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간행도서

백석 시와 서술적 서정성

by 푸른사상 2013. 2. 14.

 

 

 

 

지주현 ,『백석 시와 서술적 서정성』 

 

 

 

 

푸른사상의 현대문학연구총서 25번째 도서인 백석 시와 서술적 서정성소개합니다.

이 도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한국적인 시세계로 꼽히는 백석의 서정시들에 배인 서술성의 면면들과 함께 서정성의 고취와 관련된 측면들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1. 저서의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서정, 서술과 만나다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방법과 대상

 

제2장 서술적 서정과 세계 인식

    1. 환유적 전망과 장소성

        1) 역사문화적 이상향의 구현

        2) 사회주의 현실에서의 장소 재구성

    2. 은유적 성찰과 주체의 내면 공간

 

제3장 이야기의 서정적 형상화 방식

    1. 이야기의 서정화와 탈주관적 묘사

    2. 기억의 감각적 현현(顯現)

    3. 이미지의 응축과 시간의 공간화

 

제4장 서술적 서정과 미적 특질

    1. 환유 미학과 서술성의 강화

    2. 반복 기법과 의미 함축 및 리듬 강화

    3. 강화된 이미지성과 서정성의 고취

 

제5장 결론

 

제2부 언어와 서술적 서정성의 유형

 

제1장 은유적 시각으로 본 백석의 시세계

    1. 서론

    2. 문화계와 수평적 상상력

    3. 역사와 수직적 상상력

    4. 공동체와 연대하는 풍경들

    5. 결론

 

제2장 현대시에 나타난 서술성의 양상

    1. 서론

    2. 현대시의 서술적 형상화

    3. 사건의 진행

        1) 현실 세계의 표상

        2) 설화적 시공간의 현현(顯現)

    4. 상황의 이완

        1) 조화와 통일성의 담보

        2) 해체적 세계관의 반영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2. 저자 소개

 

1972년 광주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8년 『시와 사람』으로 평론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현재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 목포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백석 시의 서술적 서정성 연구」, 「김춘수 시의 심리기제」, 「김춘수 시의 영화적 요소」, 「서정인 소설의 소통과 미의식」, 「은유적 시각으로 본 백석 시세계」, 「오정희 소설의 트라우마와 치유」, 「현대시에 나타난 서술성의 양상」, 「나희덕 시에 나타난 생태여성주의적 특성」, 「박인환 시의 양면적 의미와 기억」 등이 있다.

 

3. 저서의 내용

 

백석의 시편에서 피어나는

서정성과 서술성의 조화, 그리고 개성

 

지금까지 남다른 관심으로 백석 시를 연구해오면서 필자가 차곡차곡 모아두었던 논문을 하나의 책으로 묶은 이 도서는, 1부는 「백석 시의 서술적 서정성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담았다. 이 글 본론의 1장에서는 서술적 서정과 세계 인식의 문제를 주로 살펴보았다. 1절 ‘환유적 전망과 장소성’에서는 1930년대를 기준으로 당시의 역사문화적 이상향 및 분단 이후 재북 시 사회주의의 현실을 실존적 장소성과 결부지어 논하였다. 이어 2절에서는 은유적 성찰에 의한 주체의 내면 풍경을 공간성과 연결시켜 언급하였다. 이 대목에서는 특히 시적 화자의 실존적 고뇌와 허무가 은유라는 방식을 빌어 잘 표현되고 있다. 또한 장소성과 공간성, 환유와 은유의 구별된 작용이 관심을 끈다.

본론의 2장은 서술적 서정의 배경이 된 세계 인식의 내용을 바탕으로 서사의 속성을 가진 이야기가 어떤 방식을 통해 서정적으로 형상화되는지에 대하여 말한다. 먼저 1절은 주관적 성격을 벗어버린 묘사와 보고적인 서술이 만나 이야기가 서정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2절은 서술적 서정에 조합된 기억의 특질로서 들뢰즈가 피력한 순수 기억, 즉 무의지적 기억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이미지가 그 자체로 사건을 응축하는 양상과 함께 시간이 공간화되는 형상이 드러난다.

한편 본론의 3장에서는 이야기의 서정적 형상화가 이루어지면서 부각되는 미적 특질들을 보여주고 있다. 1절에서는 환유의 적절한 도입으로 인해 서술성이 긴장을 잃지 않고 유지되는 특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어지는 2절에서는 서술적인 속성을 내포한 서정성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미의 함축 및 리듬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반복의 기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또한 3절에서는 백석 시세계의 기본 성격인 서술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그만큼 더 보충되어야만 하는 서정성 고취를 목적으로 한 이미지성의 강화 양상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고찰한 바에 의하면 이 논문은 백석 시세계의 서술적 서정성을 화두로 하여 세계 인식의 측면과 이야기의 서정화를 보여주는 기제 및 서술적 요소의 시적 형상화 과정에서 돋보이는 미적 특질들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언급하였다고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가장 한국적인 시세계 중 하나로 꼽히는 백석 서정시들에 배인 서술성의 면면들과 서정성의 고취와 관련된 측면들이 부각되었다. 더불어 이 시세계는 서정성과 서술성의 조화라는 면에서 매우 탁월한 성취를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2부에서는 1부와 관련이 있는 2편의 글을 소개하였다. 하나는 백석의 전체 시세계를 ‘은유’라는 관점에서 조명한 글이고, 다른 한 편은 ‘서술성’이라는 주제 아래 백석 시를 포함한 서정주·이용악·이성복 시세계의 개성적 특질에 대하여 고찰한 뒤 각각 타입화하고 상호 비교의 시각에서 접근한 글이다.

 

 

4. 추천의 글

 

공동체의 토대가 되는 구체적 장소 안의 소박한 이야기들에서 출발한 백석의 시세계는 시적 대상(인물), 이미지 운용, 기억과 시공간, 어법(담화), 사건(이야기), 수사 등의 여러 측면에서 서정 혹은 서술 어느 한쪽의 차원에서 쓰이던 본래의 양상과는 다른 방식의 특성들을 보임으로써 서술적 서정을 위한 독특한 미학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성공적인 서술적 서정의 세계는 서정과 서술 양자에 동시적으로 걸치는 한편 이야기와 시간 등 가장 전통적인 서술의 자질들까지 서정적으로 변용시키면서 그 독창적 개성을 창출한다.

-본문 중에서

'2013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반야바라밀경  (0) 2013.02.26
『2013 오늘의 좋은 시』  (0) 2013.02.20
김소월 백석 시의 민속성  (0) 2013.02.14
2013 올해의 문제소설  (0) 2013.02.14
가로 사람 세로 인간   (0) 2013.01.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