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 간행도서

김영현 산문집, <생의 위안>

by 푸른사상 2022. 4. 6.

 

분류--문학(산문)

 

생의 위안

 

김영현 지음|푸른사상 산문선 44|150×217×20mm(하드커버)|256쪽

19,800원|ISBN 979-11-308-1903-7 03810 | 2022.3.30

 

 

 

■ 도서 소개

 

격동의 시대를 살아온 한 소설가의 문학적 순례기

 

김영현 작가의 산문집 『생의 위안』이 <푸른사상 산문선 44>로 출간되었다. 불의가 만연했던 격동의 시대에 온몸으로 부딪히며 문학의 길을 걸어온 소설가의 인생 여로가 펼쳐진다. 삶과 죽음의 철학을 사유하는 그의 산문들은 진정한 생의 가치를 찾는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과 위안을 준다.

 

 

■ 작가 소개

 

김영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84년 창비신작소설집에 단편소설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 『해남 가는 길』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라일락 향기』, 장편소설 『풋사랑』 『낯선 사람들』 『폭설』, 시소설 『짜라투스트라의 사랑』, 시집 『겨울바다』 『남해엽서』, 산문집 『나쓰메 소세키를 읽는 밤』, 기행문 『서역의 달은 서쪽으로 흘러간다』, 철학 산문집 『죽음에 관한 유쾌한 명상』 『그래, 흘러가는 시간을 어쩌자고』가 있으며 1990년 한국일보문학상, 2007년 무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명지대, 한신대, 국민대 등에서 소설 창작을 강의하였고,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과 실천문학 대표를 역임하였다. 지금은 경기도 양평에서 창작에만 전념하고 있다.

 

 

■ 목차

 

▪ 작가의 말

 

1부 그냥 걸려온 전화 한 통

생의 위안 / 그냥 걸려온 전화 한 통 / 마술 / 양철 지붕 아래서 / 장롱 이야기 / 고추장 한 병으로 남은 여름

 

2부 군종 사병

군종 사병 / 소금 논쟁 / 고추장과 단식 / 내 사랑 딜라일라 / 개다리 영감의 죽음 / 별 / 시골 한의사, 우리 아버지

 

3부 은자의 황혼

소설가 박완서 선생과 함께 / 은자의 황혼 / 엄마 하느님 / 그해 겨울의 톱밥난로

 

4부 슬픔의 힘

블라디보스토크에 세운 문학비 / 태항산에 항일문학비를 세우다 / 절간에서 훔쳐 먹은 김치 / 일기를 태우며 / 슬픔의 힘 / 독서만필(讀書漫筆) / 나의 문학 이야기

 

 

■ '작가의 말' 중에서

 

과연 행복한 글쓰기란 가능한 것일까?

글을 쓴다는 행위는 자신의 내면에 깃든 상처를 정직하게 바라보는 일이다. 나아가서 자신의 내면에 깃든 상처뿐만 아니라, 타인, 그리고 역사와 같은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벌어졌던 상처까지 들여다보고 보듬어나가야 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고통 없이 글을 쓴다는 것은 분명 어려운 일일 것이다.

작가에게 작품이란 그 고통 끝에 탄생한 아름다운 한 송이 꽃과 같은 것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창작의 열기로 뜨거웠던 시절, 달랑 노트북 하나에 가방 하나를 챙겨서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던 시절이 행복했고, 그립다. (중략)

모쪼록 이 글들이 나와 함께 격동의 시대를 살아왔고, 함께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작은 위안이 되길 바랄 뿐이다. 빨리 봄이 와 내 서재 앞 배롱나무에도 붉은 꽃들이 가득가득 피어났으면 좋겠다. 모두에게 평안과 행운을 빈다!

