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 간행도서

권서각 시집, <노을의 시>

by 푸른사상 2019. 12. 9.


분류--문학(시)

노을의 시

권서각 지음푸른사상 시선 114128×205×7 mm1169,000

ISBN 979-11-308-1482-7 03810 | 2019.12.5



■ 도서 소개

 

모순된 세상에서 소망하는 저녁노을의 미학

 

권서각 시인의 세 번째 시집 노을의 시<푸른사상 시선 114>로 출간되었다. 시인은 3·1운동, 8·15해방, 4·19혁명을 거쳐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항쟁, 세월호 참사와 촛불혁명까지의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면서 우리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담담하고도 묵직한 목소리로 담아내고 있다. 한편으로는 삶의 체험에서 우러난 예리한 통찰력과 재치 있는 유머가 돋보이는 시집이다.

 


■ 시인 소개

 

권서각 權鼠角

경북 순흥 출생으로 본명은 권석창. 환갑을 지나면서 쥐뿔도 아는 게 없다는 의미로 서각(鼠角)이란 이름을 아호 겸 필명으로 쓰고 있다. 1977조선일보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눈물반응』 『쥐뿔의 노래, 산문집으로 그르이 우에니껴, 논문집으로 한국 근대시의 현실대응 양상 연구등이 있다. 현재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이다.

(E-mail : sgkweon51@hanmail.net)

 

 

■ 목차

 

시인의 말

 

1

대동소이 / 갈대 / 월장 / 날이 저물면 / 노을의 시 / 시의 경제학 / 산수의 시 / 간고등어 / 폭설 / 달력도 없이 / 하나 / 달마도 / 부석사 / 염불

 

2

낟알 / 단비 / 사이 / 산딸기 따는 법 / 고로쇠 / 꿀밤 / 내비도 / 벚꽃 / 나뭇잎은 / 하이쿠풍으로 / 빵구 / 역설 / 짐을 지다

 

3

꽃은 피고 물은 흐르고 / 참으로 용하신 당신 / 삼국지풍으로 이름나기 / 도라지 까며 울다 / --니껴? / 문상 / 낙안 / 회갑산에서 / 나이 / 진달래 피는 풍경

 

4

2009, 일식(日蝕) / 호모 폴리티쿠스 / 삽질에 대하여 / 폐차장에서 / 달동네 / 기역이 / 노동자 김 씨의 말 / 자전거 타기 / 걸레 / 장래희망 / 너를 만나려고 / 한글반 교실에서 / 광화문 별곡 / 수꼴에 대하여 / 여운형

 

5

빗소리 / 안부 / 소를 잃다 / 집을 버리다 / 빈집 / 낯설게 하기 / 사계 / 지우개 들고 / 풀벌레 소리 / 바람의 말 / 이리 오너라 / 동백이 지네 / 눈이 내리네 / 병신년 / 작가회의 뒤풀이

 

작품 해설꽃이 피고 물이 흐르듯 - 문종필

 


■ 시인의 말

 

손꼽아 헤어보니 문단 말석에 이름을 올린 지 42년이 되었는데, 이제 세 번째 시집을 낸다. 전의 시집도 2쇄에서 끝났다. 시를 공부하며 시를 가르치며 늘 시와 함께 있었는데 시집 한 권 낼 만큼의 시를 쓰기가 이렇게 오랜 세월이 필요한지 예전엔 미처 알지 못했다. 늘 시에 목말라하면서도 성에 찬 시를 쓰지 못한 탓이리라. 부끄럼을 무릅쓰고 세 번째 시집을 낸다. 제목을 노을의 시라고 붙인 것은 내가 사는 곳에서 가까운 무섬마을에서 바라보는 저녁노을만큼의 미학적인 시 한 편 언젠가는 쓰리라는 소망에서다.

 

 

■ 추천의 글

 

말은 뿔이 없어서 뒷발질을 낳았다. 토끼는 뿔이 없어서 귀가 자라났다. 사자는 뿔이 없어서 송곳니가 죽순처럼 솟구쳤다. 캥거루는 뿔이 없어서 아기 주머니가 생겨났다. 쥐는 뿔이 없어서 입구 하나에 출구 열셋의 지하 단칸방을 건축했다. 까맣게 빛나는 작은 눈을 갖게 되었다. 독수리 발톱이 닿는 먼 하늘까지 날아올랐다. 귄서각 시인은 쥐뿔이란 아호를 갖고 있다. 쥐뿔도 없지만, 우주를 품겠다는 자존! 없는 쥐뿔을 바투 세워 무너뜨려야 할 것을 끝내 들이받는 각성! 시인은 뿔이 없기에 뒷발질을 하고, 뿔이 없기에 먼 울음으로 달팽이관을 채우고, 뿔이 없어서 불의의 숨통을 끊는 송곳니를 키운다. 뿔이 없기에 어리고 기룬 것을 아기 주머니에 키운다. 쥐뿔 속에는 온몸에 가시를 박고 살다가/자글자글 불에 구워져노릇노릇해진 시가 산다. “얼마나 아픈 세월이었느냐”, 살을 발라 먹는데 온통 가시다. 보기에는 흰 살점이었는데, 목구멍에 닿자마자 가시가 박힌다. 손가락을 넣어 뽑아보니 둥글고 희고 단순하다. 생선가시처럼 파도와 노래와 노을을 껴안고 있다. 애간장을 감싸고 있던 마음 졸임이 활처럼 휘어져 있다. 그리하여 권서각의 시에는 애간장이 녹아 있다. 애간장을 달이는 뒤뜰 오지항아리가 있다. 

