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현숙, 현대소설의 공간

by 푸른사상 2014. 11. 13.





1. 도서 소개



현대소설과 공간의 문제


인간은 시간적이며 공간적인 존재이다. 삶의 순간순간들을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간에게 있어서 시간과 공간은 객관적이기보다는 주관적이다. 물리적인 시간과 심리적인 시간, 외적인 공간과 내적인 공간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혼재되어 있는 실체이다.

소설 역시 시간과 공간을 다양한 맥락으로 해석하고 형상화하는 장르이다. 현대소설에서 공간은 단순히 외적이고 물리적인 배경이 아니라 내적이고 의식적인 공간의 의미가 중시되고 있다. 공간이 물리적인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내면세계를 반영하고 주제를 구체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주로 현대소설과 공간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살펴본 글을 모은 것이다. 제1부에는 「박태원 소설의 서울과 동경」 「1930년대 서울과 김유정 소설」 두 편을 실었다. 「박태원 소설의 서울과 동경」은 여러 텍스트들 사이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경성과 동경에 주목한 글이며, 「1930년대 서울과 김유정 소설」은 서울의 도시화를 예민하게 관찰하면서 이를 특유의 반어적 기법으로 담아내는 작가의 독특한 시각에 주목하였다. 제2부는 일제강점기 간도 디아스포라에 주목한 세 편의 글을 실었다. 「안수길 소설에 나타난 재만 조선인의 정착의지」 「강경애 소설과 간도에 대한 자의식」 「현경준의 <마음의 금선>」은 일제 강점기 재만 조선인의 간고한 삶을 담아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강한 정착의지, 강한 자의식, 탈식민주의 시각 등이 각각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서로 다른 작품세계를 지니고 있다. 제3부는 문학사에 주목한 「북한·중국·일본의 한국근대문학사에 대한 인식」 「개화기 소설과 양계초 문학」 두 편을 실었다. 「북한·중국·일본의 한국근대문학사에 대한 인식」은 통합문학사 기술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북한, 중국, 일본에서 한국근대문학사를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세밀하게 검토하였고, 「개화기 소설과 양계초 문학」에서는 양계초 문학이 우리나라 개화기 문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 「책머리에」 중에서 

 




2. 저자 약력


정현숙  鄭賢淑


춘천에서 출생하여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 석사와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박태원 문학연구』 『한국 현대문학의 문체와 언어』 『한국 현대 작가 연구』(공저) 『중국 조선족 문학의 어제와 오늘』(공저) 『김유정과의 산책』(공저) 등이 있다.




3. 도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서울과 동경


박태원 소설의 서울과 동경


1. 서론

2. 동경과 경성의 동시화

3. 동경과 경성, 교환 가치와 전통적 가치

4. 결론



1930년대 서울과 김유정 소설


1. 서론

2. 서울의 도시화, 공간 분할과 불균형

3. 도시화, 포섭되지 않은 풍경

4. 결론



제2부  간도의 공간


안수길 소설에 나타난 재만 조선인의 정착의지


1. 서론

2. 이주 초기 수난과 정착사에 대한 증언

3. 재만 이주민의 정착의지와 전망 ―『북향보』

4. 결론



강경애 소설과 간도 디아스포라


1. 서론

2. 간도 체험과 자의식

3. 아버지의 부재와 가족주의

4. 결론



현경준의 「마음의 금선」론


1. 서론

2. 재만 조선인 소설의 특수성과 탈식민주의

3. 현경준 소설에 나타난 이주민의 실상

4.「마음의 금선」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5. 결론



제3부  한국문학의 지평


북한·중국·일본의 한국근대문학사에 대한 인식


1. 서론

2. 중국과 일본의 한국근대문학사 인식

3. 한국현대소설사의 시각과 논리

4. 결론



개화기 소설과 양계초 문학


1. 머리말

2. 양계초 소설 연구의 현황과 성과

3. 양계초 문학 연구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