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 간행도서

고명철, <리얼리즘이 희망이다> 시, 위선의 시대에 종언을 고함

by 푸른사상 2015. 2. 13.








도서 소개


상식과 양심이 뒤틀린 한국의 현실 속에서도 진실의 언어는 폐기처분할 수 없다. 문학은 태생적으로 거짓투성이의 현실에 맞서야 하는 운명을 걸머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저자가 구사하는 비평의 언어는 거짓 세상 속에서 진실이 존중받는 삶과 현실을 향한 혁명을 꿈꾼다.

이 평론집은 20세기 전반 오장환의 시에서부터 2014년의 신작 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다루고 있지만 작품의 분석에서 나아가 이 사회에서 리얼리즘이 당면한 과제와 그 해결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어둠의 현실을 넘는” 리얼리즘, “삶의 난경에 응전하는” 리얼리즘, “시대와 삶의 무게를 견디는” 리얼리즘, “우주와 삶의 율동에 공명하는” 리얼리즘의 힘을 말하고 우리 문학의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나온 저자의 결론은 “그래도, 리얼리즘이 희망이다”라는 것이다.


도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어둠의 현실을 넘는


그래도, 리얼리즘이 희망이다 ― 2000년대 리얼리즘 시의 풍경

문학운동, 역사적 계몽, 그리고 시적 혁명 ― 1980년대 진보적 시의 계몽적 서정

진화(進化)하는 정치적 서정, 진화(鎭火)되는 국가 폭력 ― 한국 시문학, 불의 사회학적 상상력에 대한 탐색

매카시즘의 광풍과 반공주의의 암연, 그 시적 응전

‘살림의 언어’를 향한 여성 노동(자)의 절규

외국인 이주의 시선을 넘어서는 시의 미적 윤리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 문학의 불온한 정치사회적 상상력을 위해

강덕환의 시 지평 : 제주, 평화, 인류의 미래적 가치

흘러야 할 물, 반노동의 노동 ― 『꿈속에서도 물소리 아프지 마라』와 최종천의 『고양이의 마술』

시조의 미적 정치 감각과 사회학적 상상력


제2부 삶의 난경에 응전하는


경성, 서울, 그리고 모스크바 ― 오장환 문학의 로컬리티와 근대의 난경(難境)

