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간행도서

이화형, <민중의 현실, 생활과 의례>

by 푸른사상 2014. 10. 8.


 


1. 도서소개


소통을 지향했던 한국인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그 정체성을 파악해보려는 의도 아래 2012년에 그동안 집적해온 노력을 바탕으로 먼저 지배계층의 문화를 분석하여 『한국문화를 꿈꾸다』와 『한국문화를 논하다』라는 두 권의 책을 세상에 내놓은 바 있다. 이제 오랫동안 관심을 갖고 연구해온 서민계층의 문화에 관한 나름의 결과를 내놓을 때가 되었다고 본다. 이 책은 민중들의 삶과 정신이 무르녹은 민속문화서로서 이미 출간된 많은 민속관련 문화서와 달리 다양한 한국문화를 일관된 인문학적 시각으로 접근한 점이 특징이다.  

한국문화를 공부하면 할수록 나를 사로잡는 게 있다. 다름 아닌 ‘생명존중’, ‘인본주의’와 같은 개념들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생명’ 혹은 ‘인본’이 한국문화를 보는 나의 중요한 시각이 될 것이다. 특히 이러한 문화적 아이콘들은 ‘소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인간과 자연, 나와 남, 사상과 사상의 융합에서 비롯되는 소통은 한국문화의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다.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학진흥원이 뽑은 10대 한국 문화유전자는 흥(신명), 끈기(인내), 정(나눔), 해학(여유), 발효(숙성), 예의(선비정신), 역동성(열정), 공동체문화(우리), 어울림(조화), 자연스러움 등이다. 이 가운데서도 ‘예의’와 ‘자연스러움’이 각각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선정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전자 1위를 차지했던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예의는 공동체를 인식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소통의 태도이며, 자연스러움도 전체를 의식하고 보완하려는 소통의 정신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의식주 생활만 보더라도 소통의 가치가 잘 드러난다. 우리는 옷가지 하나도 부자나 모녀, 또는 이웃이 같이 입을 수 있었다. 음식도 남들과 서로 나누어 먹으며 심지어 된장찌개를 함께 떠먹듯 맛을 공유했다. 낮은 담과 얇은 방문에 의지하여 개방적인 주거생활을 해왔다. 의례를 보더라도 마찬가지다. <농가월령가>를 통해 “북어 한쾌 젖조기로 추석명절 쇠어보세/선산에 제물하고 이웃집 나눠먹세”라고 노래했듯이 세시의례에서 조상을 섬기고 이웃과 잘 지낼 것을 강조했다. 부모님이 운명하시면 신주를 모시고 평생 함께 살고자 했으며 초상집 또는 잔칫집에 손님이 없으면 집안이 망한다고 했던 일생의례도 소통의식의 발로이다.  

우리는 지금 전통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데도 새로운 방향을 아직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옛것만 강조하고 있으면 고루해 보이고 새것만 따라가면 천박하기 그지없다. 드라마로 촉발된 한류를 제1차 한류라고 한다면, K팝이 일으킨 한류를 제2차 한류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제3차 한류를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 과제인 것 같다. 바람이나 분위기를 확고하게 문화 전반으로 확장시키면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으로 안착시키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와 대중문화와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한국문화의 창조를 이루어내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세계와 호흡하는 영화,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문화상품의 창출은 우리의 고전텍스트와 전통적인 소재에서 시작된 것이다.




2. 저자약력


이화형


현재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이며 중국 중앙민족대학 초빙교수를 지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이덕무의 문학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학문의 폭을 넓혀 한국 문화 전반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이덕무의 문학 연구』『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움』『아정 이덕무 시집』『이제 다시 생각하고 좋은 글을 써야 할 때』 『한국 문화의 이해』『글쓰기의 새로운 지평』『청장, 키 큰 소나무에게 길을 묻다―이목구심서 번역』『한국문화의 힘, 휴머니즘』『나아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하늘에다 베틀 놓고 별을 잡아 무늬 놓고』 『베이징 일기』『한국 여성 문화 탐구』『뜻은 하늘에 몸은 땅에―세상에 맞서 살았던 멋진 여성들』『보한집 번역 선집』『한국 문화를 꿈꾸다』『한국 문화를 논하다』 『보한집 완역―수필·비평』 등이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국어국문학 연구의 새로운 모색』『고전 작가 작품의 이해』『국어국문학 연구의 오늘』『여성 문화의 새로운 시각』『한국 문학사의 전개 과정과 문학 담당층』『한국 근대 여성의 일상문화』(전9권)『창의적 사고와 효과적 표현』『고려조 한문학론』『한국 현대 여성의 일상문화』(전8권)『교양 필독서 100선』『한국 문화를 말하다』 등이 있다.



3. 도서목차


머리말


제1부  의식주와 노동


제1장  의식주 ─ 기본적인 생활은 어떠했는가

1) 옷과 몸치레

2) 마시고 먹는 것

3) 거주하는 곳


제2장  노동 ─ 무슨 일을 하면서 살았는가

1) 농사와 농기구

2) 기술과 제품

3) 시장과 상인

4) 어구와 물고기

5) 사냥과 짐승


제2부  세시의례와 일생의례


제1장  세시의례 ─ 자연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1) 설

2) 정월대보름

3) 한가위(추석)

4) 단오·한식·동지

5) 민속놀이


제2장  일생의례 ─ 인간적인 도리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

1) 산육례

2) 관례

3) 혼례

4) 수연례

5) 상장례

6) 제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