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 간행도서

박기눙 산문집, <이허와 저저의 밤>

by 푸른사상 2023. 3. 17.

 

분류--문학(산문)

 

이허와 저저의 밤

 

박기눙 지음|푸른사상 산문선 49|145×210×16mm|256쪽

18,500원|ISBN 979-11-308-2018-7 03810 | 2023.3.20

 

 

■ 도서 소개

 

삶은 어떻게 이야기가 되고, 이야기는 어떻게 삶을 만드는가

 

박기눙 작가의 첫 산문집 『이허와 저저의 밤』이 <푸른사상 산문선 49>로 출간되었다. 작가는 삶의 일상에서부터 사회, 문학, 예술, 철학 등의 문제를 진지하게 이야기한다. 틈새에 눈을 대고 세상을 살피는 작가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세상을 보는 지혜로움을 체득한다.

 

 

■ 작가 소개

 

박기눙

경기도 여주에서 나서 서울에서 자랐다.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했다. 2013년 『무등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단편소설집 『타임피싱』, 장편소설 『시간의 춤』을 펴냈다.

 

 

■ 목차

 

▪글지의 말

 

1부 밤

더 그레이트 뷰티 / 대수 3 / 불타오르다 / 채움의 시간 / 너무 시끄러운 고독 / 말과 침묵 사이 / 시간, 기억 그리고 소설 / 궂긴 / 밤에 잠을 생각하다 / 오렌지빛 오후에 / 왈츠에 웃고 탱고에 넘어가고 / 거리에 서서 / 그녀의 이야기, 나의 역사 / 뉴스, 올디스

 

2부 의

형식의 폭력 / 그릇에는 / ‘이도배’의 유혹 / 내 친구 데이지 / 음악의 맛 / 골라, 골라 / 눈길의 패러다임 / 용서를 배우는 시대 / 1따, 2떳, 3명의 법칙 / 가을, 무서운 이야기들 / 감동이 깃든 원칙

 

3부 저저(這這)

단 한마디 / 뉴스를 보면서 문득 / 다시 ‘능구(能久)’ / 드라마를 찾아서 / 다큐멘터리 주간 / 행동하는 자, 목격하는 자 / 헤어짐과 헤엄 / 괴물들이 사는 나라 / 그녀와 그의 작업, 혹은 예술 / ‘극장뎐’ / 자연, 자연스럽다는 말

 

4부 와

성(聖)에 관한 괜한 생각 / 바느질 수다 / 시장에서 / 신 대신? / 우리는 남이다 / 우리 동네 / 꿈에 / 이누이트와 초몰룽마 / 한미영일드 / 피노키오의 나라 / 파마, 그 기묘한 일의 고찰 / 나, 걷는 사람 / 잔상 건너편 / 작가를 부탁해

 

5부 이허(裏許)

입시 방랑객 / 올림픽과 시간 / 영화제 즈음에 / 상실과 질투를 지나면 / 비상등처럼 / 낯익은 이들 / 본다 / 밥상의 미학 / 또 다른 세상의 말 / 두 벌 혹은 그 이상 / 두 만남 / 도킹 / 당신의 사생활 / 늧

 

▪그리고 짧은 이야기 하나 - 이허와 저저의 ‘한낮’

 

 

■ ‘글지의 말’ 중에서

 

밤이 깊습니다.

 

신독(愼獨),

 

자약(自若),

 

적멸(寂滅)의 날은 언제일까요?

 

또 다른

 

이허(裏許)와 저저(這這)를 기다립니다.

 

 

■ 추천의 글

 

이 책은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다. 또한 삶의 일상에 대한 이야기다. 그리고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다. 삶은 어떻게 이야기가 되고, 이야기는 어떻게 삶을 만드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다시 글쓰기라는 정제된 삶의 기념비를 만들어가기 위해 세상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작가는 “글을 짓는 일은 틈새에 눈을 대고 세상을 살피는 일”이라고 말한다. 틈새는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틈새는 견고한 기성관념과 고착된 관습과 제도에 대한 일탈과 전복을 통해서 생긴 균열이다. 작가는 스스로 글쓰기를 통해서 틈새를 만들어가는 사람이며, 그 틈새를 보는 눈을 제대로 가질 때만 세계에 대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릴케가 ‘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고, 시인 커밍스가‘ 눈이 눈을 떴다’고 말하듯이, 작가 역시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예술의 거장들을 통해서 치밀하게 탐색해간다. 이웃에 사는 평범한 할머니의 말에서 마르케스의 마술적 언어까지, 들뢰즈 철학에서 프루스트의 예술론까지 종횡무진 넘나드는 작가의 지적 노마드가 경이롭다. 작가의 가슴속에 이제 막 쓰여지기를 기다리는 작품이 어떻게 태동하는가를 엿보는 재미도 덤으로 주어진다. ― 백무산(시인)

 

 

■ 출판사 리뷰

 

지난 일상의 궤적을 훑어간 박기눙 작가의 첫 산문집 『이허와 저저의 밤』에는 삶과 세상사에 관한 진지한 사유가 담겼다.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시대의 풍경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며 살아가야 할까. 이 책의 저자는 한밤에 나눈 이허(裏許)와 저저(這這)와의 내밀한 이야기에서 그 답을 찾는 듯하다. 삶은 어떻게 이야기가 되고, 이야기는 어떻게 삶을 만드는가. 이러한 질문 속에서 글쓰기라는 정제된 삶의 기념비를 만들기 위해 세상을 어떤 눈길로 바라봐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작가 특유의 세밀하고도 감각적인 표현으로 그려낸다.

