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 소개
<푸른사상 평론선> 14번째로 『문학사의 섶자락』이 간행되었습니다. 세부 전공으로 택할 수 있는 지적(知的) 빈터가 발견되지 않던 중에 발견해낸 것이 시의 역사 쓰기였습니다. 나만이 맛본 연구자의 애환도 수없이 거듭되었기에 여기에 담아본 몇 편의 글은 그 갈피에서 겪은 일들을 제재로 삼은 것들입니다.
문학의 역사에서 몸통이 되는 것은 시나 소설, 희곡 등 작품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인, 작가들에 부수된 정보, 자료는 문학사의 참고사항이며 옷자락이다.
돌이켜보며 올해로 내가 한국 현대문학 연구를 지망하고 나선 것이 햇수로 꼬박 예순 해에 이른다. 본래 나는 천성이 명민한 편이 못되며 또한 일을 처리하는데 민첩하지도 못하다. 그런 터수로 민족문학의 대동맥에 해당되는 우리 시의 역사 쓰기를 꾀하다가 보니 그 사이에는 적지 않은 시행착오 현상이 나타났다. 나만이 맛본 연구자의 애환도 수없이 거듭되었다. 여기에 담아본 몇 편의 글들은 그 갈피에서 겪은 일들을 제재로 삼은 것들이다.
제1부의 네 편들은 최근 10년 동안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그 어조가 논설조로 되어 있으나 내용은 그보다 더 통속적이다. 애초부터 본격담론으로서가 아니라 시골 사랑방의 한담 정도로 생각하고 쓴 것이니 심심 파적거리로 읽어도 무방한 것들이다.
제2부의 일곱 편은 그대로 서사여적(書舍餘滴)에 속할 것들이다. 이 몇 해 동안 나는 대학의 동창들이 모여서 내는 수필동호인 모임에 관계해왔다. 또한 육당(六堂)과 춘원(春園) 등 작고 문인들의 연구모임에도 참여하여 빈자리가 생기면 내 나름의 생각을 피력하고, 질의 토론에도 참여한 바 있다. 여기에 담긴 글들은 그 갈피를 메우기 위해 작성된 것들이다.
제3부에 실린 글들 역시 그 작성 동기는 2부의 경우와 거의 같다. 양자 사이에 차이가 있다면 이 장에서 나는 앞서 두개 장과 달리 화제의 초점을 춘원 이광수 쪽으로 한정하였다(마지막의 글은 예외). 따라서 이 부분 역시 대수로운 내용은 없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문학의 역사에서 몸통이 되는 것은 시나 소설, 희곡 등 작품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인, 작가들에 부수된 정보, 자료는 문학사의 참고사항이며 옷자락이다.
돌이켜보며 올해로 내가 한국 현대문학 연구를 지망하고 나선 것이 햇수로 꼬박 예순 해에 이른다. 본래 나는 천성이 명민한 편이 못되며 또한 일을 처리하는데 민첩하지도 못하다. 그런 터수로 민족문학의 대동맥에 해당되는 우리 시의 역사 쓰기를 꾀하다가 보니 그 사이에는 적지 않은 시행착오 현상이 나타났다. 나만이 맛본 연구자의 애환도 수없이 거듭되었다. 여기에 담아본 몇 편의 글들은 그 갈피에서 겪은 일들을 제재로 삼은 것들이다.
제1부의 네 편들은 최근 10년 동안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그 어조가 논설조로 되어 있으나 내용은 그보다 더 통속적이다. 애초부터 본격담론으로서가 아니라 시골 사랑방의 한담 정도로 생각하고 쓴 것이니 심심 파적거리로 읽어도 무방한 것들이다.
제2부의 일곱 편은 그대로 서사여적(書舍餘滴)에 속할 것들이다. 이 몇 해 동안 나는 대학의 동창들이 모여서 내는 수필동호인 모임에 관계해왔다. 또한 육당(六堂)과 춘원(春園) 등 작고 문인들의 연구모임에도 참여하여 빈자리가 생기면 내 나름의 생각을 피력하고, 질의 토론에도 참여한 바 있다. 여기에 담긴 글들은 그 갈피를 메우기 위해 작성된 것들이다.
