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른사상 시선

부평 4공단 여공

by 푸른사상 2013. 1. 22.

 

 

정세훈 ㅣ 푸른사상ㅣ  2012년 11월 24일


* 시세계

 

정세훈은 데뷔 이후 지금껏 민중의 생활주의를 구현하는 시편들을 써온 시인이다. 민중의 생활주의적 감각에 근거한 정세훈의 시적 행보는 1990년대 이후 우리 시단에서 희유(稀有)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시집 맑은 하늘을 보면(1990)을 비롯한 다수 시편들에서 정세훈이 보여준 이러한 민중의 생활주의는 일상의 노동 경험을 상상력의 젖줄로 삼아 특유의 소박성과 원시성의 미학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드러난 바 있다.

정세훈 시 고유의 이러한 미학적 특징은 1989노동해방문학5월호에 발표한 데뷔작 별따기와 초기 대표작 맑은 하늘을 보면같은 시들에서 여실히 확인할 수 있다. “맑은 하늘을 보면 / 걱정이 생겨/슬픔도 생겨/어디선가 갑자기/구름들이 달려와/하늘을/온통 덮어버릴 것만 같구먼.”(맑은 하늘을 보면전문) 저 하늘의 맑은 하늘을 보면서도 구름들로 표상되는 갖은 생활난(生活難)을 예감하는 정세훈의 생활주의적 태도는 고된 노동과 질긴 삶을 온몸으로 살아내지 않고서는 얻어질 수 없는 시적 감각이라고 보아야 옳다. 그런 이유 때문일까. 이 시에 드러난 맑은 하늘의 이미지는 갖은 기교를 동원한 어떤 시적 표현보다 소박하지만 강렬한 심상으로 당대 독자들의 내면에 육박하는 시적 효과를 발휘하였다.

정세훈 시의 이러한 민중적 생활주의는 온당한 비평적 관심을 받지 못한 것 같다. 소위 투쟁의 국면을 갖고서 민중의 실체를 보려 한 1980년대 문학판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서정의 문법과 미래파의 새로운 감각에 요동쳤던 1990년대 시단에서도 민중의 생활주의는 비평적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가령 노동자의 현실을 다룬 1980년대 노동시의 성과를 말할 때, 박노해와 박영근을 먼저 언급하는 것도 그런 사례에 속한다.

 

신작 시집 부평 4공단 여공은 마침내 자기의 시대가 도래한 시인의 시적 비전을 유감없이 느낄 수 있으리라고 단언할 수 있다. 정세훈이 지향하는 시적 비전은 한 마디로 말해 좋은 노동’(good work)에 관한 염원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현장 체험에서 발병한 병마(病魔)와 오래도록 싸우며 죽다 살아난 시인의 고통스러운 투병 생활과 사유 과정이 행간마다 묻어나기에 감히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단언해도 좋다. 시인 또한 시인의 말에서 재생된 삶이니 더욱 공공선(公共善)에 투신하고 헌신하며 살아야겠다고 다짐하지 않던가.

시집의 3~4부 시편들은 어느 시의 표현처럼 서울 변두리 김포시/종합병원 7층 흉부외과 병동 침상”(오월 흰 구름) 위에서 쓴 이른바 통증 연대기라고 할 수 있다. 이 병동 침상 위에서도 정세훈 시인은 살고 싶다/정말 살고 싶다라고 절규하는가 하면, “살려만 주신다면/인간답게 살겠다고/나보다 더 힘든 이를 위해/헌신하는 삶을 살겠다”(혈관에 스며드는 마취제처럼)는 고통에 찬 실존의 내면풍경을 여과 없이 표현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 처절한 실존의 육성과 기록이 있기에 1~2부 시들에서 보이는 좋은 노동에 관한 시적 사유와 행동이 역설적 진리를 얻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맑은 하늘 하나 낳아보리바다는 정세훈 시인이 바라는 좋은 노동에 대한 태도가 자연물에 가탁되어 표현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그런 시편들에서 하늘바다가 수행하는 순정한 무위(無爲)의 노동에 관한 시인의 시선의 전환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아픈 상처/어루만져 주어//공존의 마을을/이루는 것//무지개로/마을을 하늘에 닿게 하는 것”(바다)이라는 순정한 시적 인식이다. 이것이 곧 자연이 묵묵히 수행하는 좋은 노동에 관한 시인의 시적 깨달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적 인식 때문일까. 정세훈 시에 등장하는 하늘의 이미지 또한 저 1980년대 노동시와는 다른 구름 한 점 없는 말 그대로의 맑은 하늘그대와 더불어 함께 낳아보자는 적극적 연대의 감수성으로 표출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 점이 초기 시와는 변화한 정세훈의 시적 전환이라고 단언할 수 있는데, 자신의 온몸을 동원하여 촉감(觸感)을 활용하려는 민중의 생활주의적 감각과 태도는 여일하다. 어쩌면 정세훈은 그런 시인의 길을 계속 걸어갈 것이다.

