시간으로 서정화하는 것, 그것이 이번 시집의 전략적 주제였다고 할 수 있다.
―송기한(대전대 국문과 교수) 해설 중에서
■ 시집 속으로
내 앞의 시간
아직은, 내게 어김없이 다가오고 있는 시간들
도처에서 시간이 우쭐대며 활보한다
푸른 산 어딘가에서
바람난 새처럼 촐싹대며 왔다가
실심한 사람처럼 조용히 사라져버린다
하이데거는 관념으로
스티븐 호킹은 물리의 공식으로
그 기원과 흔적을 찾으려 했었지만
시간은 여전히 자신의 정체를 내보이지 않고 있다
지금 당장 파삭 깨뜨려 실체를 알아내고 싶다
언젠가, 내게 분 초만을 남겨놓겠지…
아! 이 시점에서 무얼 어떻게 해야 하나
지레 나자빠지는 체념인가
겸허하게 받아내는 포용인가
시간들이 내게서 휘적휘적 자꾸 멀어져만 간다
허무가 나를 어디 으슥한 데로 끌고 간다
다가올 슬픈 어느 날이 그려지니 가슴이 아릿해진다.
유년의 그리움
유년의 그리움은
서걱거릴 때마다 한 움큼씩 덜어내거나
주저앉히고 싶은 그런 것이 아니다
스르륵 스며드는 비감(悲感)으로
아른대는 미련에 젖게 되는 그런 것도 아니다
유년의 그리움은
쓸쓸해지거나 갈수록 멀어지지 않고
꺼내보면 볼수록 다가오는 그런 것이다
자욱했다가 이내 사라져버리는 새벽안개 같지 않고
언제나 깊은 품 안에 간직되는 그런 것이다
유년의 그리움은
가슴에 살가움이 얹혀지고
사르륵 온기가 퍼져서
마음껏 그리워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은 그런 것이다.
숲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다
부박스러운 세월 속에서
그럭저럭 분별은 유지하려고
적당히 비우며 살아가고 있지만
생선가시 같은 것이 늘 가슴에 걸려 있는 것 같다
자유를 가슴에 안고
대기(大氣)를 타고 다니는
여행자처럼 살고 싶지만
뜻하지 않게 가끔씩
회보라빛 하늘 아래
한숨 한숨도 내뱉기 버거울 때가 있다
그렇지만, 숲속에선 마음 상할 일이 없다
든직한 푸른 숲
그 청림(靑林) 속으로 들어서면
바람결 사이에 몸이 끼어들면서
맑게 정제된 황홀감과
온몸을 훑어내리는 청량감에
흠씬 젖어들게 된다
무턱대고 가져보는 찰랑대는 희망에
스스로가 벅차올라
자신도 모르게 움찔거리게 된다
숲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다.
'2024 신간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영원 청소년시집, <마음 아픈 사람들이 많은가 봐> (1) | 2024.03.15 |
---|---|
푸른생각// 박영욱 시집, <정적이 깨지다> (0) | 2024.03.13 |
주수자 희곡집, <공공공공> (1) | 2024.02.21 |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올해의 문제소설> (0) | 2024.02.16 |
푸른생각/ 윌리엄 셰익스피어, <헨리 4세 2부> (1) | 2024.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