제3부에 실린 글들 역시 그 작성 동기는 2부의 경우와 거의 같다. 양자 사이에 차이가 있다면 이 장에서 나는 앞서 두개 장과 달리 화제의 초점을 춘원 이광수 쪽으로 한정하였다(마지막의 글은 예외). 따라서 이 부분 역시 대수로운 내용은 없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2. 저자 약력
김용직
경북 안동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울대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 인문대학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韓國近代詩史』(1ㆍ2권) 『韓國現代詩史』(상ㆍ하권)『한국문학을 위한 담론』『북한문학사』『한국현대문학의 좌표』『해방직후 한국시와 시단의 형성 전개사』등과 한시집『碧天集』『松濤集』『懷鄕詩少』등이 있다.
저서로 『韓國近代詩史』(1ㆍ2권) 『韓國現代詩史』(상ㆍ하권)『한국문학을 위한 담론』『북한문학사』『한국현대문학의 좌표』『해방직후 한국시와 시단의 형성 전개사』등과 한시집『碧天集』『松濤集』『懷鄕詩少』등이 있다.
3. 도서 목차
머리말
제1부 창조와 전략
식민지 체제하 한국시의 민족적 저항
─ 김소월(金素月)과 이육사(李陸史)를 중심으로
1. 약간의 전제
2. 김소월의 경우
3. 이육사의 경우
창조와 전략 ─ 시조 창작을 위한 몇 가지 문제
1. 문학사의 위상
2. 시조의 양식적 특성
3. 내면의 깊이와 기법의 문제
4. 엇시조, 사설시조, 연시조(連時調)의 문제
전기 연구의 논리와 실제 『춘원의 광복론, 독립신문』에 대하여
─ 김원모, 『영마루의 구름─춘원(春園) 이광수의 민족보존론(民族保存論)』과 『춘원의 광복론, 독립신문』에 대하여
1. 주목되는 전기 연구
2. 춘원과 ‘송아지’ 혼동
3. 민족의식의 좌표설정 문제, 2·8선언과 일제말의 굴절
4. 『백범일지(白凡逸志)』는 춘원 원작인가
근대시 형성기의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
1. 들머리의 말
2. 신체시의 양식적 특성과 이광수
3. 이광수의 초기 작품-「옥중호걸(獄中豪傑)」, 「곰」, 「우리 영웅(英雄)」
4. 점진주의자의 시. 상해체험 이후의 작품세계
5. 저항자의 귀국과 미완(未完)으로 끝난 민족시
제2부 문학사의 섶자락
문학사의 섶자락
1. 벽초(碧初)와 「수호지(水滸誌)」
2. 김기진(金基鎭)과 민촌(民村) 이기영(李箕永)의 『고향』
3. 모윤숙(毛允淑)의 시몬
나의 Nym Wales 읽기
1. 망명, 반제 투쟁자의 기록
2. 님 웨일즈와 김산의 만남
3. 조선인 반제·저항투사의 일대기
4. 김산에게 비친 상해 임정시대의 이광수
나도향(羅稻香)과 안동
1. 『문단 30년사』 속의 나도향
2. 스물 네 살의 보통학교 교사
3. 나도향의 근무학교
4. 임청각, 동흥학교 교사 나도향
내가 읽은 정지용 『문학독본(文學讀本)』
1. 천둥벌거숭이 중학생
2. 정지용의 『문학독본』 입수
3. 모리배라는 말과 C랑(娘)
4. 고전과 한시 번역 솜씨
육당(六堂)의 「자열서(自列書)」 읽기
1. 반민특위와 육당(六堂)의 자기 변론서
2. 건국대학 교수 취임 문제
3. 학병권유 강연
4. 한일동조론자(韓日同祖論者) 아닌 민족사 연구자
5. 육당에 의한 우리 고대사 바로잡기 시도
「처용가(處容歌)」 다시 읽기 ─ 양식론적 시각을 중심으로
