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 간행도서

장현숙 외 합동수필집, <그대라서 좋다, 토닥토닥 함께>

by 푸른사상 2021. 1. 15.

 

분류--문학(산문)

 

그대라서 좋다, 토닥토닥 함께

 

장현숙 외 지음138×188×15mm256

16,000ISBN 979-11-308-1757-6 03810 | 2021.1.20

 

 

■ 도서 소개

 

토닥토닥 함께, 삶을 동행하는 인연

 

문학으로 인연을 맺은 사람들의 합동 산문집 『그대라서 좋다, 토닥토닥 함께』가 푸른사상사에서 출간되었다. 소중한 사람들과의 인연, 평범한 일상에서 발견하는 반짝이는 의미, 낯선 곳에서 새로움을 만끽하는 즐거운 여행 등을 주제로 저자들은 따뜻하고 담백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 작가 소개

 

장현숙

포항에서 태어나 경주에서 성장하다 서울로 이주하였다. 내 문학적 토양은 경주에서의 추억에서 비롯된 듯. 이화여고 시절에는 음악 듣기와 그림 전시회를 즐겼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황순원 선생님을 만났다. 현재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여전히 유유자적 여행하기를 좋아하고 발밤발밤 걸어 자유를 지향하고 있다. 탈일상을 꿈꾸면서. 저서로 『황순원문학연구』 『한국 현대소설의 정점』, 편저로 『황순원 다시 읽기』 『한국 소설의 얼굴』(18권), 공저로 『여자들의 여행 수다』 등이 있다.

 

정승아

총천연색 물고기 태몽을 안고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수줍음이 많았던 탓에 혼자 할 수 있는 책 읽기를 사랑했다. 가천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지금은 두 딸아이의 엄마로 박사 과정 논문 쓰기를 마음으로 하고 있다.

 

정지원

서울 송파동에서 태어났다. 경원전문대 문예창작과에서 글쓰기를 배우다가 가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로 편입하였다. 같은 대학원에서 『오정희 초기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2013)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월드컵 붉은 악마의 열기를 목도하고 성장한 세대로 이후 혼란한 세상에 빛이 될 길이 인문학이라는 생각으로 꾸준하게 천착하였다. 지금은 교육과 여행을 하는 회사에서 기획을 담당하고 있으며, 언제나 인간성 회복에 가장 큰 가치를 두고 일하고 있다.

 

최명숙

충북 진천에서 태어났으며, 가천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21세기에 만난 한국 노년소설 연구』 『문학콘텐츠 읽기와 쓰기』, 산문집 『오늘도, 나는 꿈을 꾼다』가 있으며, 공저로 『대중매체와 글쓰기』 『꽃 진 자리에 어버이 사랑』 『문득, 로그인』 『여자들의 여행 수다』 등이 있다.

 

한치로

중국 산동성에서 태어나 현재 산동이공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문학을 교육하고 있다. 가천대 한국어문학과 대학원에서 「한중 만주 체험소설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바다의 노을 보기를 좋아하고 계곡의 갈잎 보기를 좋아한다. 하루에 한 번씩 산책하며 한국 가요와 케이팝을 흥얼거린다. 한국의 숯불갈비와 불고기를 좋아하며 언제나 한국 여행을 꿈꾼다.

 

김동성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아름다운 바다를 보며 꿈을 키웠고, 부산에서 성장하였다.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시 공립고등학교에서 39년 동안 국어, 문학을 가르치며 많은 제자들을 키워내었다. 같은 대학원에서 김은국의 소설을 연구한 「‘殉敎者(The Martyred)’에 나타난 救援의 美學」으로 석사학위, 가천대학교 대학원에서 「김소진 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에는 세명대에서 현대문학,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으며, 원프로젝트 남성합창단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현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학창 시절에는 시 쓰기와 소설 읽기를 좋아하였다. 기독교교육학을 전공하다가 평소 좋아하던 국문학을 깊이 배워보고 싶어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로 편입하였다. 현재는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 중에 있다.

 

박혜경

대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 서울로 와서 성장했다. 문학을 좋아해서 문예창작을 공부했다. 가천대학교 국문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천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오정희 문학 연구』, 공저로 『문화사회와 언어의 욕망』 『시적 감동의 자기 체험화』 『김유정과의 산책』 등이 있다.

 

엄혜자

어려서부터 글 읽기를 좋아해서 활자 중독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자랐다. 공동저서로 수필 『소중한 인연』 『여자들의 여행 수다』, 문학비평 『문화사회와 언어의 욕망』 『시적 감동의 자기 체험화』 등이 있다. 문학박사이며 <책읽는 마을> 대표로서, 제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가장 행복한 시간은 제자들과 책을 읽는 일이다. 훌륭한 제자 양성을 인생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다

 

유미애

서울 봉천동에서 태어나 짧지만 귀여운 꼬꼬마 시절을 그곳에서 보냈다. 봄앓이를 하는 것 같이 마음의 풍경을 쫓았던 10대 시절, 작은 가슴에 품었던 책과 음악들은 여전히 지금도, 은빛처럼 고운 마음의 결을 만들어내고 있다.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로서 현재 수능국어와 논술을 가르치며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운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불귀」(1991)와 「경옥의 노래」(2016)의 대비를 중심으로」와 「윤대녕 단편소설 연구」가 있다.

