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 간행도서

이화형,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

by 푸른사상 2021. 5. 27.

 

 

분류--여성학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 

 

이화형 지음|지식에세이 7|128×188×12 mm|202쪽

14,900원|979-11-308-1790-3 03330 | 2021.5.25

 

 

■ 도서 소개

 

매화같이 은은한 향기를 품은 순수 시인, 이매창

 

이화형 교수의 기생 이야기 세 번째 책인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가 푸른사상 <지식에세이 7>로 출간되었다. 남성 중심적이었던 조선 사회에서 기생이라는 신분이 갖는 운명적 구속과 현실에 부딪치며, 자유롭고 풍류적인 삶을 갈망했던 시인 이매창의 삶을 조명한다.

 

 

■ 저자 소개

 

이화형

경희대학교와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이다. 국문학에서 학문의 폭을 넓혀 한국문화 전반에 관한 연구를 해왔으며 『한국문화의 힘, 휴머니즘』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서가 있다. 특히 전통 여성부터 현대 여성에 이르기까지의 여성사를 통합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여성, 역사 속의 주체적인 삶』 등의 저서를 출간했고, 기생 연구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

 

 

■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1 숙명적으로 기생이 되다

2 유희경과 사랑하다

3 한양 객지에서 떠돌다

4 허균과 우정을 나누다

5 한준겸, 심광세, 권필 등과 시를 읊다

6 기생이길 거부하다

7 삶은 고난일 뿐이다

8 자유를 갈망하다

9 비운에 빠지다

10 공원에 매화꽃잎이 휘날리다

에필로그

 

 

■ 출판사 리뷰

 

여성 문제에 오랫동안 관심을 갖고 연구해온 이화형 교수가 조선의 명기 이매창의 삶을 깊이 살펴본다. 아무나 쉽게 꺾을 수 있는 꽃이라는 의미로 기생을 노류장화에 비유했듯이, 조선사회에서 기생은 최하위의 신분으로 여겨졌다. 그런 배경에도 이매창은 양반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한시를 창작하는 데 능통했으며, 거문고 연주에 뛰어난 재주를 보였다. 조선 최고의 명기이자 순수를 지향한 예술인이었지만 신분적 질곡 속에 고독과 비애를 안고 살아야 했던 그녀의 굴곡진 삶을 이 책에서 조명한다.

기생으로서 최고의 명성을 날리던 이매창은 당대 문인들과 깊은 교유관계를 유지했다. 시를 짓고 노래하는 데 천부적인 재능을 지녔던 그녀는, 천민 출신이지만 한시에 능통했던 유희경과 만나 시로 사귀었다. 서로를 향한 애정은 시를 매개로 더욱 공고해졌고, 그들의 시세계를 높이기도 하였다. 고결하고 순수한 인품을 지녔던 매창은 당대 최고의 진보적 지식인 허균과 정서적으로 교감했다. 허균은 매창의 재주를 높이 평가하여 그녀를 세상에 드러내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그들은 서로를 평생의 벗으로 삼았다. 매창은 명실상부한 조선 최고의 명기로서 이귀, 임서, 한준겸, 권필 등 유명 시인과도 시를 주고받았다.

이매창은 시를 통해서 자유와 풍류를 갈망하며 순수한 세상을 꿈꾸었으며, 그녀의 수많은 작품이 오늘날에도 널리 전하고 있다. 현실적으로는 결핍과 모순이 가득한 세상에 끊임없이 부딪쳐야 했고, 기생이라는 신분이 갖는 운명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으나, 평생 맑고 깨끗한 정신으로 시와 거문고를 놓지 않았던 매창은 그녀의 이름인 매화처럼 은은한 향기를 품은 채 조선을 대표하는 순수 서정의 시인으로 남아 있다.