1. 양식적 성격
2. 향가 「처용가」와의 대비
3. 「처용가」의 구조 분석
4. 「처용가」 양식의 문학사적의의
정월 나혜석(晶月 羅蕙錫)의 인간과 예술
1. 모범생 나혜석, 동경유학
2. 최승구와 나혜석
3. 나혜석의 소월(素月) 사랑 사유
4. 예술과 생활의 상극(相剋), 그리고 여성 해방의 시도
5. 남녀평등의 실현, 상호보완론과 끝자리의 말
제3부 한줄기 바람에도 흔들린
나의 춘원(春園) 소설 읽기
1. 어느 문화 배경
2. 등잔불을 아낀 시절
3. 몰래 넘겨본 『이순신(李舜臣)』
4. 『단종애사』를 읽을 무렵
5. 춘원 비판, 좌파의 시각
춘원의 『허생전(許生傳)』
1. 거인의 문학
2. 김동인(金東仁)의 시각
3. 편차를 가진 비판, 허생의 등장
4. 고전적 제재가 선택된 이유. 또는 올바른 소설 읽기의 길
한줄기 바람에도 흔들리는 ─ 이광수(李光洙)의 친일 굴절에 대한 생각
1. 애국 애족의 발자취
2. 돌발현상으로 나타난 친일굴종(親日屈從)과 그 수수께끼 풀기
3. 기술비평의 시각과 민족보존론
4. 해외 발간 자료의 발견과 가설의 설정-초전시체제하 춘원이 가진 강박관념
R. 타고르와 춘원 이광수
1. 하나의 예외
2. 타고르의 수입 소개 여건
3. 중개자 진학문(秦學文)
4. 춘원(春園)의 타고르 수용
춘원(春園)과 봉선사(奉先寺)
1. 역사의 격랑(激浪)과 더불어
2. 봉선사, 광동학교(光東學校)
3. 『돌베개』의 세계, 다경향실(茶經香室)
4. 풀벌레가 우는 자리
다시 읽는 춘원(春園)의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비문
1. 춘원의 도산 섬기기
2. 홍사단, 동우회와 도산, 춘원
3. 춘원의 도산 비문 쓰기
4. 춘원작 도산 비문,주석, 해독
그리운, 그러나 이제는 돌아갈 수 없는 자리
─ 나와 ‘문리대문학회(文理大文學會)’
1. 파격적인 출범
2. 제1회 ‘문학의 밤’
3. 『문학』 창간호 발간
4. 『문학』 제2집
5. 그리운, 그러나 돌아갈 수 없는 마음의 고향
찾아보기
제1부 창조와 전략
식민지 체제하 한국시의 민족적 저항
─ 김소월(金素月)과 이육사(李陸史)를 중심으로
1. 약간의 전제
2. 김소월의 경우
3. 이육사의 경우
창조와 전략 ─ 시조 창작을 위한 몇 가지 문제
1. 문학사의 위상
2. 시조의 양식적 특성
3. 내면의 깊이와 기법의 문제
4. 엇시조, 사설시조, 연시조(連時調)의 문제
전기 연구의 논리와 실제 『춘원의 광복론, 독립신문』에 대하여
─ 김원모, 『영마루의 구름─춘원(春園) 이광수의 민족보존론(民族保存論)』과 『춘원의 광복론, 독립신문』에 대하여
1. 주목되는 전기 연구
2. 춘원과 ‘송아지’ 혼동
3. 민족의식의 좌표설정 문제, 2·8선언과 일제말의 굴절
4. 『백범일지(白凡逸志)』는 춘원 원작인가
근대시 형성기의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
1. 들머리의 말
2. 신체시의 양식적 특성과 이광수
3. 이광수의 초기 작품-「옥중호걸(獄中豪傑)」, 「곰」, 「우리 영웅(英雄)」
4. 점진주의자의 시. 상해체험 이후의 작품세계
5. 저항자의 귀국과 미완(未完)으로 끝난 민족시
제2부 문학사의 섶자락
문학사의 섶자락
1. 벽초(碧初)와 「수호지(水滸誌)」
2. 김기진(金基鎭)과 민촌(民村) 이기영(李箕永)의 『고향』
3. 모윤숙(毛允淑)의 시몬
나의 Nym Wales 읽기
