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35 서종택 미술에세이, <오후 네 시의 갤러리> 분류-- 예술 오후 네 시의 갤러리 서종택 지음|153×200×11mm|184쪽22,000원|ISBN 979-11-308-2212-9 03600 | 2025.2.3 ■ 도서 소개 갤러리를 산책하며 만난 우리 그림에 대한 인문적 단상 서종택 작가(고려대 문화창의학부 명예교수)의 미술에세이 『오후 네 시의 갤러리』가 푸른사상에서 출간되었다. 관람객이 더 들지 않을 것 같은 오후 네 시의 한산한 갤러리, 저자는 상념과 몽상의 시간으로 독자들을 이끌며 예술 텍스트가 개성과 심미성을 넘어 한 시대의 담론임을 보여준다. ■ 저자 소개 서종택작가,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저서로 『외출』 『백치의 여름』 『원무』 『한국 근대소설과 사회갈등』 『한국 현대소설사론』 『바람의 화가 변시지』 『갈등의 힘』 『코리아 블루』.. 2025. 2. 4. [한겨레] 조기숙,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조기숙 교수의 몸 이야기 조기숙 이화여대 무용과 발제 전공 교수가 감성, 지성, 영성이 통합된 몸을 연구하는 ‘몸학’(소매틱스)를 소개한다. 조 교수는 “몸은 누구에게나 결정된 것이 아니라 성숙해가는 과정”이라며 생태적 시각에서 나의 몸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한겨레, "6월 28일 출판 새 책", 2024.6.28링크 :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146835.html 2024. 6. 28. [동아일보] 조기숙,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온라인 라운지]몸에 대한 성찰 담은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출간 동아일보 ," [온라인 라운지]몸에 대한 성찰 담은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출간", 손효림 기자, 2024.6.27링크 :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73130?sid=102 2024. 6. 27. [조이뉴스24] 조기숙,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조이뉴스24, "조기숙 교수,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출간", 김양수 기자, 2024.6.18링크 : https://www.joynews24.com/view/1731819 2024. 6. 19. 조기숙,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 분류--건강, 예술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 조기숙 지음|푸른사상 예술총서 33|153×223×18mm|320쪽29,000원|2024.6.20.|ISBN 979-11-308-2148-1 03680 ■ 도서 소개 몸에 대한 바른 인식과 생명에 대한 사랑을 토대로 한 편안한 몸 공부, K소매틱스 조기숙 교수(이화여대 무용과 발레 전공)의 『생명의 몸 과정의 몸 변혁의 몸』이 푸른사상사의 으로 출간되었다. 저자가 춤추는 사람으로서 터득한 체험을 바탕으로, 21세기 최고의 화두인 ‘몸’에 대한 성찰과 이해를 펼쳐놓은 책이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몸은 지성, 감성, 영성이 통합된 몸으로서, 저자는 몸에서 비롯되는 건강한 삶과 더불어 사는 사회, 생명에 대한 ‘평범한 깨달음’을 강조한다. ■ 저자 소.. 2024. 6. 18. [교수신문]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결하는 미디어, 융합하는 예술들> 예술융합은 시대의 요청, 실험은 계속된다 저자가 말하다_『연결하는 미디어, 융합하는 예술들』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엮음 | 푸른사상 | 319쪽 디지털 시대의 창의적 인재 양성 위한 예술통합교육 연구의 첫 결실을 내놓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시대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가 야기한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는 새로운 예술을 요청한다. 예술 형식은 ‘창안’보다는 기존의 형식의 혼종된 ‘재창조’나 ‘재맥락화’를 중시하는 포스트-미디엄(Rosalind Krauss), 포스트-프로덕션(Nicolas Bourriaud)의 시대를 열고 있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따라 대학 예술교육에서도 기능예술에서 장르, 매체 간 통합과 융합, 재매개화를 선도적으로 문제 삼아야 할 상황이다. 한국문화.. 2023. 7. 11.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