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간행도서

분단시대 동인 30주년 기념 시집 <광화문 광장에서>

by 푸른사상 2014. 11. 24.






1. 도서 소개



세월호가 가라앉자 우리 안의 온갖 후진성들이 수면 위로 떠올라왔다. 그걸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분수처럼 뿜어져 나왔다. 사월 십육일 이전과 이후가 다른 사회를 만들자는 다짐도 많았다. 그리고 몇 달이 흘렀다. 채 넉 달을 못 참고 슬픔은 조롱과 야유와 음해와 욕설로 바뀌었다. 우리 안의 악마성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그 많던 반성들은 어디로 간 것일까? 진정 이 나라에 희망이 있는 것일까? 이제 이 슬픔은 어디로 가야 하는 것일까?    (도종환)


분단시대는 아직 진행 중이다. 글을 써서 분단시대를 종식시키는 데 기여하겠다던 1980년대, 30년 전 우리들의 젊은 꿈과 열정이 귀하면서도 참 야무진 것이었음을 절감한다. 온갖 종류의 분단이 더욱 우리 삶을 칭칭 감아서 질식할 듯한데, 산 너머에는 또 다른 산이 기다리고 있고, 여우가 가고 나면 더 교묘하게 진화한 범이 등장하는 것 또한 세상의 이치다. 그런데 그 여우와 범이 우리의 안에 똬리 틀고 있는 ‘괴물’이라는 것도 산을 오르내리며 배웠다. 걸어온 길은 늘 풀숲에 잠겨 있고 눈앞엔 거친 길들이 우릴 기다렸지만, 함께 어깨 부비며 그 길을 걸어온 시간이 우릴 건져주었다.    (배창환)


분단시대 동인은 내 문학의 등뼈를 곧추 세워준 인연이다. 제대로 역사인식도 확신하지 못한 채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개별적 존재론에만 매달려 집착하고 있을 때, 나보다 저만치 앞서 가며 시인이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를 실천과 시로 멘토가 되어준 분들이다. 포항에서의 민중시 낭송회 사건 이후 나는 긴 시간 동안 문학과 엔지니어라는 불화의 관계를 동시에 수용해내지 못했다. 이제 뒤늦게나마 내 시의 길을 찾아갈 수 있게 된 것이 여간 다행스러운 게 아니다.    (정원도)


— 「시인들의 말」 중에서



분단의 상황을 역사적으로 인식하고 극복하려고 젊은 시인들이 모여 <분단시대>를 결성한 지 30년이 되었다. 우리 사회의 모든 모순과 병폐가 민족의 분단에서 기인하는 것을 간파하고 온몸으로 맞서온 것이다. 그리하여 동인지 1집이 판매 금지당했을 뿐만 아니라 동인들이 감시받고 직장에서 해직되고 구속될 정도로 고초를 겪었다. 그렇지만 일터와 광장에서 시대의 아픔을 노래하는 것을 멈추지 않고 1980년대의 민중 항쟁에 필요한 역할을 했다.


<분단시대>의 역사의식과 실천 행동은 여전하다. 아직도 민족이 분단의 상황이기에, 기득권을 지키려고 분단 상황을 매카시즘의 조건으로 삼고 민중들을 억누르는 세력들이 견고하기에 맞서고 있는 것이다. 이번 시집에서 세월호의 희생자를 추모하며 노란 리본을 달고(「왜관역 노란 리본」), 참사가 일어난 봄날을 아파하고(「노란 리본」), 유족들을 둘러싼 증오와 불신과 비어들에 분노하고(「광화문 광장에서」), 사회적 반성을 기대하고(「세월호, 이후」), 팽목항의 사진을 보며 사죄하고(「팽목항의 사진을 보며」), 참사의 진상을 요구하는 유족들과 시민들을 막으려고 전경들이 차벽으로 에워싸는 모습을 비판한 것이(「성벽」) 그 모습이다. 

— 맹문재 (시인·안양대 교수)





2. 저자 약력


김성장     1988년 『분단시대』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서로 다른 두 자리』, 저서 『선생님과 함께 읽는 정지용』. 현재 옥천여중 교사.


김용락     1959년 경북 의성 출생. 1984년 창비신작시집 『마침내 시인이여』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기차소리를 듣고 싶다』 등 13권. 현재 경운대 교양학부 교수. 한국문화분권연구소 이사장.


김윤현     1955년 경북 의성 출생. 1984년 『분단시대』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창문 너머로』 『지동설』 등이 있음. 『사람의 문학』 편집위원.


