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지23

계간 푸른사상 2025 봄호(통권 51호) 계간 푸른사상 2025 봄호(통권 51호) 153×224×14mm|216쪽|14,000원|ISSN 2092-8416 | 2025.3.10.  ■ 도서 소개 ‘노벨문학상 한강’을 특집으로 한 『푸른사상』 2025년 봄호(통권 51호)가 간행되었다. 사회적 불의와 억압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탐색하며 문학적 영토를 다져온 한강의 소설 작품론을 집중적으로 모았다. 김효숙 문학평론가는 『검은 사슴』을, 이동순 문학평론가는 『소년이 온다』를, 이명원 문학평론가는 『희랍어 시간』을, 이은란 문학평론가는 『흰』을, 이덕화 문학평론가는 『채식주의자』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나머지 소설 작품론은 『푸른사상』 여름호에 게재된다. 소설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되며 한국 문단은 새로운 .. 2025. 4. 4.
[더스쿠프] <계간 푸른사상 2024 겨울호> [주말에 함께] 푸른사상 2024 겨울호 外 「푸른사상 2024 겨울호」 푸른사상 편집부 지음 | 푸른사상 펴냄 「푸른사상 2024 겨울호」는 조태일 시인의 25주기 특집이다. 또 10개의 신작 시와 함께 2편의 새로운 산문, 1편의 신작 소설을 실었다. 기획연재로는 스페인 국민 시인 로르카를 다룬다. 민중의 밑바닥을 안아 준 김남주 시인을 기억하는 대담도 이어진다. ‘김남주 읽기4’에서는 맹문재 시인이 김남주 시인의 오랜 친구이자 최초로 유신을 반대하는 신문인 ‘함성’을 발간했던 동지 ‘이강’과 함께 김남주 시인을 기억한다. 더스쿠프, " [주말에 함께] 푸른사상 2024 겨울호 外", 김하나, 이민우 기자, 2025.2.16링크 :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 2025. 2. 18.
[경북일보] <계간 푸른사상 2024 겨울호(통권 50호)> 어두운 시대 맞선 조태일 시인의 시어들…푸른사상 2024년 겨울호 발간 경북일보, "어두운 시대 맞선 조태일 시인의 시어들…푸른사상 2024년 겨울호 발간", 곽성일 기자, 2025.1.2링크 :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8556 2025. 1. 3.
계간 푸른사상 2024 겨울호(통권 50호) 계간 푸른사상 2024 겨울호(통권 50호) 153×224×14mm|224쪽|14,000원|ISSN 2092-8416 | 2024.11.25.  ■ 도서 소개 ‘조태일 25년’을 특집으로 한 『푸른사상』 2024년 겨울호(통권 50호)가 간행되었다. 조태일 시인은 어두운 시대에 맞서 『식칼론』 등의 시집을 출간했고, 시 전문지 『시인』을 창간했다. 민중의 삶을 구현하고 시대적 모순에 대항했던 조태일 시인의 시와 작품 세계를 고인환, 김동하, 김수이, 김종훈, 박석준, 백애송, 엄경희, 이경수, 황형철 등이 고찰했다. 이동순 문학평론가는 조태일 시인의 일생과 시대정신을 톺아보며 연보를 정리했다. 창작란은 김윤환, 나기철, 서안나, 양선주, 유종, 이혜순, 이효복, 정일관, 조기조, 함동수 시인의 신작 시를.. 2024. 12. 23.
<계간 푸른사상 2024 가을호(통권 49호)> 계간 푸른사상 2024 가을호(통권 49호) 153×224×15mm|248쪽|14,000원|ISSN 2092-8416 | 2024.9.30.  ■ 도서 소개 ‘신경림 시인’을 특집으로 한 『푸른사상』 2024년 가을호(통권 49호)가 간행되었다. 신경림 시인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공간, 한국전쟁, 그리고 현대의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시대를 시로 육화해오며 한국 문단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대표적인 시인으로 평가된다. 2024년 5월 22일 타계한 신경림을 추모하는 산문으로 서홍관 시인과 최재봉 기자, 김성장 시인은 신경림과의 인연을 회상한다. 강민숙은 신경림의 작품 활동과 시 세계를 고찰하였고, 공광규는 신경림의 삶의 여정을 따라가며 작품 세계와 연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창작란은 노혜경, 도종.. 2024. 10. 14.
[더스쿠프] <푸른사상 2024년 여름호(통권 48호) [주말에 함께] 쿵! 안개초등학교 1: 뻐끔뻐끔 연기 아이 外 「푸른사상」 2024년 여름호 푸른사상 편집부 지음 | 푸른사상 펴냄 「푸른사상」 2024년 여름호는 ‘재일조선인 문학’을 특집으로 한다. 고명철 문학평론가는 재일조선인 작가인 김석범의 한글 단편소설을 주목한다. 하상일 문학평론가는 역사적·정치적으로 재일의 현실을 비판하고 저항한 김시종 문학을 중심으로 제주 4·3의 기억을 확인한다. 맹문재 시인은 ‘김남주 읽기’로 김남주 시인과 함께 남민전 운동을 펼친 박석삼 국제포럼 대표의 구체적 이야기를 대담으로 기록했다. 더스쿠프, " [주말에 함께] 쿵! 안개초등학교 1: 뻐끔뻐끔 연기 아이 外", 김하나 기자, 이민우 기자, 2024.7.20링크 : https://www.thescoop.co.kr/.. 2024.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