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소개
부산대학교 한국어문학부 류종렬 교수가 근대 계몽기 이후의 한국 소설 문학론에서부터 고등학교 수업 현장에서의 소설 교육에 이르기까지 저자가 끊임없이 탐구해온 소설론을 정리하여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1부에서는 개화기의 명칭을 근대 계몽기로 정리하고 그 시대의 소설 양식과 유형을 개괄하는 한편, 1910년대 전반기 문학론의 성격을 짚어냈다. 2부에는 김동리와 채만식 소설론과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사회 현실 속에서 다수 발표되고 있는 노년 소설에 대한 논문이 실려 있다. 3부에는 고등학교 『문학』 교재에 실린 「운수 좋은 날」 「무녀도」 「서울, 1964년 겨울」 등과 같은 소설들의 지도 방법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2. 저자약력
류종렬 柳宗烈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이주홍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 『이주홍과 근대 문학』 『가족사·연대기 소설 연구』 『이주홍 소설 전집』 전5권(엮음) 『이주홍의 일제 강점기 문학 연구』(편저) 『한국문학에 있어서의 집 그리고 가족의 문제』(공저) 『1930년대 문학의 재조명과 문학의 경계 넘기』(공저) 『한국고전문학 강의』(공저) 『지역·주체·소수자 담론과 욕망 표상』(공저) 등이 있다.
3. 도서목차
◖머리말
= 제1부 =
근대 계몽기 소설
Ⅰ. 명칭과 개념
Ⅱ. 근대 계몽기 소설 양식 또는 유형
Ⅲ. 역사·전기소설
Ⅳ. 토론체 소설
Ⅴ. 신소설
Ⅵ. 연구의 전망과 과제
개화기 『경향신문』에 실린 ‘쇼셜(小設)’ 연구
Ⅰ. 머리말
Ⅱ. 『경향신문』에 실린 ‘쇼셜(小說)’의 성격
Ⅲ. 「외고학(海外苦學)」과 「파선밀사(破船密事)」의 분석
Ⅳ. 맺음말
1910년대 전반기 문학론의 성격과 그 의미
Ⅰ. 머리말
Ⅱ. 1910년대 전반 문학론의 현황과 성격
Ⅲ. 1910년대 전반 효용론과 전통적 문학관과의 맥락
Ⅳ. 개화기 문학의 성격과 1910년대 전반 효용론
Ⅴ. 맺음말
= 제2부 =
김동리 소설의 개작 ― 「무녀도」 「산화」 「바위」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채만식의 소설 『여자의 일생』 연구
Ⅰ. 문제 제기 및 연구 방법
Ⅱ. 두 텍스트의 비교
Ⅲ. 수평적 통합 관계의 모델
Ⅳ. 서사 일탈의 역동적 기능
Ⅴ. 맺음말
채만식의 역사소설 『옥랑사』 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일대기적 구조와 삶의 두 차원
Ⅲ. 여행과 삽화적 구조
Ⅳ. 인물 구조의 이원 대립성과 평민 영웅
Ⅴ. 역사적 투신과 개인적 좌절
Ⅵ. 맺음말
한국 현대 노년 소설 연구사
Ⅰ. 머리말
Ⅱ. 노년 소설의 초기 연구
Ⅲ. 노년 소설의 본격 연구
Ⅳ. 노년 소설의 최근 연구
Ⅴ. 마무리
= 제3부 =
『문학』 교재 플롯 이론을 통한 소설의 독해 지도 연구
Ⅰ. 서론
Ⅱ. 『문학』 교재에서의 플롯 이론
Ⅲ. 「운수 좋은 날」의 플롯을 통한 독해 지도
Ⅳ. 결론
『문학』 교재에 수록된 「무녀도」의 단원 설정과 독해의 문제점
Ⅰ. 서론
Ⅱ. 단원 위치의 설정
Ⅲ. 출전과 수록 부분
Ⅳ. 소설 유형과 플롯
Ⅴ. 갈등 구조와 의미
Ⅵ. 결론
『문학』 교재에 수록된 「서울, 1964년 겨울」의 독해 지도 연구
Ⅰ. 서론
Ⅱ. 단원 설정과 학습 목표
Ⅲ. 제목과 시공간적 배경
Ⅳ. 스토리와 플롯
Ⅴ. 인물의 성격과 제시 방법
Ⅵ. 시점, 문체, 어조
Ⅶ. 작품의 의미
Ⅷ. 결론
고등학교 문학 교육에 있어 ‘보편성과 고유성’의 문제 ― 전후 소설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전후 소설에 대한 기존 설명 방식의 문제점
Ⅲ. 한국 전후 소설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방법의 일례
Ⅳ.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2014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경해 소설집, <드므> (0) | 2015.01.22 |
---|---|
안남일 외 <문화 콘텐츠 연구의 현장> (0) | 2015.01.21 |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0) | 2015.01.21 |
서안나 <현대시의 상상력과 감각> (0) | 2014.12.02 |
송명희 <인문학의 오솔길을 걷다> (0) | 2014.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