지나가듯 던지는 할머니의 한마디 말에 삶을 관통하는 철학이 섞여들곤 한다. 앞서 살아온 인생에서 우러난 이야기들에는 삶의 지혜와 남다른 가르침이 담겼으며 세상을 보는 안목이 보이기 때문이다. 박기눙 작가에게는 일상 속에서 벌어지는 작고 큰 모든 일이 이야기의 소재다. 이웃 할머니의 말에서 떠올린 마르케스의 마술적 언어부터 들뢰즈 철학, 프루스트의 예술론 등 지적 탐색의 시간을 가지며, 문학과 예술을 탐독한다. 음악을 감상하며 느끼는 채움의 시간, 소설로 배우는 이국의 역사 등 종횡무진하는 작가의 폭넓은 탐색은 진정한 대화와 소통이 필요한 시대에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로 변해 우리에게 온다.

작가는 연주자들이 악기를 조율하는 모습을 떠올려보라고 한다. 처음에는 불협화음처럼 들릴지라도 화음을 맞추고 연주가 시작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서로 어우러지고 조화를 이룬다. 불완전하고도 혼잡한 이 세상 속에서 인생살이에 대한 고민, 예술과 문학의 존재, 사회 문제 등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박기눙 작가는 이 책을 통해 조율하는 연주자들처럼 이 세상을 조화롭게 만드는 묵직한 메시지를 전한다.

 

 

■ 작품 속으로

 

인간의 말이 세상에 넘치고 넘쳐 어지러운 시절, 신들이 모여 회의를 했다. 세상을 조용하게 만들 방법을 연구했다. 어떤 신이 문자를 주자고 이야기했다. 문자로 소통하는 동안 침묵하지 않겠느냐는 희망 섞인 말과 함께. 또한, 말은 흩어져 없어지지만, 문자는 그 반대이니 말이 없어지고 침묵이 가득 찰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인간에게 문자를 주느냐 아니냐를 두고 격론이 이어졌다. 말이 넘쳐흐르는 인간에게 문자까지 준다면 세상이 더 시끄러워질 거라는 의견과 문자를 줘서 그들을 침묵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고심 끝에 신들은 인간에게 문자와 침묵을 함께 주기로 했다. 허나 시간이 흘러 인간은 침묵을 거세해버리고 말을 뱉으면서는 현재를, 문자로는 기록을 남기는 수단으로 삼으면서 과거와 미래를 다스리기 시작했다. 세상은 또다시 수많은 말과 문자로 들끓었다. 신들은 다시 회의를 위해 모였다. 한숨이 오고 가는 신들 사이로 오랫동안 침묵이 흘렀다.

(「말과 침묵 사이」, 34~35쪽)

 

글을 짓는 일은 틈새에 눈을 대고 세상을 살피는 일이라 생각한다. 타인을 꿰뚫을 잣대로 나를 살피는 일은 서글프지만 담백하다. 세상과 나 사이의 틈새를 촘촘하게 메꿔가는 게 옳은 일인지, 벌어지는 간격을 여유라 믿으며 사는 게 옳은지 아직은 모르겠다. 다만 뭐든 숭숭 통했으면 좋겠다.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는 레미콘과 차벽을 넘나드는 새의 날렵함을 닮고 싶은 오후, 우리 동네 숨은 쌈지 공원을 찾아 나서는 발걸음이 가볍다.

(「거리에 서서」, 60쪽)

 

바뀐 세상을 몸으로 느끼는 요즘, 하루 24시간의 물리적인 시간 속에서 내가 느끼는 심리적인 시간은 더디기만 하다. 몸에 익을 때까지 한참을 기다려야 할 것 같은 예감에 잠시 숨을 고르며 하늘을 본다. 보랏빛이 감도는 파란 하늘은 여전하다. 그 여전함에 까닭 모를 안도감이 밀려온다. 그러다가 이내 작은 한숨을 쉬는 나를 발견하고 만다. 능구의 길은 누구에게도 쉽지 않다던 철학자의 일갈을 떠올리며 발걸음을 내딛는다.

악기 연주자들이 조율을 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세심하게 줄을 당기고 풀면서 음을 잡는 조율의 과정은 불협화음처럼 들린다. 연주가 시작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악기의 음색은 서로 어우러지고 조화를 이룬다. 조율의 과정은 멋진 연주의 주춧돌이지 싶다. 지금 나는 아직 조율의 시간을 보내는 중. 능구를 거치면 멋진 연주를 할 수 있으리.

(「다시 ‘능구(能久)’」, 122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