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어, 어학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
장은하 지음|푸른사상 한국어학총서|160×232×19 mm(하드커버)|208쪽
20,000원|ISBN 979-11-308-1670-8 93710 | 2020.5.25
■ 도서 소개
한국어 어법과 어휘로 살펴본 한국인의 세계관
장은하 고려대 초빙교수의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가 <푸른사상 한국어학 총서>로 출간되었다. 이 저서에서 저자는 언어가 정신세계를 반영한다는 훔볼트와 바이스게르버의 동적언어이론을 바탕으로 남북한 맞춤법의 통일 문제, 개화기 시대 이후 문장의 문체,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제시된 어휘와 그 상징성 연구, <신체> 관련 관용어의 표현, <뼈>의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을 탐색하고 있다.
■ 저자 소개
장은하(章銀河)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응용어문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문화창의학부 초빙교수로 있다. 저서로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이 있다.
■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남북한의 맞춤법
1. 남한의 맞춤법
1) 제1기(1933~1980:통일안 시대)
2) 제2기(1980~현 시점:새 규범 시대)
2. 북한의 맞춤법
1) 제1기(1933~1954:통일안 시대)
2) 제2기(1954~현 시점:새 규범 시대)
3.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1) 체재의 통일성
2) 용어의 통일성
3) 내용의 통일성
제2장 북한의 언어예절
1. 언어례절
1) 이야기를 듣는 사람에 대한 례절관계 표현수법
2) 이야기에 오른 사람에 대한 례절관계 표현수법
3) 위대한 수령님에 대한 언어례절
4)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에 대한 존경과 흠모의 정을 나타내는 어휘와 표현 및 위 대한 수령님의 교사와 로작 전문을 전달하는 화술
5) 일상 사회생활에서의 언어례절
2. 계칭 범주
3. 김정일에 대한 칭호 및 존칭어
4. 생활과 언어례절
1) 청년과 언어례절
2) 로인들에 대한 언어례절
제3장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 연구
1. 문체와 국한문체, 한글체의 표현
2. 광복 이후 문장의 문체 (1945~2000)
3. 2000년대 이후의 문장의 문체
제4장 『한중록』의 어휘와 신체 관련 관용어에 대한 연구
1. 어휘분절구조이론과 인지언어학
2. 은유의 개념과 종류
1) 개념적 은유이론
2) 영상도식 이론
3) 개념적 혼성이론
3. 어휘 대립의 중화 현상
1) 상하대립
2) 단계적 대립(계단대립)
3) 등치적 대립
4) 유무적 대립
5) 중화
4. 『한중록』의 어휘와 중화 현상
5. 신체 관련 관용어가 포함된 문장의 문체 연구
1) 신체명칭 ‘손’
2) 신체명칭 ‘발’
3) 신체명칭 ‘입’
제5장 현대국어의 <뼈>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1. <뼈> 명칭의 기본구조
2. <두개:頭蓋>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3. <목>의 분절구조
4. <몸통>의 분절구조
5. <팔, 다리>의 분절구조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출판사 리뷰
국어학자 장은하 교수의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는 우리의 모국어인 한국어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규명한 책이다. 언어는 객관세계에 대한 모국어적 정신세계의 표현이며 문화의 한 부분이다. 한 민족의 모국어는 그 민족의 객관세계인 사물에 대하여 관조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정신세계가 반영된 것이다. 예의를 중시하는 한국에서 발달한 경어법 체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훔볼트와 바이스게르버의 동적언어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우리말은 분단 이후 남과 북의 서로 다른 맞춤법 규정과 변화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1장에서는 남북의 맞춤법 규정 중 ‘소리’에 관한 부분에 주목하여 그에 따른 변천 과정과, 현 시점에서 남과 북의 맞춤법 통일 방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2장에서는 북한의 수장인 김정일에 대한 칭호 및 존칭어와 북한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예절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신문과 잡지, 소설 등에 나타난 국한문체, 한글체 표현을 중심으로 한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와 그 변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나타난 작가의 고유한 언어 선택과 그 어휘의 상징성을 탐색하였다. 아울러 언어공동체의 사용빈도가 높고, 비유적 기능이 강한 신체 관련 관용어를 통해 모국어 화자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우리말의 어휘체계를 이해하고자 했다. 5장에서는 <뼈>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을 고찰하여 모국어를 향한 언중의 태도를 살펴본다.
