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른사상 미디어서평

[무등일보] 김도수, <진뫼로 간다>

by 푸른사상 2015. 5. 18.
김도수, <진뫼로 간다>, 무등일보, 2015. 5.18.


시어로 표현한 고향과 유년




김도수 시인 '진뫼로 간다' 출간

모든 예술가들의 창작의 기저에는 '고향'이 있다.

삶과 예술의 시원지이기 때문이다.

지천명을 넘긴 김도수 시인도 고향으로 돌아와 시를 쓰고 있다.

김도수 시인이 신작 시집 '진뫼로 간다'(푸른사상刊)을 펴냈다.

그의 시편들을 읽자면 먼저 사투리와 만나야 한다.

그의 많은 시편들이 그의 고향 전라북도 임실 진뫼 언어와 함께 직조되어 있다.

이것은 대중매체의 발달로 대한민국 구석구석까지 표준어가 일반화된 현재가 아니라 시인 김도수가 그의 시편에 담아내고 있는 과거의 시간대와 관련이 있다.

오래 전 작고하신 어머니, 아버지와 공유하던 언어이다.

전라도 임실 진뫼의 사투리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에겐 소통에 다소 생소하게 다가올지 모르겠으나 이 시집에서 사투리는 아버지 어머니가 살아 계셨을 때 가족을 하나로 묶어주는, 그리고 그들 사이에 형성된 정서를 표출하는 언어로 독자들의 마음을 두드린다.

그러나 그의 사투리는 임실 사투리에 익숙지 않은 독자라 할지라도 읽어보면 문맥으로 쉽게 그 의미를 따라잡을 수 있게 되는 감염성이 있다. 재미있다. 차지다. 그리고 마음이 짠하고 코끝이 찡하다. 진솔한 표현에 가슴이 더워진다.

김 시인은 섬진강 상류 산골짝 강변에서 태어나 가난하게 살았지만 자연이 안겨주는 풍요로움이 있었기에 자신의 유년은 결코 가난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총 4부에 60여편의 시를 담았다.

복효근 시인은 "김도수의 시에는 이야기가 있다. 방금 위에서 예로 든 시편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한 편 한 편 시들은 압축된 이야기(서사)를 품고 있는데 이것은 김도수 시의 전편을 관통하는 큰 특징이기도 하다"며 "이미지나 상징, 은유 등과 같은 시적 장치에 의해 의미를 구축하거나 어떤 감흥을 자아내기보다는 일화 중심으로 시가 구성되어 일화를 머릿속에 재구성하면 자연스레 시적 감동이나 진정성이 따라오게 되어 있다"고 평했다.

김도수 시인은 "이 시집에 쓰인 언어들은 가능한 한 나의 고향 마을에서 통용되는 말을 그대로 썼다"며 "'촌스럽다'고 흔히 폄하되기 일쑤인 시골말 속에 다담긴 삶의 생생함과 진정성을 같이 나누고픈 마음"이라고 털어놨다.

김도수 시인은 59년 전북 임실 진뫼마을에서 태어나 2006년 '사람의 깊이'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산문집 '섬진강 푸른 물에 징검다리'가 있다.

최민석기자 zmd@chol.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