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 간행도서

장현숙 학술총서, <한국 현대소설의 정점>

by 푸른사상 2020. 4. 9.



분류--문학이론, 현대문학, 소설론

한국 현대소설의 정점

장현숙 지음푸른사상 학술총서 52160×232×22 mm(하드커버)336

29,000ISBN 979-11-308-1650-0 93800 | 2020.3.31



■ 도서 소개

 

한국 소설의 맥락과 흐름

장현숙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의 한국 현대소설의 정점<푸른사상 학술총서 52>로 출간되었다. 저자는 한국 현대소설사의 정점에서 빛나는 작가인 오정희·최명희·안수길·이상의 작품 세계를 주제 의식과 작중 인물의 갈등 양상을 토대로 살펴보면서 한국 소설사의 맥락과 흐름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이상·황순원·김승옥·최인호의 서술기법을 통하여 이상의 글쓰기 방식이 후배 작가들에게 어떠한 양상으로 수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저자 소개

 

장현숙(張賢淑)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황순원 문학 연구』 『현실인식과 인간의 길』 『대중매체와 글쓰기등 다수, 편저로 황순원 다시 읽기』 『강의실에서 소설 읽기』 『한국소설의 얼굴(1~18) 소낙비 땡볕 외등과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이다.

 

 

■ 목차

 

책머리에

 

1부 오정희 소설 분석

 

비어 있는 들분석 작중인물과 의 다의성을 중심으로

1. 서론

2. 비껴가는 시선, 어긋남의 독백

3. 견딤의 시간, ‘의 존재

4. 결론

 

불꽃놀이에 나타난 주제의식

1. 서론

2. ‘뿌리 찾기의 서사, 신화 속 뿌리 찾기

3. 집단무의식의 발화, ‘에비와 몰살에의 공포

4. 불안의식, 현실인식의 확장

5. 결론

 

파로호에 나타난 주제의식

1. 서론

2. 불안과 위기의식으로부터의 탈주물 마시기와 도둑고양이 죽이기

3. 주체적 삶을 향한 탈주발화 욕망과 소설쓰기

4. ‘파로호에 들어가기영원으로의 열림

5. 폭력적 현실로부터의 탈주왜곡된 허위의식

6. 결론사회현실 인식의 확장

 

구부러진 길 저쪽에 나타난 주제의식

1. 서론

2. 실존적 고독과 발화 욕망

3. 아버지의 부재와 모체회귀 욕망

4. 삶의 우연성과 사소함의 비극성

5. 물질만능주의와 폭력성의 악순환

6. 결론

 

2부 최명희·안수길 소설 분석

 

최명희 초기 단편소설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과 주제의식의 전개를 중심으로

1. 서론

2. 고향 상실의식과 부재의식:「잊혀지지 않는 일

3. 갈망과 욕망의 대립:「탈공(脫空)

4. 모성성으로 여성정체성 찾아가기:「정옥(貞玉)

5. 자아 분열과 실존적 허무의식:「오후

6. 결론

 

최명희 단편소설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과 주제의식의 전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아버지의 부재 그리고 뿌리 찾기:「쓰러지는 빛

3. 전통복원과 삶의 진정성찾기:「만종(晩鐘)

4. 모국어 탐색과 이별의 정한 : 몌별(袂別)

5. 소외된 타자 그리고 실존의지:「주소(住所)

6. 결론

 

현대소설에 나타난 만주 체험 안수길의 북간도를 중심으로

1. 서론

2. 안수길의 생애와 문학적 특질

3. 시대적 배경과 재만조선인 문학

4. 안수길의 작품 전개와 북간도

5. 결론

 

3부 이상의 글쓰기 방식 수용 양상

 

이상 소설의 작중인물과 이미지의 유사성 황순원·김승옥·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1. 서론

2. 권태의 유희화

3. 화폐와 성의 페티시즘

4. 각성의 이미지사이렌 소리, ,

5. 결론

 

이상의 글쓰기 방식 수용 양상 이상, 황순원, 김승옥, 최인호의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1. 서론

2. 반복과 점층을 통한 가속효과와 대조의 병치

3. 시적 생략과 모던한 감각

4. 숫자의 도입과 해체적 기법

5. 결론

 

참고문헌

발표지 목록

찾아보기

 


■ 출판사 리뷰

 