혁명의 노래 : 김남주, 미완의 민주주의를 향한 민중의 분노

역사의 장강(長江)과 함께한 ‘섬진강의 시인’ ― 김용택의 시를 읽으며

삶의 난경(難境)에 응전하는 ‘떠돎’의 시학 ― 이용한의 시세계

열대의 ‘바람’과 동행한 시 ― 정선호의 『세온도를 그리다』

‘진득하니’ 수행해온 중견 시인의 씻김굿 ― 배진성의 시세계

제주 문학, 지구적 세계 문학을 향한 ― 『귤림문학』 20호 기념을 맞이하여


제3부 시대와 삶의 무게를 견디는


‘하종오식 리얼리즘’의 득의(得意) : 탈분단과 지구적 시계(視界) ― 하종오의 『신북한학』

제국(諸國)의 공존, 제국(帝國)의 부재 ― 하종오의 『제국』

삶의 내공, 생의 엄숙한 행로를 순행(巡行)하는 ― 이경호의 『비탈』

젊고 드넓은 마음밭을 일구는 ― 문영규의 『나는 지금 외출 중』

생의 무게를 견디는 연민 ― 임윤의 『레닌 공원이 어둠을 껴입으면』

희부윰한 시간 속 풍경의 ‘사이’로 ― 문충성의 『허물어버린 집』

섬, 꽃, 그리고 은유의 유토피아 ― 김순남의 『그대가 부르지 않아도 나는 그대에게로 간다』

사막의 밤별을 보며 우는 시인의 천형(天刑) ― 오봉옥의 『노랑』


제4부 우주와 삶의 율동에 공명하는


시간의 감각들이 지닌 시의 매혹 ― 최승자의 『쓸쓸해서 머나먼』, 이학영의 『꿈꾸지 않는 날들의 슬픔』, 정우영의 『살구꽃 그림자』

수리산의 4계(四季)/5계(五季) : 상호주관적 관계의 시적 진리 ― 김동호의 『수리산 연작』

문학의 천형(天刑), 천형(天刑)의 문학 ― 장종권의 『호박꽃 나라』

‘도량의 목탁 소리’와 ‘저잣거리의 비명 소리’ 사이에서 ― 이승하의 『천상의 바람, 지상의 길』

우주의 율동에 공명(共鳴)하며 유장히 흐르는 ― 이명의 『벌레문법』

‘소리 없는 음악’에 이르는 길의 신비 ― 이면우의 신작을 읽으며

허공에 뿌리 내리는 ‘떨림’의 시학 ― 최향란의 『밖엔 비, 안엔 달』

제주의 사계절, 그 비의성이 품은 매혹들 ― 한희정의 『꽃을 줍는 13월』


◖찾아보기


저자 소개


고명철


1970년 제주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98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변방에서 타오르는 민족문학의 불꽃 ― 현기영의 소설세계」가 당선되면서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문학, 전위적 저항의 정치성』 『잠 못 이루는 리얼리스트』 『뼈꽃이 피다』 『칼날 위에 서다』 『논쟁, 비평의 응전』 등이 있다. 『비평과 전망』 『리얼리스트』 『실천문학』 『리토피아』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젊은평론가상, 고석규비평문학상, 성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유럽중심주의 문학을 넘어서기 위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문학과 연대를 실천하는 『바리마』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머리말


위선의 시대에 종언을 고하는 혁명의 꿈꾸기

무릇 혁명을 꿈꾸는 자

꽃나무를 닮아야겠다

가지가 꺾이고 줄기가 베여도

뿌리 남아 있는 한 악착같이 잎 틔우고

꽃 피워 마침내 열매 맺어야겠다

저마다의 외로움을 나이테로 새기면서

지평을 푸르게 물들이다가

꽃들을 다 내려놓고 쓰러져야겠다

이웃한 나무들의 거름으로,

― 이재무, 「혁명」 전문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 사회는 상식과 양심이 심하게 뒤틀린 현실에 에워싸여 있다. 진실이 호도되고, 진실을 은폐시키고, 더 나아가 진실을 추구하는 것 자체를 시대 퇴행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어처구니없는 언어의 향연들이 우리의 삶 안팎을 배회하고 있다. 진실과 참된 삶을 갈구하는 언어들이 온갖 폭력 속에 신음하고 있다. 거짓된 것들에 대한 시대양심의 분노가 왜곡되고, 도리어 시대양심에 대한 거짓된 것들의 타매가 정상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비정상성이 정상성의 자리를 꿰차고 들어온다.

그렇다고 우리는 진실의 언어를 폐기처분할 수 없다. 현실이 암연(黯然)의 사위에 갇혀 있을수록 진실을 향한 우리의 언어는 촉수를 바짝 곤두세워야 한다. 그리고 거짓이 난무하는 삶과 현실을 전복하는 혁명의 꿈꾸기를 포기해서 안 된다. 우리가 함께 꿈꾸는 세상을 이루기 위해 혁명에 수반되는 상처와 고통을 두려워해서 안 된다. 이 혁명은 꽃나무의 생태를 닮은 것으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온갖 고통을 이겨내야 한다. “가지가 꺾이고 줄기가 베여도” 꽃나무가 지닌 강인한 생명의 기운을 뿌리로부터 길어올리듯, 대지에 뿌리를 넓게 깊숙이 뻗으면서 대지와 격정적 사랑을 나누고, 그로부터 솟구친 생의 기운이 나뭇가지 고루고루에 미치며 바람과 애무를 하고, 우주와 장엄하게 그러면서 소박하게 만나듯이 진실의 열매를 맺기 위한 꽃나무의 생의 기운을 품어야 한다. 그리하여 “뿌리 남아 있는 한 악착같이 잎 틔우고//꽃 피워 마침내 열매 맺어야겠다”는 의지를 갈무리해야 한다.

여기서 이 같은 혁명의 꿈꾸기는 오로지 열매를 맺는 데만 초점이 맞춰진 게 아니라 꽃 피우고 열매를 맺은 후 “이웃한 나무들의 거름으로” 돌아가, 언젠가 다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을 생명의 힘을 온축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그렇다. 이번 평론집을 준비하면서 그동안 씌어진 내 비평의 언어가 꿈꿨던 것은 거짓 세상 속에서 진실이 존중받는 삶과 현실을 향한 혁명이다. 부박한 현실에서 부유하지 않고 삶의 대지에 뿌리내린 진실의 언어가 지닌 아름다운 가치의 일상적 실현을 꿈꾼다. 물론, 이것을 꿈꾸는 내 비평의 언어가 투박하여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고백해야겠다. 비평의 언어가 문학판에서 공명(共鳴)되지 못하고, 더욱이 사회적 공명과도 거리가 멀어버린 현실에서 내 비평의 언어가 무기력하다는 것을 나는 잘 안다. 하지만 이럴수록 나는 믿는다. 진실을 추구하는 우직한 언어가 그 어느 때보다 소중하다는 것을. 그리고 지금, 이곳의 비평의 언어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거짓이 판치는 세상과 불화하되, 아름다운 진실의 가치를 향한 혁명의 꿈꾸기를 가열차게 꾸기 위한 생의 기운을 품는 데 전심전력을 쏟아야 하는 것을. 그리하여 우리 시대의 시와 비평이 함께 이 위선의 시대에 종언을 고하는 문학적 투쟁의 전위임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