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 간행도서

전문영, <담론분석과 담론연구>

by 푸른사상 2021. 12. 2.

 

분류--인문, 언어학

 

담론분석과 담론연구

 

전문영 지음|이론과 비평총서 24|153×224×15 mm|272쪽

24,000원|ISBN 979-11-308-1856-6 93700 | 2021.12.1

 

 

■ 도서 소개

 

사회적 맥락 속 일상언어의 사용과 사고방식을

이해한 담론과 담론분석 해설서

 

전문영(서울여대 교양영어 부교수)의 『담론분석과 담론연구』가 푸른사상의 <이론과 비평총서 24>로 출간되었다.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소통하는 데 사용되는 일상언어와 그 이면에 은폐된 사고방식을 연구하는 담론분석의 핵심적인 이론들을 정리하고 있다. 담론과 담론분석에 관해 심도 있는 고찰로써 이해력이 높은 해설서이다.

 

 

■ 저자 소개

 

전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에서 「언어학적 공손성의 문화적 상대성과 보편성:충고화행」으로 2009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여대 교양영어 부교수이다.

 

 

■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담론 개념의 정의

1. 담론의 뜻

2. 담론, 담화, 텍스트

3. 언어학의 담론 개념

4. 사회과학의 담론 개념

5. 담론 개념의 요약

 

제2장 텍스트 언어학

1. 텍스트 언어학의 출현

2. 응결성과 응집성

3. 문법적 결속

4. 어휘적 결속

5. 텍스트성의 기준

 

제3장 텍스트 분석과 논증

1. 주제와 평언

2. 주제부 전개

3. 툴민의 논증 모델

4. 만과 톰슨의 응집성 관계

5. 에머런의 화용-변증법

 

제4장 대화분석

1. 이론적 배경

2. 대화분석의 기본상정

3. 대화분석의 핵심요소

4. 제퍼슨의 전사체계

5. 대화분석의 가능성과 한계성

 

제5장 푸코의 담론분석

1. 근원주의 비판

2. 지식의 고고학

3. 권력의 계보학

4. 담론의 질서

5. 푸코적 담론분석(FDA)

 

제6장 비판적 담론분석

1. 담론과 사회 불평등

2. CDA의 일반원칙

3. 페어클러프의 3차원 모델

4. 반 다이크의 사회인지적 접근

5. 보닥의 담론-역사적 접근

 

제7장 라클라우와 무페의 담론이론

1. 포스트마르크스주의

2. 상대적 자율성과 헤게모니

3. 포스트구조주의적 담론이론

4. 접합과 지배 내 구조

5. 근본적 민주주의

 

제8장 오스틴과 설의 화행이론

1. 언어행위이론

2. 발화수반행위

3. 오스틴과 설의 화행 분류

4. 발화수반력과 명제내용

5. 화행의 적절성 조건

 

제9장 그라이스의 함축과 외축

1. 대화의 격률

2. 함축과 외축

3. 비자연적 의미

4. 대화함축의 특징

5. 그라이스의 비판적 극복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책머리에 중에서

 

이 책은 담론과 담론분석에 관한 해설서로 작성한 것이다. 담론분석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언어학자 해리스(Harris)가 1952년에 발표한 「담론분석」이라는 논문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이 논문에서 그는 개별 문장 수준을 능가하는 큰 단위의 언어가 사회적 맥락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를 담론이라고 생각하였다. 해리스의 담론분석 개념은 구체적인 맥락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의 분석을 뜻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1970년대를 전후로 프랑스 철학자 푸코(Foucault)를 중심으로 확산된 담론분석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그 자체의 분석이 아니고, 일상언어의 이면에서 작동되는 정상과 비정상, 우리와 그들, 이성적 동일자와 비이성적 타자라는 위계적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뜻하는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그래서 담론분석 개념을 크게 보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의사소통에 실제로 사용되는 문장보다 큰 단위의 언어분석이라는 의미의 담론분석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가 사용하는 일상언어의 이면에 은폐된 경제적 차별화, 인종적 차별화, 성적 차별화 등 다양한 차별화와 불평등 및 사회적 억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뜻하는 담론분석 개념이다. 언어분석과 언어 이면에 작동되는 불평등에 대한 비판적 분석 사이에는 질적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질적 담론 개념의 장단점을 서로 비교하면서 각 담론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려고 노력하면 담론분석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의 2장, 3장, 4장 그리고 8장, 9장은 전자에 속하고, 5장, 6장, 7장은 후자에 속한다.