 

 

■ 추천의 글

 

하찮은 것에서 위대함을, 비루한 것에서 장엄함을 느끼게 해주는 그의 산문들은 생에 대한 절실함과 간절함으로 뼈 아픈 영혼들을 거두어들인다. 그래서인지 마치 욕망을 비워낸 자리에 고귀한 것이 들어와 앉은 것 같은, 정신적으로 고양된 느낌을 받게 된다. 그의 산문들은 그거 그냥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가 좋아하는 러시아 작가 안톤 체호프의 빛나는 단편들처럼 재미와 감동을 함께 안겨준다. 읽을 때마다 들으면서도 듣지 못했던 소리가 들리고, 보면서도 보지 못했던 것들이 뚜렷이 보인다. 책장을 덮으며 이렇게 적는다. “신은 문을 닫으실 때 어딘가에 창문을 열어두신다.”

─ 천양희(시인)

 

김영현의 『생의 위안』은 그의 철학산문집 제3부작(『그래, 흘러가는 시간을 어쩌자고』 『죽음에 관한 유쾌한 명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의 소설들 못지않게 기념될 것이다. 그가 고백한 증오와 분노와 미움과 집착은 얼마나 높은 마음의 벽인가. 작가는 그 감옥을 열기 위해 김남주, 박완서, 권정생, 남정현, 조명희, 김학철, 김사량, 박흥규, 김현수, 임국진, 고추장 한 병을 선물로 준 아주머니, 개다리 영감,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 등을 품는다. 그들의 선량함과 지혜로움과 역사의식을 겸손하게 배우는 것이다. 모든 산 것은 죽은 것에서 나온다(소크라테스), 상주사심(김수영), 메멘토 모리(뮤리얼 스파크)……. 시간의 강 위에 흘려보내야 하는 것과 남겨두어야 하는 것을 안다는 것은 얼마나 아름다운 생인가.

─ 맹문재(문학평론가·안양대 교수)

 

 

■ 출판사 리뷰

 

산문집 『생의 위안』은 불의가 만연했던 격동의 시대에 온몸으로 저항하며 문학의 길을 걸어온 소설가 김영현의 체험적 삶과 그 여로를 따라간다. 다난한 시대를 살아오며 억압과 폭력에 정면으로 마주한 저자의 삶의 풍경이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다가온다. 작가이자 출판인으로서 활동하며 만났던 김남주, 박완서, 권정생 등 문인들, 짧게 거쳐 간 인연들에 대한 오랜 기억과 그들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이 산문집에 녹아들어 있다.

한국 현대사의 아픔을 담아낸 작품들을 써내며 어느덧 중진에 이른 소설가가 때로는 정릉 골짜기에 혼자 사는 스님의 절간 모퉁이방에서, 때로는 양주 어느 서양화가의 빈 작업실에서 동가식서가숙하며 문학 하던 시절의 이야기 보따리가 무척 흥미롭다. 외딴 마을에서 이웃으로 만난 아주머니가 건넨 고추장 한 병이 가져다준 온기라든가, 삼십여 년간 사용한 장롱을 처분한 후에 맞이한 개운함과 서운함이 독자들의 마음에 부드럽게 스며들며 공감을 자아낸다. 체호프 등 러시아 문학에 심취한 사연과 헌책방에서 소로우 월든과 소크라테스를 만난 독서 경험도 담겨 있다.

유신독재 치하로 점철된 어두운 시대를 살아가며 장발과 통기타, 생맥주의 낭만을 빼고는 암흑과도 같았던 시절을 보낸 그는, 시대가 던지는 무거운 질문에 마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서울대에 재학하던 중 민주화 운동의 물결에 휘말려 수차례 옥고를 치렀고, 문학을 통해 삶의 무게를 견뎌야 했다. 고추장 단식과 소금 논쟁에 얽힌 우스꽝스럽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교도소 수감 시절의 에피소드는 가슴 찡한 여운을 남긴다. 우연찮게 실크로드로 떠난 저자가 사막의 낯선 풍경을 바라보며 죽음을 사유하고 생의 위안을 받았듯이, 이 책을 접한 독자들에게도 작은 위안의 손길이 닿게 되기를 바란다.

