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소개
우리 민족은 지구상 극동의 한 가운데 한반도에서 역사의 소용돌이를 헤치며 살아오고 있습니다. 조선조 말엽 쇄국정책을 고수하다가 세계열강의 각축 속에서 일본에게 합병당하였고 2차 대전의 결과로 남북이 분단되고 또 6·25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었으며 아직도 세계에서 단일민족으로 유일하게 남북이 갈린 분단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역사의 굴곡 속에서 세계로 흩어지게 된 우리 민족판 해외이산(Diaspora)으로 7백 20여만 동포 후손들이 외국에 나가 살고 있습니다. 다행히 1960년대 이후 우리 한국의 급속한 발전으로 경제적인 후진국 을 탈피하였고, 이제는 바야흐로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매진하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나 현재도 정치적인 후진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참다운 국리민복을 실현할 수 있는 민주국가의 건설을 위해서는 전 국민의 결집된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실정입니다. 국내외에서 뛰어나게 활동했거나 현재도 큰 공헌을 하고 계신 각계 선인들 중에 멘토(Mentor)가 되실 만한 여러분의 이야기를 간추려 우리 청년들이 성장하여 장래 우리나라와 거주국 그리고 국제사회 발전에 공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참고자료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미 고국의 발전에 공헌하였거나 해외에 나가서 국제사회에서 인정받는 인사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내용이 이미 기사나 출판물을 통해서 세상에 알려진 것일지 모르지만, 일상생활에 분주한 젊은이들을 위하여 다방면에서 대표적이고 비교적 일반에게 덜 알려진 내용을 포함하여 분야에 따라 요점적으로 서술하여 독자가 먼저 선택하여 읽기 편리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2. 저자약력
신갑철
한국문인협회 회원(수필)
재외동포신문사 자문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경력: 미국 ABC-Amega Inc. 한국대표
한국무역보험공사 이사
Indonesia 재무성 자무관
한국수출입은행 LA사무소장
대한재보험공사 월남지사 총무과장
ESCAP, UNCTAD, IUCII 등 국제회의 다년간 참석
한국정부 석탑산업훈장 수장
저작활동: 우형주 전 서울대 교수 회고록『평양과 서울』(1994.12. 책임펴집)
『수출계약의 요점과 분쟁해결』(2002.10.)
『무역미수금회수의 요체』(2004.11.초판, 2007.7.증보판)
임창빈 재미사업가 회고록(2008.2.책임편집)
『창공의 여운』(공군장교동기생 문집;2008.12.공동편집)
3. 도서목차
추천사 이형모
추천사 최병구
머리말
제1부 자유와 평화의 화신
한국 민족의 해외이민상
1. 해외이주의 시발과 조국관
한국의 현대사와 국제적 위상
1. 한국의 독립과정 전후의 진통과 6·25전쟁
2. 근대화 토대 구축과 현대 민주국가로의 발전
한국인의 세계 진출과 해외정착 과정
1. 동포들의 진출지역별 특징과 유형
2. 진출지역별 실태와 성장모델
제2부 국위를 선양한 국제적 멘토들
한국을 빛낸 UN 반기문 사무총장과 세계은행 김용 총재
민족의 얼을 고양한 두 재미 태권도 사범 이준구, 신재철 씨
1. 워싱턴 정가의 작은 거인 이준구 사범
2. 필라델피아에서 노스캐롤라이나까지 신재철 사범
조국을 사랑한 군인들과 극기의 등산가들
1. 전투조종사 출신 윤응렬 장군의 이야기
2. 국립현충원에 묻힌 신상철 장군과 신호철 대위
3. 현충원 사병묘역에 묻힌 초대 주월사령관 채명신 장군
4. 히말라야 8,000m급 14좌의 오은선 여사와 무산소 등정한 산악인 김창호 대장
세계적인 작가와 근면한 두 탐구자
1.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파울로 코엘료
2. 한·중·영 어휘사전을 발간한 전 주한 미국외교관 W씨
3. 성경 전체 구절을 거의 암송하는 K씨
