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 간행도서

최동호·서정자·함정임·김이순·유진월·김주용 외 <나혜석, 한국 문화사를 거닐다>

by 푸른사상 2015. 9. 17.

 

 

 

1. 도서소개

 

 

 

나혜석을 통해 보는 한국 문화사

『나혜석, 한국 문화사를 거닐다』가 푸른사상 <한국문화총서 10>으로 출간되었다. 한국 근대의 문을 열어젖힌 작가이자 화가이며 시대를 앞서간 여성 운동가인 나혜석. 한국 문화사에 독특한 족적을 남긴 그의 면모를 조명한 문학, 미술, 연극, 영화, 독립운동 등 각 분야 연구자들의 탐구 성과를 모은 책이다.

 

 

2. 도서목차

 

 

제1부 나혜석과 문화의 숲

제1장 나혜석과 문학의 숲을 거닐다
나혜석과 「인형의 집」의 노라 _ 최동호
편지를 계기로 다시 본다-나혜석의 암흑기, 그 분노의 수사학 _ 서정자
나혜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_ 송명희
1920~30년대 초국가적 페미니즘의 맥락 속에서 본 나혜석의 글쓰기 _ 김은실
나혜석의 시와 ‘충만한 말’의 세계 _ 김승희
나혜석, 소설 속으로 들어가다-장편소설 『춘하추동』을 중심으로 _ 함정임

제2장 나혜석과 미술의 숲을 거닐다
미술비평가로서의 나혜석 _ 이성례
여성주의로 읽는 나혜석의 풍경화-여행과 여성의 공간 _ 신지영
나혜석과 한국 페미니즘 미술 _ 김정은
‘정신적 진보’를 꿈꾸던 화가, 그 시도와 좌절-나혜석의 화풍과 미술 인식 _ 김이순
나혜석, 삽화로 읽는 근대기 여성의 일상 _ 김지혜

제3장 나혜석과 연극/영화의 숲을 거닐다
근대/여성 나혜석, 재현과 복수(複數)의 진실 _ 최상민
파리에서의 나혜석 _ 한경미

제2부 나혜석의 삶과 역사

제4장 나혜석과 동시대의 인물들
정월(晶月) 나혜석(羅惠錫)의 자아 추구와 예술-소월 최승구와의 관계 및 여성해방 시도 _ 김용직
나혜석과 이광수-연인에서 상담자로 _ 최종고
김우영, 그 이율배반의 생 _ 유진월
나혜석의 전쟁-나혜석과 이광수의 관계를 중심으로 _ 방민호
최소월의 시에 나타난 세계 인식 고찰 _ 맹문재
나혜석과 최린-애(愛)와 증(憎)의 양면성 _ 성주현
나혜석과 이응노가 공유한 회화관 _ 서영희

제5장 나혜석과 독립운동
민족운동가 나혜석의 참모습을 찾아서 _ 김형목
나혜석의 민족의식과 독립운동 지원 활동-나혜석, 독립을 그리다 _ 김주용

나혜석 연보
찾아보기
필자 소개

 

 

 

 

 

3. 저자소개

 

 

김승희
서강대학교 영문학과와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7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었다.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 캠퍼스 및 어바인 캠퍼스에서 한국 문학을 가르쳤으며, 소월시문학상, 고정희문학상, ‘올해의 예술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태양미사』 『미완성을 위한 연가』 『어떻게 밖으로 나갈까』 『빗자루를 타고 달리는 웃음』 『희망이 외롭다』 등, 소설집으로 『산타페로 가는 사람』, 저서로 『이상 시 연구』 『코라 기호학과 한국시』 『애도와 우울(증)의 현대시』 등이 있다.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김용직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한국비교문학회 회장, 한국문학번역원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근대시사』 『한국현대시사』 『한국문학을 위한 담론』 『북한문학사』 『해방직후 한국시단의 형성 전개사』 등, 한시집으로 『碧天集』 『松濤集』 『懷鄕詩』 등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김은실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에서 인류학을 공부했다. 지구화, 지식/권력과 여성, 트랜스내셔널 페미니즘, 식민지와 아시아 연구를 하고 있으며, ‘또하나의문화’ 동인,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집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성해방과 성정치』(공저), 『우리 안의 파시즘』(공저), 논문 「민족담론과 여성」, 「지구화시대 근대의 탈영토화된 공간으로서의 이태원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조선의 식민지 지식인 나혜석의 근대성을 질문한다」 등이 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교수이다.