 

 

■ 목차

 

■ 책머리에

 

장현숙│별을 찾아 떠나가신 그분, 황순원 선생님

           꿈에

           코히마르 어촌마을에서 『노인과 바다』를 만나다

 

정승아│엄마의 자리

           엄마의 기도

           자유로웠던 시간, 1년간의 보스턴

 

정지원│찬바람 나면 꼭 머플러를 챙기세요, 따뜻하게

           떠날 때 보이는 것들

           아득하고 머나먼 길

 

최명숙│자귀꽃과 편지

           비 갠 오후, 봄 산

           혼자, 어느 날 갑자기

 

한치로│따뜻한 차 한 잔

           나와 아들

           노산행(魯山行)

 

김동성│완벽한 변신

           살려주세요!

           카네기홀 아이작스턴 오디토리움에 서다

 

김현아│냉이꽃

           긴 터널에도 출구가 있듯

           아버지의 손을 잡다

 

박혜경│물의 정원

           그놈의 김치

           이런 칠리크랩 같은

 

엄혜자│마당 예쁜 집

           소통이 있는 풍경

           니아스섬, 시공간의 틈새

 

유미애│세상에 단 하나, 나의 꽃피는 아몬드 나무에게

           나의 비밀 정원

           내 여행의 시퀀스

 

 

■ 출판사 리뷰

 

『그대라서 좋다, 토닥토닥 함께』는 평범한 일상에서 발견하는 소소한 가치와 낯선 여행지에서 마주하는 새로운 경험을 솔직하면서도 유쾌하게 풀어낸 합동 산문집이다. 한국 소설사에 한 획을 그은 소설가 황순원과의 사제지연, 엄마가 된 자리에서 느끼는 부모의 마음, 스승이 건네준 따뜻한 차 한 잔의 위로……. 평범한 일상에서 발견한 새롭고 소중한 인연들을 바라보는 저자들의 시선에는 애정과 온기가 서려 있다. 세계적인 명작 『노인과 바다』의 배경이 된 코히마르 해변가에서 배우는 헤밍웨이의 정신, 어느 가을날 홀로 떠난 설악산과 경포대에서의 사색, 아마추어 합창단원으로서 카네기홀 무대에 섰던 벅찬 기억… 돌아보니 어쩌면 그렇게 하나하나가 다 소중한지. 삶은 여행이다. 단조롭게 흘러가는 익숙한 일상에서도 우리는 뜻하지 않은 만남을 발견하고, 낯선 장소를 향해 훌쩍 떠나기도 한다. 그 속에서 스승과 제자, 부부, 부모 자식, 친구 간에 겹겹이 인연을 맺는다. 어두운 밤하늘을 환히 밝혀주는 북극성과 등대를 길잡이 삼아 뱃길을 떠나듯이, 우리 곁의 인연들도 외롭고 지친 삶을 밝혀주며 함께 동행하기에 우리 인생은 아름답다.

 

 

■ 책머리에 중에서

  

행복한 삶이란 좋아하는 그대와 토닥토닥 함께 걷는 일이다. 함께 푸르른 가을 하늘도 쳐다보고, 앙상하게 제 몸을 드러내고 있는 나무에게도 인사하고, 파릇파릇 돌 틈에서 얼굴을 내미는 새싹을 보면서 예쁘게 미소 짓는 일이다. 침묵 속에서도 서로의 숨결을 느끼고 감싸 안으며, 그냥 좋은 그대와 동행하는 일이다.

산다는 것은 누군가와 인연을 맺는 일이다. 좋은 인연은 좋은 결실을 맺는다. 부세청연 선연선과(浮世淸緣 善緣善果). 부박한 세상에서 어떤 인연은 죽은 나무에서 꽃을 피우게도 하고, 어린 박새에게 생명의 숨결을 불어넣기도 한다. 어떤 인연은 7천 겁을 지나 자귀꽃 피는 계절, 부부로 맺어져 미운 정 고운 정 쌓으며 동고동락한다. 또 어떤 인연은 8천 겁을 지나 부모와 자식으로 만난다. 어머니는 물떼새가 되기도 하고 장다리꽃이 되기도 하고 우렁이가 되기도 한다. 에어리염낭거미처럼 새끼에게 자기 육신을 먹이로 내어주기도 한다. 아버지는 따뜻하고 든든한 손으로 큰 세상을 마주할 때마다 자식의 손을 잡아준다. 오직 자식의 안녕만을 기도하며. 또 어떤 인연은 만 겁을 지나 스승과 제자로 만난다. 스승은 제자에게 어둡고 차가운 밤하늘을 화안히 밝혀주는 북극성으로 존재한다. 또한 스승은 추운 겨울 제자에게 머플러를 매어주는 따뜻한 손길이 되어주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는 부부의 인연으로, 부모와 자식의 인연으로, 스승과 제자의 인연으로, 친구의 인연으로 만나 살아간다.(중략)

좋은 인연으로 만나, 저녁 어스름 내리는 서쪽으로, 우리가 하나의 어둠이 되어 또는 물 위에 뜬 별이 되어 꽃초롱 앞세우고 가는 그날까지, 서로에게 쪽배가 되어주고, 등대가 되어주며 동행하고 싶다. 따뜻한 차 한 잔 나누면서.

그대라서 좋다, 토닥토닥 함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