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간행도서

한국현대문학사에서 본 황순원 문학 연구

by 푸른사상 2013. 4. 5.







도서소개



한국현대소설사에서 황순원 문학은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큰 봉우리의 하나이다. 이것은 단지 그의 문학이 지닌 예술적 형상성의 우수함 때문만은 아니다. 또한 그의 문학이 해방 전 소설사와 해방 후 소설사를 지속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문학사적 다리이기 때문만도 아니다. 그의 문학은 험난한 역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끊임없이 인간사랑과 생명사랑 그리고 자유사랑의 불씨를 지펴주기 때문이다. 또한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끝내 절망하지 않고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는 힘과 희망을 불러일으켜 주기 때문이다. 나아가 역사와 현실, 사회와 상황을 직시하고 비판하면서도 여기에 머물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생명주의, 인도주의, 자유주의, 영원주의를 지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또한 형이상학적 주제의 진지함을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 그 참된 의미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인간적 절조와 민족혼을 밑바탕으로 하면서도 끊임없는 실험정신으로 변모하고 스스로 뛰어넘는 황순원의 예술혼은 그의 투철한 작가정신과 함께 우리에게 소중한 정신적 자산과 덕목으로 자리 잡을 수 있으리라 본다.
이에 이 책은 주제의식의 전개양상과 지향성을 중심으로 황순원 문학을 5기로 나누어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근본적으로 황순원 문학이 현실과 역사로부터 벗어난 도피의 문학이 아니라 끊임없이 현실응시와 탐구 속에서 예술적 형상화를 시도해온 작가의 능동적 의지의 소산이라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한국문학사에서 황순원 문학을 좀 더 새로운 시각으로 재평가하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하였으면 한다. 그리고 독자들에게 황순원 문학과 그의 작가정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새롭게 읽혀지기를 기대한다.





저자소개



이화여고를 졸업하고, 경희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황순원소설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가천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편·저서로는 『황순원 문학연구』 『현실인식과 인간의 길』 『황순원 다시 읽기』 『한국소설의 얼굴』전18권 『강의실에서 소설읽기』 『김현승 시선』 외 다수 있으며, 논문으로는 「김동리 소설의 민족의식과 허무의식」 「김동리의 〈사반의 十字架〉, 그 실상과 허상」 「김유정 문학 특질고」「사랑의 탈신비화와 자아 찾기의 도정: 은희경론」 「타자와의 거리, 현실인식의 극대화: 은희경론」 「성, 자유로운 인간의 길: 은희경론」 「틀 벗어나기, 존재의 상징적 소멸: 은희경론」 「작품세계로 본 황순원 연보」 「현대소설에 나타난 만주체험-〈북간도〉를 중심으로」 「최명희 초기단편소설 연구」 「최명희 단편소설 연구」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 분석」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제1장 서 론

제2장 주제의식의 전개양상과 지향성
1.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1) 시적 소설과 모더니티 지향성, 단편집『늪』
2) 일제하 민족현실과 극복지향성, 단편집『기러기』
3) 일제하 농민들의 수난상과 그 반영, 장편『별과 같이 살다』
4) 해방 후 민족현실과 비판적 리얼리즘, 단편집『목넘이마을의 개』
2.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1) 전쟁의 상흔과 현실인식의 확대, 단편집『曲藝師』
2) 이념의 갈등과 초극의지, 단편집『鶴』
3) 역사의식의 심화와 인도주의의 추구, 장편『카인의 後裔』
4) 전쟁고아의 문제와 인간애의 구현, 장편『人間接木』
3.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1) 애정의 절대성과 생명주의, 단편집『잃어버린 사람들』
2) 아가페적 사랑과 영원주의, 중편『내일』
3) 생명존중사상과 실존의식, 단편집『너와 나만의 時間』
4) 전쟁의 비극과 사랑의 순수성, 장편『나무들 비탈에 서다』
4.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1) 사회적 삶과 실존적 삶의 갈등, 장편『日月』
2) 실존적 삶의 인식과 삶의 총체성 추구, 단편집『탈』
3) 방황과 형이상성의 추구, 장편『움직이는 城』
5.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1) 구원과 자유의 문제, 장편『神들의 주사위』
2) 사랑과 구원의 길, 단편「그물을 거둔 자리」외

제3장 결 론

제2부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이미지 연구
1. 머리말
2. 거짓과 진실 혹은 육체와 영혼의 가면:모래 이미지
3. 그리움의 불꽃, 어머니 그리고 조국:별 이미지
4. 결론:모래와 별 사이에서

부록
황순원 작품 목록
작품세계로 본 황순원 연보
주제별로 본 황순원 단편소설
황순원 연구논저 발표연대별 총목록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