 

 

■ 책머리에 중에서

 

나는 남성이지만 오랫동안 여성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해왔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차별과 억압을 당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바탕이 되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여성이 가진 다양한 미덕들에서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12명의 팀을 꾸려 3년간 근현대 여성잡지를 모두 검토하여 『한국 근대여성들의 일상문화』(전9권, 2004)와 『한국 현대여성들의 일상문화』(전8권, 2005)를 출간함으로써 방대한 자료를 정리한 것은 참으로 보람 있는 일이다. 그 뒤로 『뜻은 하늘에 몸은 땅에』(2009), 『여성, 역사 속의 주체적인 삶』(2016) 등으로 여성연구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대중들과는 거리가 있다는 점이 늘 아쉬웠던 차에 좀 더 많은 독자들과 소통하기 위한 책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술서의 한계를 넘어 한국 여성에 관한 지식을 다양한 독자들과 공유하려는 의도로 ‘지식에세이’라는 이름의 총서(9권) 출간을 기획하였다. 그래서 2017년 1차로 『주체적 삶, 전통여성』, 『융합적 인재, 신사임당』, 『강직한 지식인, 인수대비』 등의 세 권의 저서를 간행했다. 그리고 이번에 ‘기생’에 관하여 3권의 책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1권은 총론이고, 2권과 3권은 기생을 대표하는 황진이와 이매창에 관한 것이다.(중략)

기생들은 여성이자 최하위 신분이라는 몇 겹의 억압 속에서 꿋꿋하게 한국의 문화예술을 창조해왔고 사회적 자아로서의 책무를 다하고자 했던 문화적 역사적 선두주자로서 대우받아 마땅하다. 이 책에서는 자아를 망각하지 않고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으려 최선을 다했던 기생들의 삶을 새롭고 정확하게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 책 속으로

 

조선을 대표하는 두 기생 황진이와 이매창의 성격으로 볼 때 황진이가 남성적·개방적·의지적인 면이 두드러진 시인이라면 매창은 여성적·내향적·감성적 측면이 강한 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삶의 태도에 있어 황진이가 기생의 길을 스스로 선택한 만큼 진부한 기생의 일상을 뛰어넘었던 것과 달리 이매창은 기생이기를 완강하게 거부했던 만큼 오히려 기생의 운명을 떨쳐버리지 못한 채 서글픈 생애를 살았다. 매창의 시에 고독과 슬픔이 주조를 이루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매창은 자존감이 강했으므로 결핍과 모순이 가득한 현실에 부딪쳐 크게 개탄해야 했다. 임의 부재는 세상에 따라붙는 아픔으로 비화되었으며 상황이 악화될수록 그녀는 인간현실을 벗어나고 싶어 했다. 그리고 자유를 갈구할수록 고착적 신분, 숙명적 비애에 빠져들었다. 매창에게서 감성이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넘쳐났음을 발견하는 시각이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매창을 이해함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임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기생을 포함하여 여성들이 지은 작품은 부덕(婦德)이나 사랑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으나 매창이 지은 작품의 내용은 애정을 넘어 존재론적 갈등이 주된 흐름을 보였다.

(19~20쪽)

 

조선 중기의 매창은 기생임에도 불구하고 천성이 고고하고 정결하여 난잡하거나 음탕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던 여성이다. 여성이었지만 능력이 뛰어나 시를 매개로 당대의 문인 학자들과 깊이 교유할 수 있었던 사람이다. 고결한 인품과 탁월한 글재주로 당당하게 한 시대를 살았던 매창의 흔적은 오늘날 그녀의 시문을 통해 어디서나 만나볼 수 있고, 무덤과 시비가 있는 매창의 고향인 전북 부안의 봉덕리에서 그녀의 체취를 한껏 느낄 수가 있다.

중국의 기생 설도의 대표작인 「춘망사」의 셋째 연이 시인 김억에 의해 번역되어 광복 후 우리 사회에서 많이 불렸던 가곡 <동심초>의 가사다.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 하는고.” 조선의 여류 한시집을 번역해내면서 이매창의 작품을 가장 많이 실었던 김억에게 매창은 설도였다. 사랑과 행복을 갈망하는 민족적 염원 속에 조선에 위대한 여류시인 매창이 있었던 것이다.

(196~197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