김이순
홍익대학교 미술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문화재전문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근대분과),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MBC한국조각평론상, 월간미술대상 장려상(학술평론 부문)을 수상했다. 저서로 『현대조각의 새로운 지평』 『한국의 근현대미술』 『근대와 만난 미술과 도시』(공저), 『대한제국 황제릉』, 『시대의 눈』(공저), Images of Familial Intimacy in Eastern and Western Art(공저) 등이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예술기획과 부교수이다.

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정보디자인학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 및 미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저서로 『꼭 읽어야 할 예술 이론과 비평 40선』(공역)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공편) 『서양미술사전』(공저)이 있다.

김주용
동국대학교 사학과와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중국 연변대 민족연구원 박사 후 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 『한국근현대인물강의』(공저) 『소통과 교류의 땅 신의주』(공저) 『이민과 개발-한중일 3국인의 만주 이주의 역사』(공저) 『근대 만주 도시 역사지리 연구』(공저) 『일제의 간도 경제침략과 한인사회』 『국외항일유적지』(공저) 등이 있다.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다.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수원대학교와 강남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논문으로는 「1910年代 『每日申報』 翻案小說 揷畵 硏究」,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1910년대 『京城日報』와 『每日申報』의 한일 왕실관련기사 및 이미지 목록」(공저), 「美人萬能, 한국 근대기 화장품 신문광고로 읽는 미인 이미지」, 「미스 조선, 근대기 미인 대회와 미인 이미지, 「읽는 그림 삽화, 고희동과 근대기 한국 삽화의 개척자들」, 「한국 근대 미인 담론과 이미지」등이 있다. 현재 한국미술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김형목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민족운동사학회장, 동국사학회 편집위원, 나혜석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연구이사,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편집위원, 한국사학회 지역이사, 한국교육사학회 연구이사, 한국여성사학회 지역이사 등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한국 근대 초등교육의 발전』(공저), 『대한제국기 야학운동』, 『한국근현대인물강의』(인물), 『안중근과 동양평화론』(공저), 『나혜석, 한국 근대사를 거닐다』(공저), 『김광제, 나랏빚 청산이 독립국가 건설이다』, 『여주독립운동사 개설』 등이 있다.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다.

맹문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론집 및 평론집으로 『한국 민중시 문학사』 『패스카드 시대의 휴머니즘 시』 『지식인 시의 대상애』 『시학의 변주』 『만인보의 시학』 『여성시의 대문자』 등, 시집으로 『책이 무거운 이유』 『사과를 내밀다』 『기룬 어린 양들』 등, 편저로 『박인환 전집』 『김명순 전집-시·희곡』 『김남주 산문 전집』 『김규동 깊이 읽기』 등이 있다. 현재 안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방민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창작과비평』 신인평론상, 2001년 『현대시』 신인추천 작품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일제 말기 한국 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 문학의 구상』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행인의 독법』 등이 있다. 국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서영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같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파리 판테온-소르본대학(파리 제1대학) 미술사학과에서 D.E.A를 수료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파리 피카소미술관에서 학예사 인턴 과정을 거쳤다. 저서로 『한국현대미술가 100인』(공저), TK-21, La revue(공저), 『한국미술평론 60년』(공저), 『손상기의 삶과 예술』(공저), 『이두식의 회화세계, 그 방법과 정신』, Kim Sooja(공저) 등, 역서로 『서양미술사:르네상스부터 포스트모더니즘까지 회화의 역사를 보다』가 있다. 『미술평단』 수석편집위원, 『아트타임즈』 편집장, AICA 회원 등으로 활동 중이며,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교수이다.