김응교     1987년 『분단시대』로 작품 활동 시작. 1990년 『한길문학』 신인상 받음. 시집 『씨앗/통조림』, 평론집 『그늘ㅡ문학과 숨은 신』 등. 현재 숙명여대 교양교육원 교수.


김종인     1954년 경북 금릉 출생. 1983년 『세계의 문학』으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흉어기의 꿈』 『내 마음의 수평선』 등. 현재 김천 율곡중학교 교사.


김창규     1954년 충북 보은 출생. 1985년 창비신작시집 『그대가 밟고가는 모든 길위에』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푸른벌판』 『슬픔을 감추고』 등.


김희식     1961년 충북 청주 출생. 1984년 『분단시대』로 작품 활동 시작. 1986년 김남주 등과 옥중 공동시집 『이렇게 시퍼렇게 살아』. 시집 『유월의 거리에 서서』 등. 


도종환    1954년 충북 청주 출생. 시집 『접시꽃 당신』 『세시에서 다섯시 사이』 등, 산문집 『너 없이 어찌 내게 향기 있으랴』 등. 정지용문학상, 윤동주상, 백석문학상, 공초문학상, 신석정문학상 등 받음.


배창환     경북 성주 출생. 1981년 『세계의 문학』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 시집 『잠든 그대』 『겨울 가야산』 등, 시선집 『서문시장 돼지고기 선술집』 『소례리 길』 등.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 역임.


정대호     1958년 경북 청송 출생. 1984년 『분단시대』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다시 봄을 위하여』 『어둠의 축복』 등, 평론집 『작가의식과 현실』 『현실의 눈, 작가의 눈』 등.


정원도     1959년 대구 출생. 1985년 『시인』으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 『그리운 흙』 『귀뚜라미 생포 작전』. 현재 한국작가회의 이사.




3. 도서 목차


■ 시인들의 말


김성장


춘정

혹시

나는 시인이다

상처



김용락


반딧불이

왜관역 노란 리본

대구의 10월

어둠

서북청년단 재건위



김윤현


깃발과 바람

울 엄마

거미처럼

그림자

물방개와 저수지



김응교


환(幻)

비행기

송광사 쇠붕어

개미 소년

성(聖)  지린



김종인


새, 떠난 둥지

누운 회화나무

종심(從心)

재앙을 잉태하는 자들

대낮, 길을 잃다



김창규


읽히지 않는 시를 쓰지 말랬다

마당 쓸기

바다 바다여 후쿠시마여

노란 리본

백두산을 걷다



김희식


조팝꽃 필 무렵

다 털고 가벼워지는 것이

버스를 타면

바보들의 어머니 작은 천사여

들꽃 눈부시다



도종환


사랑해

깊은 슬픔

화인(火印)

광화문 광장에서

눈물



배창환


바람 한 줄기

이 시대의 교실 풍경·1

세월호, 이후

그 사람

식물인간형(植物人間型)



정대호


매화꽃

땅위의 집을 비워내며

할배는 콩을 심고 비둘기는 콩을 먹고

팽목항의 사진을 보며

월드컵 축구를 보다가



정원도


먼동

어머니의 주민증

어머니의 육소간

성벽(城壁)

사이


■ 해설  김용락  시대정신에 충실한 문학

■ 분단시대 동인 발자취




**** 분단시대 동인 발자취


■ 1집 :  『이 땅의 하나 됨을 향하여』, 온누리,  1984.  5.  15.

     시 : 배창환, 도종환, 김용락, 김종인, 김창규, 김윤현, 

           김희식, 정대호, 김형근


■ 2집 :  『이 어둠을 사르는 끝없는 몸짓』, 온누리, 1985. 1. 

     시 : 김형근, 도종환, 김용락, 김창규, 정대호, 김희식, 

           김윤현, 김종인, 배창환


■ 『분단시대 판화시집』, 우리, 1985. 12.

     시 : 도종환, 김종인, 김창규, 김윤현, 김형근, 김용락, 

           김희식, 배창환, 정대호,

     판화 : 정하수, 박용진


■ 3집 :  『민중의 희망을 노래하자』, 학민사, 1987. 6. 

     시 : 김종인, 김용락, 정대호, 배창환, 김희식, 백승포, 

           김윤현, 정원도, 김창규, 도종환, 김석현, 김형근, 김복진


■ 4집 :  『분단문학에서 통일문학으로』, 학민사, 1988. 9. 

     시 : 박운식, 김윤현, 감창규, 김종인, 정대호, 김시천, 

           배창환, 김용락, 정원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