■ 책머리에 중에서
언어는 객관세계에 대한 모국어적 정신세계의 표현이며 문화의 한 부분이다. 더 나아가 인간이 사고하는 과정에서 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인지과정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한 민족의 모국어는 그 민족이 객관세계인 사물에 대하여 관조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더 나아가 그 민족의 정신세계를 반영하는 것이다. 우리말은 분단되기 전에 하나의 표준어와 규범을 가지고 있었지만 북한은 1954년의 조선어 철자법의 시행과 1966년 조선말 규범집의 발행, 1964년에 시작된 순수한 우리말에 바탕을 둔 말다듬기의 시행으로 점점 남한과 북한의 언어는 큰 차이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언어가 화자와 청자 간의 의사소통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모국어 화자의 정신세계를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문화의 중요한 부분임을 고려할 때 객관세계를 바라보는 관조방식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중략)
사람의 고유한 특성을 전제로 하는 <신체>와 관련된 말들은 언어공동체의 생활에 깊이 침투되어 그 사용 빈도수가 높으며 비유적 기능이 강하여 모국어 화자의 정신세계와 우리말의 어휘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은유가 수사법의 하나가 아닌 어휘 대립 현상을 상실하는 인지 과정의 하나라고 파악할 때 <신체> 명칭에 반영된 모국어 화자 한국인의 정신활동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연구해볼 수 있을 것이다.
동적언어이론은 어휘론, 조어론, 품사론, 월구성안(통어론) 등 네 가지 부문의 연구가 그 연구 대상으로 이러한 학설에 기반하여 이 책에서는 남북한 맞춤법과 개화기 시대 이후 문장의 문체,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제시된 어휘와 그 상징성 연구, <신체> 관련 관용어의 표현과 <뼈>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 책 속으로
이 글에서는 현대국어 문체의 변별성과 특징을 문체소의 구성성분을 이루는 표기 요소인 국한문체, 한글체 표현을 중심으로 신문, 잡지, 소설에서 살펴보았다. 어떠한 문장의 문체의 구성과 흐름은 그것을 이루고 있는 표기문자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표기문자에 있어서 한자는 중국의 문자이지만 국어와의 특수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체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외래어의 빈번한 사용으로 현대국어의 문체에 있어 다양한 표현이 등장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에 대하여 1945년 이후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를 구어체로의 문체의 흐름이 일반화되고 대부분의 문체에서 한글체가 중심이 되는 1945년부터 2000년까지의 시기와 한글체가 문체의 중심이 되기는 하지만 IT 기술의 발전과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축약어, 비어, 비표준어 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우리말 국한문체에 있어서도 다양한 문체적 접근이 나타나는 그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현대국어의 문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07쪽~108쪽)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의 세 차례에 걸친 회고가 합쳐진 것으로 작자와 창작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작품이다. 1975년에 쓰여진 첫 번째 글은 자신의 일생을 회고한 것이고, 잘 알려진 두 번째 글은 임오화변 경과에 대한 서술이고, 세 번째 글은 친정의 무죄에 대한 항변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중록』에 쓰여진 어휘의미를 현 시점의 어휘의미와 비교한다면 어휘분절구조 안에서 그 표제어가 어떻게 언어적 대립의 기능을 상실하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은유의 연구사, 은유의 개념 및 종류, 어휘 대립의 중화 현상, 『한중록』에 표현된 어휘와 중화 현상, 신체 관련 관용어의 어휘의미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115쪽)
<신체>와 관련된 말들은 대부분 고유어를 기본으로 하여 단어의 조성이 이루어지고, 언어공동체의 생활에 깊이 침투되어 그 사용빈도수가 높으며, 비유적 기능이 강하여 순수한 우리말의 어휘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신체>와 관련된 용어는 고유어를 바탕으로 [손], [손등], [손바닥], [손가락], [눈], [눈썹], [눈꺼풀], [눈언저리] 등의 낱말과 같이 <신체>와 관련된 일반적인 어휘 안에 보다 좁은 의미를 가지는 <신체>와 관련된 어휘들이 상세하게 세분화되고, [책상다리], [안경다리], [돌다리], [기둥머리], [난간머리], [산머리]처럼 비유적 기능이 강한 것이 특징으로, 이러한 점은 한국인의 <신체>라는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과 인간의 두뇌의 인지 체계의 한 단면을 이해하게 한다.
다시 말하여 한국인으로 구성된 언어공동체는 <신체>라는 객관세계를 필요에 의하여 보다 세분화된 분절구조로 나누어 바라보고 있으며, 또 새로운 대상을 이름 짓거나 나타낼 때도 그것을 누구나 잘 알고 있고,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체>와 관련된 어휘에 견주어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나타낸다.
(156쪽)
'2020 간행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간 푸른사상 2020 여름호(통권 32호) (0) | 2020.06.11 |
---|---|
김정원 동시집, <꽃길> (0) | 2020.06.08 |
박석준 시집,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 (0) | 2020.05.25 |
조규남 시집, <연두는 모른다> (0) | 2020.05.21 |
전기철, <언어적 상상력으로 쓰는 시 창작의 실제> (0) | 2020.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