 

 

■ 출판사 리뷰

  

담론의 의미는 크게 ‘개별 문장보다 큰 단위의 언어’라는 언어의 형식을 중요시한 입장과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라는 언어의 내용과 기능을 중요시 한 입장으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이론적 입장에 따라 하나로 정리하기는 어렵다. 형식과 내용, 구조와 기능을 분리해서 파악하면, 분석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언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두 차원을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해리스가 구체적인 맥락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를 분석했다면, 1970년대 이후 프랑스의 철학자 푸코를 중심으로 담론분석 개념이 전환되어, 제도적으로 수용되는 언어 혹은 사회나 공동체에서 통용되는 언어로서 그 이면에 내재한 사고방식에 초점을 두었다.

전문영의 저서 『담론분석과 담론연구』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선행적으로 연구된 담론과 담론분석의 핵심적인 이론들을 정리하고 각 담론 개념의 특징을 서술한 해설서이다. 우리가 의사소통하는 말이나 글을 단순히 언어나 기호로 파악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사회적 맥락 속에 사용된 일상언어와 그에 따른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때 담론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언어학에서 연구가 활발한 분야의 하나로 담론이나 텍스트의 문법적 구조를 연구하는 텍스트 언어학을 들 수 있다. 할리데이와 하산, 보그란데와 드레슬러 등이 주도해온 이 이론은 텍스트 구성요소들 간의 문법적·어휘적 결속을 연구하고 내용상의 짜임새를 연구하여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려 한 것이다. 또 대화분석(CA) 이론도 주목할 만한데, 고프만의 사회학과 가핑클의 민족방법론을 토대로 대화 그 자체만을 있는 그대로 분석한 것이다. 그 외에도 푸코의 담론분석, 비판적 담론분석(CDA), 라클라우와 무페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적 담론분석, 오스틴과 설의 화행이론, 그라이스의 의미론 등을 이 책에서 다루었다.

 

 

■ 책 속으로

 

담론(discourse)이라는 용어는 오늘날 의학적 담론, 정치적 담론 혹은 성 담론, 환경 담론의 사례처럼 다양한 학문 영역과 주제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담론은 제도적으로 수용되는 언어 혹은 사회적 상황에 맞는 언어를 뜻한다. 예컨대 같은 동아리 구성원들끼리도 노래방에서 할 수 있는 말과 그룹 스터디에서 할 수 있는 말이 다른 것처럼, 사회적 상황에 맞는 말이라야 수용될 수 있고 소통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회적 상황에 맞는 언어 혹은 제도적으로 수용되는 언어를 담론이라고 부른다(Cameron, 2001: 7). 따라서 경제적 담론, 윤리적 담론, 성(gender) 담론 등은 각기 관련된 사회나 공동체에서 통용되고 제도적으로 수용되는 언어를 뜻한다. (19쪽)

 

대화분석(CA)은 고프만의 연극론적 사회학과 가핑클의 민속방법론의 기본명제를 종합한 것이다(Hoey and Kendrick, 2018: 2). 다시 말해서, 대화분석의 기본원칙은 두 가지 사회학적 명제 혹은 주장에 토대를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나는 우리의 일상적 상호작용에도 엄연한 질서가 있다는 고프만의 주장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질서는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유지되는 것이라는 가핑클의 주장이다. 앞에서 소개한 것처럼, 대화분석의 보다 직접적 창시자는 UCLA의 삭스(Harvey Sacks)였다. 삭스는 1963년과 1964년에 LA의 자살예방센터(Suicide Prevention Centre)에 걸려온 전화와 상담사 간의 대화를 본격적으로 분석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대화분석의 효시가 된 것이다(Drew and Heritage, 2006).

(98쪽)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은 1980년대 말 이후로 하나의 확립된 비판적 사회과학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비판적 담론분석(CDA)을 비판적 담론연구(Critical Discourse Studies: CDS)라고도 부른다. 이 분야의 연구를 주도하는 대표적 학자로는 영국 랭커스터대학의 노먼 페어클러프(Norman Fairclough),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의 투엔 반 다이크(Tuen A. van Dijk), 영국 랭커스터대학의 언어학자 루스 보닥(Ruth Wodak) 등이 유명하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나 담론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계층 간의 차별을 조장하고, 남녀 간 차이와 가부장제도를 정당화하며, 인종차별을 부추기는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차별화와 불평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른바 비판적 담론분석(CDA)은 계급 간, 남녀 간, 인종 간의 지배와 억압 및 불평등을 생산하고 재생산하는 언어 혹은 담론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배제된 타자의 인권 회복에 기여하는 목적을 가진 응용언어학의 중요한 한 분야이다. (149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