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른사상 미디어서평

[국제신문] 안효희, <너를 사랑하는 힘>

by 푸른사상 2019. 1. 9.

조봉권의 문화현장 <45> 시로 여는 2019, 시여 말을 걸어다오

시가 곤경에 빠졌다 해도, 시의 속삭임에 귀 기울인다

 

 

2019년을 로 맞이해보고자 최근 두어 달 사이 나온 지역 시단의 시집을 들여다봤다. 시인들은 여전히 성실히, 열심히, 시로 세상과 내면과 삶을 읊거나 그리거나 노래하거나 해체하고 있었다. 마음의 현을 울리는 좋은 시로 다가왔으나, 왠지 일기를 쓴 것처럼 시인 내면에 머문 듯한 시편들이 있었다. 이런 작품은 이 칼럼의 기획의도 바깥에 있다고 보아 일단 뒤로 돌렸다.


그랬더니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산문한 편이었다. 강남주 시인이 시집 흔적 남기기’(시문학사)에 실은 에필로그이다. 강 시인은 지금 시가 처한 곤경을 거대한 느낌으로 드러낸다. 1939년생인 그는 19604·19 혁명 때 국제신문(당시 국제신보) 최계락 부장의 의뢰로 4·19 추도시 ‘19세 소년의 죽음을 발표했다. 1973년 첫 시집을 냈으며, 1974~1975시문학에서 추천 완료됐다. 등단 44, 시력(詩歷)으로 치면 60년에 이르는 세월을 보내고 시인으로 살아남은 백전노장은 토로한다.

 

시에서의 왕정복고는 이제 없을 것이다. 인공지능이 그 자리를 차지해버렸기 때문이다. 막이 내리고, 종말을 해석하기 위해 주석을 요구하는 관객은 아무도 없다. 목가도 들으려 하지 않는다. 오직 나만 우두커니 서서 돌아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이제 왕도 없다. 왕을 따르는 신하도 없다. 실지 회복을 꿈꾸던 천하대장군은 이미 전사하고 나 혼자뿐이다. 살기 위해서는 고군분투뿐이다. 재래식 전법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하략)”

 

이어 그는 시 흔적 남기기를 통해 고백한다.

 

한 마리 짐승이었다 / 나는 / 나무 등걸에 몸 부비며 / 비늘을 짓이기고 털을 붙이고 / 잡아먹을까 잡혀 먹힐까 / 살기를 다툼하면서 / 나만 챙겼다 / 산야를 달리고 또 달려 / 영역을 넓히겠다고 오줌 누고 / 이빨 내밀며 안간힘 했다 / 결국 흔적도 없어질 목숨인 것을 / 뭔가 남기려고 기를 썼지만 / 끝내 한 마리 짐승이었다 / 나는.”(전문)

 

장르로서 오늘의 시를 10, 20년 전과 견주면 격세지감이 든다. 아름다운 시는 여전히 많지만, 시는 이전보다 훨씬 더 개인적인 것또는 시인끼리만 나누는 것이 돼가고 있다. 함께 나눌 공()적 측면의 면적이 줄어든 느낌이다. 강 시인은 시에서의 왕정복고는 이제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런 곤경에 맞닥뜨렸다는 것은 전환이나 도약의 기회가 왔다는 뜻도 된다. 흔적 남기기80세 강 시인이 삶과 문학을 통으로 되새기며 끝내 한 마리 짐승이었다, 내면을 게워 올리듯 고백하며 진실의 느낌을 전한다. 이것이 그의 방법인 듯하다. 이 시는 가슴 속 현을 울렸다.

 

안효희 시인이 새로 낸 시집은 너를 사랑하는 힘’(푸른사상)이다. 여기 실린 흐린 날의 건널목이 말을 걸어온다.

 

사람들은 이미 / 불빛 너머 저쪽으로 다 건너갔다 / 24시 편의점에서 나왔을 때 / 비에 젖은 라일락꽃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 뛰어가면 건널 것인가 / 마지막 몇 개의 파란 불빛을 넘어 / 서두르면 닿을 것인가 / 나의 동쪽, / 수많은 발자국 소리를 가진 저 불빛 속으로 / 봄이 가고 여름이 오는데 / 불빛은 방향도 없이 사라져가고 / 머리카락은 혼신의 힘으로 날아가는데 / 저기 걸어가는 사람, 걸어오는 사람 / 또 한 계절이 모퉁이를 돌아서 가는데 / 흐린 날의 건널목 / 건너지 못하는 강을 쳐다보는 말()처럼 / 순간 속에서 바라보는 / 건너편 저 넓은 세상.”(전문)

 

흐린 날의 건널목이라는 곤경, ‘건너지 못하는 강을 쳐다보는 말()’과 같은 나의 내면, ‘건너편 저 넓은 세상이라는 아련하고 애타는 구절이 마음 곁으로 시를 바짝 당겨준다. 새해의 마음을 거듭 돌아보게 한다.

 

시조의 백전노장 이우걸 시조시인(1973현대시학등단)은 시조집 모자’(시인동네)를 냈다. 인생과 문학에서 쓴맛 단맛 다 본 시조시인의 정형시 가운데 단시조의 맛에 주목했다. 노장이 쓴 짧은 시조는 울림이 좋다. 예컨대 단풍잎’. “단풍잎은 자기가 늘 꽃인 줄 알았지요 / 그래서 찬바람에 쓸려가던 그 저녁까지 / 한 번도 스스로의 생을 / 돌아보지 못했습니다.” . 예컨대 장사익’. “어둠을 퍼내기 위해 태어나는 악기도 있다 / 그 악기의 일생이란 늘 울음의 나날이지만 / 우리는 그 울음 때문에 / 밝아지는 / 세상을 본다.” . ‘구구절절은 없다. 울림을 느끼는 건 독자 몫이다. 그렇게 긴 여운을 주고 독자가 생각하게 한다.

 

뒤이어 강달수 시인의 새 시집 달항아리의 푸른 눈동자’(지혜)에 실린 쌍봉낙타가 곤경을 업은 채 새해를 맞는 우리를 위해 어슬렁 나선다.

 

“(전략)그렇지만 나는 사막도 죽음도 운명이라 생각한다 / 결코 두려워하지 않고 두 개의 혹으로 / 기꺼이 홀로 사막을 밤새 걸어간다 / 모두 다 깊은 잠에 빠진 밤이 오면, / 차디찬 사막에 내리는 별빛을 밟으며, / 잘근 잘근 긴 다리를 타고 올라오는 / 쓰디쓴 관절의 고통을 곱씹으며, / 황량한 바람 부는 우리 속에서 / 못난 에미를 기다릴 어린 눈망울을 생각하며 / 아프고 지친 발걸음을 재촉한다.” 새해 벽두, 시가 걸어오는 말을 듣는다.

 

 

-국제신문, 문화전문기자, 2019.1.8.

링크: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90109.22020002745

댓글