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른사상 미디어서평

[금강일보] 신웅순, <한국현대시조론>

by 푸른사상 2019. 1. 30.

문학·음악에 걸쳐 있는 시조의 정체성 연구

 

신웅순 한국현대시조론발간

 

 

음악과 문학이었던 시조(時調)가 다른 길을 걸어온 지 100여 년이나 됐습니다. 그로 인해 지금의 시조는 문학적인, 특히 창작적인 측면에서 정체성이 많이 훼손됐습니다. 이 책은 노래로 불리던 시조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기반 위에 현대시조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금강일보에 시조한담(時調閑談)’을 연재하는 신웅순 중부대 명예교수가 문학과 음악, 두 장르에 걸쳐 있는 시조의 정체성을 다룬 한국현대시조론’(도서출판 푸른사상)을 발간했다.

 

불가분(不可分)의 관계인 시조문학과 시조음악을 함께 연구한 이 책은 제1부 현대시조의 정체성에서 시조 명칭론 시조 분류론 현대시조의 음악성 고찰 현대시조의 시조 정체성 문제 음악·문학으로서의 시조, 그 치유 가능성에 대한 일고(一考) 시조 정체성 소고(小考) 현시대의 시조 아이덴티티 시조 형식에 관한 소고(小考) 사이버 문학에 있어서 현대시조의 가능성을 위하여 등을 다뤘다.

 

또 제2부 시조의 폭넓은 사유에는 3장 형식과 폭넓은 사유 시조 비평상에 대하여 시조 부흥론의 득과 실을 생각하며 한글 서예로 시조 한 수를 뿌리의 고독 시조인가 시인가-국정 국어교과서의 예에서 등이 담겼다.

 

“20여 년을 생각해 왔던 분야가 시조의 정체성입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시조음악에 대한 문제에 부딪히게 됐습니다. 그래서 공부를 시작했던 것이 가곡과 시조창이었습니다. 시조를 문학의 시선으로만 보아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시조문학과 시조음악이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것이 시조음악과 시조문학을 함께 연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음악과 문학을 함께 연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문학과 음악 간의 충돌 현상과 일관성에서 문제가 생기게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는 또 시조는 우리 역사이며 정신이고, 우리 선조들이 우리 정신으로 쓴 우리의 시조라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우리 역사이고 우리 정신인 시조를 현대시로 가르치고 있다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과 같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저자는 시조의 정체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인물학도 달라지듯이 현대시조의 영역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확장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충남 서천 출신으로, 시조문학에 천착해 온 국문학자이자 시인·서예가인 신 교수의 저서로는 한국시조창작원리론’, ‘시조는 역사를 말한다’, ‘시조로 보는 우리 문화’, ‘시조로 찾아가는 문화유산’, 시조집 누군가를 사랑하면 일생 섬이 된다등이 있다.

 

 

 

-금강일보, 최일 기자, 2019.01.29.

링크: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9267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