오정희·최명희·안수길·이상은 한국 현대소설사의 한 정점에서 빛나는 작가들이다. 3부로 이루어진 이 책에서 저자는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주제의식과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 인물 유형 등으로 고찰하여 한국 현대소설사의 흐름과 맥락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이상·황순원·김승옥·최인호의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이상의 글쓰기 방식이 어떠한 양상으로 후배 작가들에게 수용되었는지, 작중인물과 이미지 측면에서 어떠한 유사성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1부에서는 상징과 은유를 통해 작중인물의 내면세계를 심리적 수법으로 형상화하는 개성적인 작가 오정희의 작품세계를 탐구했다. 사회현실 인식이 결여되었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은 오정희의 문학 속에서 드러난 사회현실 인식을 저자는 밝혀내고자 하였다. 비어 있는 들에서 나타난 사회현실 인식은 불꽃놀이」 「파로호」 「구부러진 길 저쪽을 통해 확장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최명희의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과 주제의식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최명희의 초기 단편소설과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작품 속에 드러난 주제의식, 상징적 의미, 서술방식, 인물 유형, 플롯 등이 대표작 혼불과 내적으로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아울러 간도 이민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안수길의 장편 북간도를 중심으로 인물 유형과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이상 소설의 작중인물과 이미지, 서술기법이 황순원·김승옥·최인호의 소설과 비교할 때, 어떠한 유사성을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이상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작중인물의 설정 방식과 이미지의 사용 방식, 해체적 기법 등이 후배 작가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쳐왔음을 작품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 책머리에 중에서

  

작가 오정희·최명희·안수길·이상은 한국 현대소설사의 한 정점에서 별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작가들이다. 특히 오정희와 이상은 전복적인 상상력과 파격적인 실험성을 가동시켜 작중인물의 내면세계를 탁월하게 형상화한 개성적인 작가로 평가받는다. 또한 최명희·안수길 역시 모국어에 대한 탐색, 민족정체성 찾기와 민족의식 고취를 이들 작품 속에 육화시킨 점에서 작가의식의 진정성이 돋보이는 작가들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3부로 나누어진 이 책에서 저자는 이들 작가의 작품세계를 주제의식과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 인물 유형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문학 작품은 작가 의식이 집적된 결정체이다. 따라서 작품을 통하여 작가 의식의 지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 작품의 주제의식과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 인물 유형을 파악하는 작업이, 작품의 미학적 구조를 분석하는 작업과 더불어 선행되어야 할 필수 요건이다. 왜냐하면 개별 작품에 대한 정치한 해석과 분석을 통하여, 주제의식의 전개 양상과 작가의 지향성이 파악됨으로써, 온전히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총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황순원·김승옥·최인호의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하여 이상의 글쓰기 방식이 어떠한 양상으로 후배 작가들에게 수용되고 있으며, 작중인물과 이미지의 측면에서 어떠한 유사성을 가지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왜냐하면 작가들 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작업도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나아가 소설사의 흐름과 맥락을 파악하고 재구성하는 지점에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 책 속으로

  

오정희는 현상계 이면의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존재함을 증명하려 한다. “인간 내면의 보이지 않는 것들, 드러나지 않은 것들이 어떻게 뿌리가 되어 행동으로 나타나며 파장을 일으키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따라서 작가는 인간의 내면심리 상황을 의식의 흐름수법과 예각화된 문체를 바탕으로 묘파한다. 또한 삶 속에 내재되어 있는 실존적 고독, 죽음의식, 허무의식, 불화, 욕망, 균열 등 삶의 비의를 상징적으로 드러내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오정희는 내면성 탐구에 치중한 작가로 인정받지만, 일부 평자에 의해 사회현실 인식이 부족하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필자는 오정희 문학이 시대 현실로부터 유리된 문학이 아니며 끊임없이 현실 응시 속에서 예술적 형상화를 시도해온 작가라고 본다. 이는 작가는 작품세계, 작품을 쓰는 태도 등에서 개인적으로 처한 현실이나 조건들을 피해가기는 어렵다.”는 작가의 말로써 뒷받침된다고 볼 수 있다. 오정희는 예술정신의 자유로움과 실험정신으로 기존의 소설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스타일의 소설을 창작하고자 시도하였는데, 그 대표적 작품이 단편 비어 있는 들별사라고 본다. (44~45)

 

이 글은 이상 소설의 작중인물이 권태유희화하고, ‘화폐와 성의 페티시즘에 함몰된 모습을 보이다가 결미 부분에서 사이렌 소리등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각성에 이르게 되는 서사 과정에 주목하여 황순원, 김승옥, 최인호 등의 소설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이상 소설에 나타나는 작중인물의 설정방식과 이미지의 사용방식은 이들 작가의 소설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황순원, 김승옥, 최인호 등의 작품들이 작중인물과 이미지, 주제의식에서도 이상 소설과 유사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이들 작가가 이상과 함께 모더니즘을 상당 부분 그들의 작품 속에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7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