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소개
서사시의 개념 정립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타 장르를 수용한 서사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저서로, 현대 서사시가 한국 문학의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면서 변용되어 왔는가에 주목했다.
이 책에서는 최초의 한국 근대 서사시로 알려진 김동환의 「국경의 밤」(1925)보다 앞서 발표된 이광수의 장시들을 서사시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 지금까지 국문학사에서 잘못 평가된 이광수의 장시들을 영웅 서사시의 관점에서 재평가했다. 또한 김동환의 「국경의 밤」과 그 영향을 받아 창작된 김억의 서사시 「지새는 밤」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그리고 장르 패러디와 연희성이라는 서사시의 특징에 대한 관심에 따라 김지하의 「오적」, 모윤숙의 「황룡사구층탑」, 고정희의 「사람 돌아오는 난장판」 등 현대 서사시를 대상으로 다양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2. 저자약력
송영순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나 상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상지대학교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모윤숙 시 연구』 『모윤숙의 서사 지향성 연구』 『현대시와 노장사상』, 편저로 『모윤숙 시전집』 『이동주 시전집』 『렌의 애가』가 있다.
3. 도서목차
◖머리말
◖한국 현대 서사시의 변용과 선택의 개관
= 제1부 =
이광수의 장시에 나타난 서사성
1. 서론
2. 이광수 시의 출발과 장르 인식
3. 민족의식의 구현과 서사양식의 특성
4. 결론
「옥중호걸」과 안중근 사건
1. 서론
2. 전집 수록 과정의 오기와 시 해석의 오류
3. 「옥중호걸」의 창작 배경
4. ‘투옥된 안중근’ ― 「옥중호걸」
5. ‘사형 당한 안중근’ ― 「곰」
6. 영웅서사시의 가능성
이광수의 장시 「극웅행」의 상호텍스트성
1. 서론
2. 서사무가와 단군신화의 상호텍스트성
3. 환몽서사와 환상여행의 낭만성
4. 판소리 사설의 패러디와 리듬의식
5. 결론
「국경의 밤」과 「지새는 밤」의 상호텍스트성
1. 서론
2. 김동환과 김억의 거리
3. 「국경의 밤」과 「지새는 밤」의 상호텍스트성
4. 결론
= 제2부 =
「오적」의 판소리 패러디 양식
1. 서론
2. 김지하의 민중문학론과 판소리 패러디
3. 판소리 패러디의 「오적」
4. 결론
「황룡사구층탑」의 연희성
1. 서론
2. 대화 서술과 무대 지문 서술
3. 다성적 화자와 판소리의 창자
4. 코러스의 가능성
5. 등장인물의 갈등 연출
6. 결론
「황룡사구층탑」의 불교설화 수용 방법
1. 서론
2. 이중적 서사구조
3. 「황룡사구층탑」에 수용된 설화
4. 결론
모윤숙 서사시의 담화구조와 낭만적 상상력
1. 서사시의 선택과 서사정신
2. 청자 지향의 담화구조와 다성적 화자의 입체성
3. 『황룡사구층탑』의 낭만적 상상력
4. 장르의 경계를 넘어
고정희 장시 「사람 돌아오는 난장판」의 창작 과정과 특성
1. 서론
2. 고정희 장시의 창작 과정
3. 「사람 돌아오는 난장판」 구성방식의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2014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미희 동화 <지하철을 탄 고래> (0) | 2015.01.22 |
---|---|
숙맥 8집, <길 위에서의 기다림> (0) | 2015.01.22 |
김경해 소설집, <드므> (0) | 2015.01.22 |
안남일 외 <문화 콘텐츠 연구의 현장> (0) | 2015.01.21 |
류종렬 <한국 근대 소설의 탐구> (0) | 2015.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