- 고영직의 해설, 풍만한 노동을 위한 시적 상상력중에서

 

* 추천의 말

 

그의 시에 죽음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그는 많이 아프다. 그런데도 그는 몸보다 마음이 더 아프다고 한다. “어깨동무하고 나아가던 도도한 숨결들이떠나가고 보이지 않는 지금 우리가 있는 이곳의 아픔이 그로 하여금 시를 쓰게 하였을 것이다. 이런 현실을 앞에 두고 내 시가 너무 고상하다고 탄식하지만 그는 목청 높여 외치지는 않는다. “살려 주십시오/빈다/나의 신께 빈다/가난한 가정에 태어난 죄/돈이 없어 배우지 못한 죄/공장에서 병든 죄를/까닭 없이 지었으나//남의 것을 탐하지 않았으며/부러워하지 않았으며/게으름 피우지 않았으며/열심히 땀을 흘려 살아왔으니하고 기도하듯 말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시가 유약해 보이지는 않는다. 죽음의 고비를 넘어선 그의 시에는 푸성귀 같은 생기가 있다. 2006년 그가 생을 정리하듯이 내놓은 시집 나는 죽어 저 하늘에 뿌려지지 말아라이후, “재생된 삶이니 더욱 공공선(公共善)에 투신하고 헌신하며…… 졸시들이 거기에서 벗어나 곁눈질하지 말기를 기원한다고 말하고 있다. 나는 그의 다짐을실직」「푸성귀같은 시에서 확인하거니와 일찍 세상을 앓다 간 박영근에게 보여준 각별한 애정에서도 그것을 확인한다.

- 정희성(시인)

 

이십여 년 전에 정세훈은 이미 시인은 노래하지만/나는 노래하지 않아/(……)//이 한세상을/어떻게 사랑하며 살아가는지/그저 이야기할 뿐”(나를 시인이라 부르지마)이라고 쓴 바 있다. 이번 시집 또한 얼핏 보면, 유구한 가난의 가계사를 걸머진 채 병고에 시달리는 한 노동자 가장이 세상을 어떻게 사랑하며 살아가는지그저 이야기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다시 자세히 보라. 섧고 고달프고 분한 고비에서도 시선과 목소리에 진실함을 잃지 않고자, 사람에 대한 미움에 발목잡히지 않고자 그가 어떻게 애쓰고 있는지를.

그 애씀의 한 끝으로 엄동설한」「어머니가 우신다」「첫사랑」「야릇한 통증같은, 투명하여 가슴 아픈 가편(佳篇)들이 아무것도 아닌 듯이 여기저기 피어나 있다.

얼마나 힘센 소박함인가. 얼마나 무서운 선량함인가. 무엇이 그에 대적할 수 있겠는가.

- 김사인(시인)


*저자소개

 

저자 정세훈은 1955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17살부터 소규모 공장 노동자가 되었다. 1989년 『노동해방문학』에 시를 발표하면서 시작 활동을 했다. 공장에서 얻은 병으로 30여 년간 투병 생활을 해오다가 2011년 초부터 건강이 호전되어 작품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시집 『손 하나로 아름다운 당신』 『맑은 하늘을 보면』 『저별을 버리지 말아야지』 『끝내 술잔을 비우지 못하였습니다』 『그 옛날 별들이 생각났다』 『나는 죽어 저 하늘에 뿌려지지 말아라』, 장편동화집 『세상 밖으로 나온 꼬마 송사리 큰눈이』, 포엠 에세이집 『소나기를 머금은 풀꽃 향기』가 있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폭포
2012년 노동판
완전한 노동
이건 시가 아니다
풍만한 노동
후일담
실직
외상 노동
공장이 있던 자리
부펴 4공단 여공
환청
채 아물지 않은 노동
그리운 노동
맑은 하늘 하나 낳아보리

제2부
야릇한 통증
병든 몸을 바꾼다
아프다 말하고 싶지 않은 몸
오월 흰 구름
저승꽃
혈관에 스며드는 마취제처럼
미운 정 잔정을 떼어낸다
의식을 다시 회복시키는 말
내 노동의 시여
제대로 한번 살아야겠다
시가 울 듯 울었다
내 시가 너무 고상하다
고향을 떠나오듯
부초(浮草)
무덤

제3부
숨결들이 보이지 않는다
희망버스에 승차하지 못한 날
밥은 촛불이고 촛불은 밥이다
투쟁
거룩한 고문
비무장지대
나는 언제나 빨갱이가 될 것이다
천막 기도
어머니가 우신다
맛없는 자장면
재활용센터
푸성귀
엄동설한
고드름
종합병원
죽기로 마음먹은 사랑
먹는 법
민주가 자본에게
솔개그늘

제4부
차가운 사랑
오래된 생각
봄날이 눈부셔 눈물 납니다
봄바람이 분다
봄비가 떠난 아침
바다
흉터
아득한 흔적
봄 동산
화해
백중(百中)
나는
첫눈
'옛 고을' 호미
바람
첫사랑

해설 '풍만한 노동'을 위한 시적 상상력 - 고영직


 

'푸른사상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페, 가난한 비  (0) 2013.02.14
나는 지금 운전 중  (0) 2013.01.25
최기순 시집,『음표들의 집』  (0) 2013.01.22
음표들의 집   (0) 2013.01.18
부평 4공단 여공   (0) 2013.01.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