 

 

■ 작품 속으로

 

얼마나 많은 세월 동안, 얼마나 많은 무덤들이 같은 자리에 세워졌다 사라지곤 했을 것인가. 바람과 시간의 여울 속에 누군가의 흔적이 그렇게 쉽게 지워지고 있는 풍경을 바라보며 순간 나는 그동안 나를 짓누르고 있던 어떤 어두운 강박관념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듯한 깨달음 같은 것을 느꼈다.

죽음이란 것, 어쩌면 저렇게 별 게 아닌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그렇다! 누구나, 언젠가는, 죽는다. 그것보다 더 자명한 사실이 어디 있겠는가!

그것은 두려운 것도 아니고, 공포스러운 것도 아닌, 자연스러운 우리 삶의 한 현상일 뿐이다. 나아가서 어쩌면 소멸이야말로 우리 살아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축복이며 궁극적인 위안인지도 모른다. 소멸이 없다면 이 살아 있음조차 무엇이 귀할 것인가!

나는 바람 부는 사막의 한쪽에 서서 이 낯선 풍경을 바라보며 무언지 모르게 한없는 생의 위안 같은 것을 받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내 속에서 나를 괴롭히고 있었던 그 많은 죽음들을 이제 떠나보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하늘 멀리 흰 낮달 한 점이 떠 있었다.

(「생의 위안」, 22~23쪽)

 

길고 긴 겨울밤, 텅 빈 창자로 홀로 고요한 독방에 앉아 있으니 얼마나 심심했을 것인가. 책이라고 보고 있지만 눈에 제대로 들어올 리가 없다. 갇혀 있는 자에게 겨울밤만큼이나 길고 외롭고 처량한 때가 또 있을까.

고개를 들어보니 그때 구석에 놓인 비닐봉지가 눈에 들어왔다. 고추장…… 매콤 달콤한 고추장 봉지…… 생각만 해도 군침이 돌았다. 그 순간, 그의 표현에 의하면, 귓가에 악마의 소곤거림 같은 게 들려오는 듯했다고 한다.

“맛만 좀 봐. 누가 보는 사람도 없잖아. 그리고 고추장 맛 좀 봤다고 단식이 깨어졌다고 말할 사람은 아무도 없어. 살짝. 조금만. 알았지?”

마음속에 폭풍우 같은 갈등이 일었다.

밤은 너무 길었고, 아직 잠자리에 들려면 한 시간여나 남아 있었다. 적요한 어둠은 사방을 감싸고 마른 창자는 무언가를 간절하게 갈구하고 있었다. 마침내 김 목사는 손을 뻗어 고추장 봉지를 들고는, 새끼손가락 끝으로 살짝 찍어 혀에다 대었다. 그러자 혀끝에 번지는 매콤 달콤한 고추장 맛…….

(「고추장과 단식」, 107~108쪽)

 

내가 소설이라고 처음 써본 것은 대학 삼 학년 무렵이었다. 당시 법대생 선배였던 평론가 이동하 형이 나를 일컬어 ‘행복한 낭만주의자’라고 불렀던 것이 기억난다. 철없이 떠들고 걱정 없이 돌아다니는 나의 꼴에 대한 은근한 핀찬의 말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시절의 낭만이란 장발에 통기타와 생맥주를 빼고는 온통 암흑과 같았던 유신독재 치하의 낭만이었으니 지금 생각하면 참으로 우울하고 답답하던 시절이었다. 가끔 <아침이슬>을 지은 김민기가 중앙정보부로 잡혀가서 죽도록 얻어터져 병신이 되었다더라는 소문도 들렸고, 가리봉동 어느 공장에서 여공들이 똥물을 뒤집어썼다더라는 풍문도 들렸다.

우리는 최인호의 『바보들의 행진』을 읽으며 낄낄거렸고, 황석영의 『객지』를 읽으며 무언지 모를 비장함에 잠기고는 했다. 선배도 없었고, 달리 위안거리도 없었다. 신문과 방송은 모두 눈을 막고, 귀를 가리고 있었다. 그런 시절이었다.

(「나의 문학 이야기」, 247~248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