서정자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초당대학교 교수, 초당대학교 부총장, 나혜석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했다. 『현대문학』에 평론 발표 후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나혜석학술상, 숙명문학상, 한국여성문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한국 근대 여성 소설 연구』 『한국 여성 소설과 비평』 『우리 문학 속 타자의 복원과 젠더』 『박화성 한국 문학사를 관통하다』(공저), 『디아스포라와 한국문학』(공저) 등, 수필집으로 『여성을 중심에 놓고 보다』, 편저로 『한국 여성 소설선』 1, 『원본 나혜석 전집』, 『박화성 문학전집』, 『지하련 전집』 『강경애 선집-인간문제』 『김명순 문학전집』(공편) 등이 있다. 현재 초당대학교 명예교수, 학교법인 초당학원 이사, 박화성연구회장, 한국여성문학학회 고문이다.

성주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도교 청년당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동학과 동학 혁명의 재인식』 『일제강점기 종교와 민족운동』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 『광고, 시대를 읽다』(공저) 『시선의 탄생-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공저) 『조선총독부의 교통 정책과 도로 건설』(공저) 등이 있다. 현재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이다.

송명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0마르퀴즈후즈후 세계인명사전에 등재되었으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와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소설서사와 영상서사』 『타자의 서사학』 『현대소설의 이론과 분석』 『시읽기는 행복하다』 『미주지역 한인문학의 어제와 오늘』, 『페미니즘 비평』, 『수필학의 이론과 비평』, 『김명순 소설집-외로운 사람들』 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소장, 달맞이언덕인문학포럼 자문위원이다.

신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영국 리즈대학에서 미술사와 문화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꽃과 풍경:문화 연구로 본 한국 현대미술사』, 역서로 『앤디 워홀』 등이 있다.

유진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희곡과 여성주의 비평』 이후 『영화, 섹슈얼리티로 말하다』에 이르기까지 연극, 영화, 여성 연구서가 다수 있다. <그녀에 관한 보고서>로 등단한 이후 <불꽃의 여자 나혜석> 등의 희곡을 창작하고 공연했다. 동랑희곡상, 올해의 한국 희곡 베스트 5 작품상, 국립극장 장막극 당선 등 연극 관련 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서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이다.

이성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화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미술연구소 연구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및 서울디지털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논문으로 「일본 에도시대 목판화에 나타난 모자상(母子像)의 이중 표상」 「일본 근대 메이지기 인쇄 미술에 나타난 현모양처 이미지」 등이 있다.

최동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아이오와대학, 와세다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등에서 동서시 비교 연구를 했다. 시집으로 『황사바람』 『아침책상』 『딱따구리는 어디에 숨어 있는가』 『공놀이하는 달마』 『불꽃 비단 벌레』 『얼음 얼굴』 『수원 남문 언덕』 등, 시론집으로 『현대시 정신사』 『디지털 문화와 생태 시학』 『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 『디지털 코드와 극서정시』 『정지용 시와 비평의 고고학』 등이 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및 경남대학교 석좌교수이다.

최상민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모더니즘 희곡과 글쓰기』 『박조열 희곡 연구』(공저) 『삶과 글』(공저) 등이 있다. 현재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이다.

최종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법대 교수, 한국법사학회 회장 및 세계법철학회(IVR) 이사 겸 집행위원을 역임했다. 『한국법사상사』 등의 법학서, 『괴테와 다산, 통하다』 『이승만과 메논, 그리고 모윤숙』 등의 교양서, 영문서 Law and Justice in Korea, East Asian Jurisprudence, 시집 『시 쓰는 법학자』 『춘원 따라 러시아 기행』 등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한국인물전기학회 회장이다.

한경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1989년에 도불했다. 프랑스 사브와대학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고, 파리 10대학에서 문학박사 과정에 있다. 현재 번역가, 자유기고가, 오마이뉴스 프랑스 통신원, 시네아스트로 활동 중이다.

함정임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소설집 『이야기, 떨어지는 가면』 『네 마음의 푸른 눈』 『저녁식사가 끝난 뒤』, 나혜석을 매개로 한 장편소설 『춘하추동』, 앙토냉 아르토를 매개로 한 장편소설 『내 남자의 책』, 예술 기행서 『인생의 사용』 『그리고 나는 베네치아로 갔다』 『소설가의 여행법』 등을 출간했고, 『불멸의 화가 아르테미시아』 『행복을 주는 그림』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현재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