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른사상 미디어서평

[브레이크뉴스] 이동형, <지역문화재단, 문화민주주의가 답이다>

by 푸른사상 2020. 4. 7.



이동형 박사 “지역문화재단, 문화민주주의가 답이다” 출간

[인터뷰]이동형 박사, 지역문화재단 프로그램 처음으로 문화민주주의 요소 분석


최근 설립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지역문화재단의 현주소는 어디쯤 될까? 국민의 세금으로 지어지는 지역문화재단의 설립 취지는 제대로 지켜지고 있을까? 지역문화재단의 현안 중 재단의 운영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해 처음으로 문화민주주의 요소를 분석하고 운영 활성화의 해법을 모색한 문화기획자가 있다. 지난 10여년 크고 작은 공연과 전시를 기획, 제작하고 2018년 ‘지역문화재단의 문화민주주의 정책과 특성화 전략 연구’ 논문으로 고려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동형 박사가 그 주인공. 이 박사는 논문을 최근 자료로 업데이트하여 ‘지역문화재단, 문화민주주의가 답이다’(푸른사상)란 책을 펴냈다. 그와 인터뷰, 지역문화재단의 현주소를 물었다.


-지역문화재단이 2~3년 새 설립 급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지역문화재단의 주인은 누구일까? 질문을 하며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어떤 점에 주목해 왔는지요?

▲지역문화재단을 설립하는 주체는 지방자치단체입니다. 말하자면 지역문화재단의 첫 단추를 꿰는 주역은 지방자치단체라는 겁니다. 이 구조에서 살펴보면 대체로 세 가지 정도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첫째, 기초자치단체들이 문화재단 설립과 문화예술시설을 짓는데 치중하다 보니 공급자(지자체)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는 점. 둘째, 전국은 물론 같은 권역의 기초자치단체 지역문화재단들 사이에도 규모나 예산, 운영 프로그램 면에서 심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점. 셋째, 지역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살리지 못한 채 지역문화재단 간 운영의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역문화재단이 지자체와 직접적 관계에 있다는 것이 어떤 점에서 중요하죠?

▲지역문화재단 설립 이전에 각 지방자치단체, 특히 기초자치단체에서는 문화예술회관, 아트홀 등을 운영해 오고 있었습니다. 운영은 구청에서 직접 하거나,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해 왔죠. 그러다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취지로 지역문화재단을 설립해왔는데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제정이후 설립이 크게 늘었습니다. 즉 지자체가 재원을 출연해 지역문화재단을 설립하고 재단의 운영 예산을 배분하니 불가분의 관계죠. 지역문화재단은 지자체의 문화예술정책을 실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적으로 말하면 지자체의 의지가 지역문화재단에 담기는 거죠. 예산과 규모의 편차가 그걸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 박사는 지역문화재단의 바람직한 운영은 이를 설립하고 운영을 감독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지자체가 어떤 문화예술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지역문화재단이 어떤 문화예술지원프로그램을 추진하느냐에 따라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은 달라진다는 것. 그가 지역문화재단의 프로그램 분석 잣대로 사용한 문화민주주의는 일반인들에게는 좀 낯선 개념이다. 이에 대해 질문을 이어갔다.


-지역문화재단의 활성화 방안을 문화민주주의 정책에서 찾고자 했는데 문화민주주의 정책이 좀 생소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 각국들은 폐허가 된 도시를 재건하면서 국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문화예술시설을 많이 짓고 전문 예술단체를 지원했습니다. 이를 ‘문화의 민주화’ 정책이라고 합니다. 공연장과 전시장을 많이 만들고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많이 지원하는 것이 정책의 골격입니다. 하지만 이런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실제 문화예술을 즐기는 시민들은 크게 늘지 않았습니다.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아마추어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을 권장하고, 소수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는 등 문화의 다양성과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를 지향하는 것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했는데 그것이 곧 문화민주주의 정책입니다.

 

-책에서 가장 강조한 것이 참여, 공유, 네트워크인데 이 키워드를 문화민주주의 핵심 의제로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재단의 프로그램을 분석했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요?

▲일반 시민들이 문화예술 활동을 하려면 첫 번째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시스템, 이를 확산시키고 함께 하기 위해선 정보와 공간의 공유 시스템이, 이를 지속적으로 함께 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합니다. 지역문화재단이 지역주민들을 위한 것이라면 이런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걸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실제 분석한 결과는 어떠했나요?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지역문화재단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 게재된 것을 기준으로 했다는 것입니다. 즉 홈페이지에서 누락된 것에 대해선 반영할 수 없었다는 점을 밝히고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을 참여, 공유, 네트워크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선 자의적 판단이 작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도 밝혔습니다. 표본 추출한 20개 지역문화재단 중 연구 결과 지역문화재단의 프로그램 중에는 ‘참여’ 프로그램은 많았으나 ‘공유’와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종합적으로는 ‘참여’ ‘공유’ ‘네트워크’ 프로그램이 20개가 넘는 원주문화재단, 성남문화재단, 수원문화재단, 화성시 문화재단, 강남문화재단, 성북문화재단, 청주시 문화산업진흥재단이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어 운영이 활성화된 곳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지역문화재단이 지역주민들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지역문화재단은 공적 기관으로서 지역주민들의 문화기본권, 문화 접근권을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요소는 홍보입니다. 지역문화재단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지 지역주민들이 잘 알고, 이해하고, 공감해야 이용률이 높아지겠죠? 요즘 같이 홍보매체가 다양한 시대엔 홍보매체를 잘 이용하는 전문성도 가져야 할 것이고, 세대를 아우르는 세대별 맞춤형 홍보를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홍보 전담자를 둔 지역문화재단은 절반에 불과했습니다. 조직 내 홍보 전담자가 없다는 것은 그만큼 주민들의 정보 접근권에 대한 보장이 미흡하다고 지적할 수 있겠습니다.

 

이 박사는 “지역문화재단의 홍보가 부실하면 시민들은 문화향유의 기회를 잃게 된다”며 “홍보는 문화접근권, 정보접근권, 문화복지, 더 구체적으로는 생활문화복지와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브레이크뉴스, "이동형 박사 “지역문화재단, 문화민주주의가 답이다” 출간", 문일석 발행인, 2020.04.07

링크 : http://www.breaknews.com/72306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