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도10

조동일·허균·이은숙, <신화의 섬 제주문화 찾아가기> 분류-- 인문, 지리, 여행 신화의 섬 제주문화 찾아가기 조동일·허균·이은숙 지음|한국문화총서 20|146×217×16mm|256쪽|25,000원ISBN 979-11-308-2227-3 03300 | 2025.3.5  ■ 도서 소개 오랫동안 독자적인 문화를 일궈온,신화의 섬 제주문화 기행 『신화의 섬 제주문화 찾아가기』가 푸른사상 한국문화총서 20으로 출간되었다. 국문학자, 미술연구자, 한국문화 교육자가 팀을 이루어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그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개하는 연속 출판물이다. 오랫동안 일구고 지켜온 제주의 문화와 신비로운 자연경관, 신화, 전설, 역사 등을 재미있게 만날 수 있다.  ■ 저자 소개 조동일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해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 한국학.. 2025. 3. 7.
[광남일보] 강대선, <퍼즐> "교사로서의 삶이 작가로서의 삶에 힘이 된다" 현직 고교 국어교사 작가 3인의 창작이야기 강대선, 4·3과 5·18 서사 다뤄…내적 성숙 기할 터 광주 문단에는 교육계에 종사하며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펼치는 문인들이 있다. 이들은 학생들을 지도하기도 바쁠텐데, 여기다 글을 쓰는 작가로서의 삶도 충실하게 소화해내고 있다. 유독 광주 문단에서 두드러지게 창작여정을 소화하고 있는 교사 작가들이 그들이다. 이들 작가는 모두 고등학교 현직 국어교사이자 정식 문단에 데뷔한 문인이라는 공통분모가 있다. 대표적으로 소설가인 장정희(대광여고)·정강철(광덕고)씨, 시와 소설을 병행 중인 강대선(동성고)씨가 꼽히고 있다. 최근 들어 장정희씨는 2020년 장편 ‘옥봉’(강 刊)을, 정강철씨는 2021년 장편 ‘소설 원교’(문학.. 2022. 2. 16.
[광주일보] 강대선, <퍼즐> 강대선 시인 “아픔 지닌 광주·제주는 제 마음 속 부채의식” 광주일보 신춘문예 출신 5월 희생자 추모 시집 ‘가슴에서 핏빛 꽃이’ 제주 4·3항쟁 다룬 장편소설 ‘퍼즐’ 펴내 시인은 그달을 0월이라고 했다. 왜 0월이냐고 물었더니 “잘 기억나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아마도 “오래되었으나 지워지지 않은 기억의 파편”으로 남아 있는 듯했다. 시인에게 80년 5월은 특정할 수 없는 달이었다. 당시 그는 초등학생이었다. 어머니와 동네 아주머니가 주먹밥을 지어 트럭에 탄 아저씨와 형들에게 주는 모습이 희미하게 떠올랐다. “0월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당시 창문을 이불로 가렸는데 소리가 나갈까, 여린 숨소리도 아꼈지요. 그리고 소문으로 거리가 뒤숭숭해지자 우리 가족은 나주로 피난을 갔습니다.” 강대선 시인에게 그.. 2022. 1. 26.
강대선 장편소설, <퍼즐> 분류--문학(소설) 퍼즐 강대선 지음|푸른사상 소설선 31|146×210×13 mm|224쪽 17,000원|ISBN 979-11-308-1878-8 03810 | 2021.12.31 ■ 도서 소개 제주 4·3항쟁, 과거의 조각들을 찾아 미래를 밝히는 증언 강대선 작가의 장편소설 『퍼즐』이 로 출간되었다. 1948년 4월 3일, 남로당과 미 군정의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제주 주민들이 희생당한 역사적 사건을 제재로 하고 있다.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기억을 퍼즐 조각처럼 나열해가며 한국 현대사에 깊은 상흔을 남긴 4·3항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 작가 소개 강대선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광주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었고, 『시와 사람』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우주일.. 2021. 12. 29.
[한라일보] 홍성운, <버릴까> 소소한 풍경에 외면 못하는 이 땅의 현실 제주 홍성운 신작 시조집 '버릴까' 그가 써놓은 시처럼, '사람은 시 한 구절에 눈물 괼 때' 있다. 수다하지 않아도 몇 줄의 그 문장에 얼어붙은 심장이 움직인다. 그의 이번 시 작업은 번다한 사람 살이에 무슨 시냐고 묻는 이들에게 답하는 여정 같.. 2019. 1. 18.
[머니S] 송문석 <신화 비밀 코드> [Book] '소심한 심리학' 外 신화 비밀코드 신화는 역사를 따라 내려오며 변용되기 때문에 변용된 부분을 해석하려면 문화라는 열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세경 신화와 설문대 할망 신화 등을 통해 제주 신화는 그저 흥미로운 텍스트가 아니라 제주의 생활 양식과 제주 사람들의 사고 방.. 2018.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