이정록(시인)



■ 작품 세계

  

시에서 기교를 잘 활용하면 긴장 속에서 세련된 맛과 멋을 살릴 수 있다. 하지만 권서각 시인은 효율적인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묵직하고 담담하게 자신의 시를 노래했다. 그래서 일부 독자들은 편견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상투적이지만 상투적이지 않는 시를 쓸 줄 아는 시인이다. 이 방법은 아무나 흉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의 언어를 얼핏 바라볼 때 가볍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시인은 틈을 허락하지 않는다. 가벼운 곳에 더 큰 진중함을 숨겨 놓는다. 시집을 천천히 읽어본 독자들이라면 상투적이지만 상투적이지 않는 마법을 어렵지 않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시인은 솔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이 부를 수 있는 노래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그의 시집을 읽으면서 몇 편을 제외하고 버릴 시가 없다고 몽상했고 주변 친구들에게 추천해도 부끄럽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그가 쳐다보는 대상에 대한 태도도 한몫했다. 시인은 대상을 움켜잡으려 하지 않았다. 대상과 함께 주저앉고자 했다. 이 의지가 세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시인의 몸을 힘 있게 밀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중략)

이 시는 한국근현대사를 관통한다. 3·1운동을 시작으로 8·15해방, 4·19혁명을 거쳐 피와 통곡의 바다가 되었던 5·18, 6월 항쟁, 세월호의 아이들과 촛불혁명까지의 시간을 다룬다. 이 장면은 할아버지와 할머니와 아버지와 어머니와 누나와 동생들이 겪어야만 했던 우리의 역사다. 그 누구의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품어야 했던 슬프고 기쁜 역사다. 우리 한국 현대사는 늘 항상 이렇게 쓰러지고 다시 일어나 새로운 길을 만들었다. 두 주먹을 움켜쥐고 다시 힘겹게 우뚝 섰다. 하지만 여전히 미흡한 것이 산재되어 있다. 시인의 말처럼 부도덕의 주류는 여전히 건재하다. 한국 현대사의 모순은 마를 틈이 없다. 곰팡이처럼 오히려 더 부풀어 오른다. 정전 협정을 맺은 지 66년이 지났지만 남과 북이 여전히 갈라져 있다는 사실도 이러한 모순을 증명한다.

문종필(문학평론가) 작품 해설 중에서



■ 시집 속으로

  

노을의 시

 

느릿느릿 나무 의자 문밖에 내놓고 앉아

천천히 눈 들어 먼 하늘 바라본다

긴 여정을 끝낸 여름 해는

죽을힘을 다해 꼴깍 서산을 넘는다

하늘가에 붉은 노을로

절명시 한 편 걸어놓고

 

 

--니껴

 

보면 모릅니까? 의 안동 말은

--니껴

보와 모를 강하게 발음한다.

아는 이는 알고 모르는 이는 모른다, 의 안동 말은

-니는 아-고 모-니는 모-.

아와 모를 강하게 발음한다.

따라 해볼래요

--니껴

-니는 아-고 모-니는 모-.

입으로 여러 말 하는 것보다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 낫고

몸으로 실천하는 것이 낫다는

인식이 몸에 밴 말투다.

농사철 땀 흘리며 일하는데

양복 입은 면장님이 찾아와서

올해 농사는 어떻습니까? 하면

--니껴? 하고

선거철 높으신 분이 재래시장 찾아와서

요즘 장사 잘 됩니까? 해도

--니껴? 한다.

지을수록 밑지는 농사짓는다고 업신여김당하고

애면글면해도 펴지지 않는 살림살이

우리네 기막힌 사정을

-니는 아-고 모-니는 모-,

는 것이다

 

 

너를 만나려고

 

너를 만나려고 북쪽 끝으로 갔다

너를 만나려고 전망대에 올랐다

누가 그어놓은 금 하나 넘지 못해

네 모습 끝내 볼 수 없었다

너를 만나려고 남의 나라로 돌아서

압록강, 그 강가에서 바라보았다

누가 그어놓은 금 하나 넘지 못해

네 모습 끝내 볼 수 없었다

네가 산다는 그 하늘가

사무치는 눈빛만 허공에 걸어두고

속절없는 발길 돌릴 수밖에 없었다

너를 만나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

이름 모를 풀꽃만 바람에 흔들려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