1. 망명, 반제 투쟁자의 기록
2. 님 웨일즈와 김산의 만남
3. 조선인 반제·저항투사의 일대기
4. 김산에게 비친 상해 임정시대의 이광수
나도향(羅稻香)과 안동
1. 『문단 30년사』 속의 나도향
2. 스물 네 살의 보통학교 교사
3. 나도향의 근무학교
4. 임청각, 동흥학교 교사 나도향
내가 읽은 정지용 『문학독본(文學讀本)』
1. 천둥벌거숭이 중학생
2. 정지용의 『문학독본』 입수
3. 모리배라는 말과 C랑(娘)
4. 고전과 한시 번역 솜씨
육당(六堂)의 「자열서(自列書)」 읽기
1. 반민특위와 육당(六堂)의 자기 변론서
2. 건국대학 교수 취임 문제
3. 학병권유 강연
4. 한일동조론자(韓日同祖論者) 아닌 민족사 연구자
5. 육당에 의한 우리 고대사 바로잡기 시도
「처용가(處容歌)」 다시 읽기 ─ 양식론적 시각을 중심으로
1. 양식적 성격
2. 향가 「처용가」와의 대비
3. 「처용가」의 구조 분석
4. 「처용가」 양식의 문학사적의의
정월 나혜석(晶月 羅蕙錫)의 인간과 예술
1. 모범생 나혜석, 동경유학
2. 최승구와 나혜석
3. 나혜석의 소월(素月) 사랑 사유
4. 예술과 생활의 상극(相剋), 그리고 여성 해방의 시도
5. 남녀평등의 실현, 상호보완론과 끝자리의 말
제3부 한줄기 바람에도 흔들린
나의 춘원(春園) 소설 읽기
1. 어느 문화 배경
2. 등잔불을 아낀 시절
3. 몰래 넘겨본 『이순신(李舜臣)』
4. 『단종애사』를 읽을 무렵
5. 춘원 비판, 좌파의 시각
춘원의 『허생전(許生傳)』
1. 거인의 문학
2. 김동인(金東仁)의 시각
3. 편차를 가진 비판, 허생의 등장
4. 고전적 제재가 선택된 이유. 또는 올바른 소설 읽기의 길
한줄기 바람에도 흔들리는 ─ 이광수(李光洙)의 친일 굴절에 대한 생각
1. 애국 애족의 발자취
2. 돌발현상으로 나타난 친일굴종(親日屈從)과 그 수수께끼 풀기
3. 기술비평의 시각과 민족보존론
4. 해외 발간 자료의 발견과 가설의 설정-초전시체제하 춘원이 가진 강박관념
R. 타고르와 춘원 이광수
1. 하나의 예외
2. 타고르의 수입 소개 여건
3. 중개자 진학문(秦學文)
4. 춘원(春園)의 타고르 수용
춘원(春園)과 봉선사(奉先寺)
1. 역사의 격랑(激浪)과 더불어
2. 봉선사, 광동학교(光東學校)
3. 『돌베개』의 세계, 다경향실(茶經香室)
4. 풀벌레가 우는 자리
다시 읽는 춘원(春園)의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비문
1. 춘원의 도산 섬기기
2. 홍사단, 동우회와 도산, 춘원
3. 춘원의 도산 비문 쓰기
4. 춘원작 도산 비문,주석, 해독
그리운, 그러나 이제는 돌아갈 수 없는 자리
─ 나와 ‘문리대문학회(文理大文學會)’
1. 파격적인 출범
2. 제1회 ‘문학의 밤’
3. 『문학』 창간호 발간
4. 『문학』 제2집
5. 그리운, 그러나 돌아갈 수 없는 마음의 고향
찾아보기
'2014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갑철, 한민족 새 디아스포라 (0) | 2014.05.09 |
---|---|
은하수를 찾습니다 (0) | 2014.04.22 |
21세기 한국소설의 다문화와 이방인들 (0) | 2014.04.17 |
현대소설의 상황 (0) | 2014.04.17 |
조문시에서 7일 (0) | 2014.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