오지 선교사 두 분, 노 여의사의 생애와 기독실업인의 간증
1. 남부 수단의 이태석 신부의 삶과 영성
2. 마다가스카르의 김창주 선교사 이야기
3. 조병국 노 여의사의 생애
4. 세계기독실업인회 명예이사장 신용한 장로의 간증
국내외 한국 예술인들의 업적과 활동
1. 우리나라 최초 여류조각가 윤영자 교수
2. 커다란 장미를 그린 심명보 화백
3. 미국에서 활동 중인 젊은 한국인 음악가들
국내외에서 사업개척에 매진한 Y, C, H, S, C씨
1. 세계한상대회 설립한 재미 원로사업가 임창빈, 조병태, 홍성은 회장
2. 일본 4번째 갑부인 Soft Bank의 손정의 씨
3. 한국 산업화 초창기, 플랜트 수출을 개척한 현대, 삼성그룹 최고경영자 출신 정웅 씨
세계적인 대기업 발전에 공헌한 만학의 K, L 공학박사
1. DuPont에서 40년 세월을 보내는 김태훈 박사
2. 삼성전자 신제품 핵심기술개발에 젊음을 바친 이주형 박사
자신의 학문세계를 개척한 유망과학자 C, K, L박사
1. 서울대학교 최석봉 교수
2.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수 김빛내리 박사
3. 연세대학교 이인석 교수
제3부 조국혼과 인생교훈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몸
가정식 백반
1. 가정 중심 생활의 토대는 가정식 백반에 있다
2. 우리의 생활방식도 과거 전통에서 배울 점이 많다
흥부 마음씨
풀잎과 이슬
화음으로 이웃을 아우르며 살자
1. 나이 많은 딴따라(Tantara)들
2. 음악교사 출신의 작곡가 신귀복 중학교 교장
산소순례
맺음말
발문 민족의 얼, 통합의 횃불을 들고 홍승주
─ 신갑철 수필가의 역저, 『한민족 새 디아스포라』에 부쳐
4. 추천의 글
이 시대에 국내외에 살고 있는 젊은이들이 근래 한국 발전의 원동력이 된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을 올바로 가지고 고국의 계속적인 번영 속에 그들의 해외에서의 삶이 성공적이고 행복해질 수 있기를 갈망하는 편저자의 심경이 고스란히 배어 있습니다. 특히 여러 가지 사연으로 외국으로 나가 지구촌 곳곳에 흩어져 사는 우리 동포들의 이주역사와 조국광복을 위한 애국선열들의 활동에 이은 남북분단 경위와 오늘의 현실에 대하여 간략히 고찰하여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한 점은 전후 세대들의 산 공부가 되리라 믿습니다.
또한 자신의 뿌리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게 하여 세계 어느 곳에 살던지 스스로 노력하여 성공적인 삶을 이루게 하고 싶은 충정이 담긴 글 모음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우리 민족의 후대들을 위한 편저자 신 선생의 출판을 돕고자 개인 자료를 직접, 간접으로 기꺼이 제공해주신 훌륭하신 여러분들에게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올리면서 이 글을 마칩니다.
- 이형모(재외동포신문 대표, 재외동포포럼 이사장)
우리 민족의 힘들었던 역사와 함께 신 선생의 삶도 한국전쟁 후 세계 최빈국의 하나에서 근대화와 글로벌화를 이루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성공적으로 달성한 세계 유일의 나라가 되기까지 겪어야 했던 우리 민족의 고단한 삶과 역경 극복의 과정을 그대로 새기고 있는 듯하다.
이 책 『한민족 새 디아스포라』는 우리 민족이 어려운 시절을 헤쳐 나온 지혜와 철학이 농축되어 있다. 나는 이 책이야말로 재외동포는 물론 국내외 청소년들에게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내일을 열어가는 ‘희망의 지침서’가 될 것이며 또한 ‘시대의 거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최병구(워싱턴 한국문화원장)
'2014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라영, 김춘수 시 연구 (0) | 2014.05.13 |
---|---|
김민효, 그래 낙타를 사자 (0) | 2014.05.12 |
은하수를 찾습니다 (0) | 2014.04.22 |
김용직, 문학사의 섶자락 (0) | 2014.04.22 |
21세기 한국소설의 다문화와 이방인들 (0) | 2014.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